KR200418861Y1 - 칸막이 구조 - Google Patents

칸막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861Y1
KR200418861Y1 KR2020060007524U KR20060007524U KR200418861Y1 KR 200418861 Y1 KR200418861 Y1 KR 200418861Y1 KR 2020060007524 U KR2020060007524 U KR 2020060007524U KR 20060007524 U KR20060007524 U KR 20060007524U KR 200418861 Y1 KR200418861 Y1 KR 200418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nel
metal panel
partition wal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철
Original Assignee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철 filed Critical 박상철
Priority to KR2020060007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재지변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고, 벽체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벽체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하여 시공시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분위기를 간단하게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시 연출할 수 있는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부에 벽체를 만들고자 하는 구역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 다수의 지주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고, 상호 맞닿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칸막이 벽체; 및 다수의 칸막이 벽체의 사이에 마련되는 몰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칸막이, 지주, 몰딩부, 금속 패널, 석재 패널, 대리석

Description

칸막이 구조{STRUCTURE OF PARTITION WALL}
도 1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일부를 교체 시공하는 경우의 설치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주 20, 20a; 칸막이 벽체
22a, 22b, 22c; 금속 패널 22a-1, 22b-1, 22c-1; 턱
22a-2, 22b-2, 22c-2; 지주결합 22b-3, 22c-3; 고정턱
22c-4; 패널결합부 24a, 24b; 석재 패널
24a-1, 24b-1; 대리석 판재 24a-2, 24b-2; 알루미늄 판재
24a-3, 24b-3; 허니컴 판재 24b-4; 결합홈
30; 몰딩부 40; 창문
50; 볼트 100a, 100b, 100c, 100d; 칸막이
A; 파손 부위
본 고안은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재지변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고, 칸막이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칸막이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분위기를 간단하게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시 연출할 수 있는 칸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에 공간을 구획하거나 또는 방음 및 단열을 하기 위하여 칸막이를 설치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콘크리트이나 벽돌 또는 블록보다 건축물에 부하를 주지 않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좋고, 설치가 간편한 칸막이 벽체 패널을 사용하여 칸막이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칸막이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번 조립 설치된 경우 그 외관을 변경하기 어려워 칸막이가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사무소 등의 분위기 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칸막이를 해체하여 새로 설치하거나 별도의 칸막이를 조립하여 전면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재지변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는 칸막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칸막이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칸막이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칸막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분위기를 간단하게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시 연출할 수 있는 칸막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부에 벽체를 만들고자 하는 구역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 상기 다수의 지주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고, 상호 맞닿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칸막이 벽체; 및 상기 다수의 칸막이 벽체의 사이에 마련되는 몰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 벽체는, 상기 다수의 지주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금속 패널; 및 상기 금속 패널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석재 패널;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 패널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호 대향되도록 턱이 구비되고, 상기 턱의 말단에는 상기 금속 패널 폭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주결합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 패널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기 금속 패널의 폭 길이보다 짧고 상호 대향되는 턱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패널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기 금속 패널의 폭 길이보다 짧고 상호 대향되는 턱이 구비되고, 상기 턱의 말단에는 상기 금속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패널결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석재 패널은,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석재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석재 패널은, 대리석 판재; 상기 대리석 판재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판재; 및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다른 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허니컴(Honeycomb) 판재; 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칸막이 벽체에 4개 또는 2개의 석재 패널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일 뿐 칸막이 벽체의 제작 여건 등에 따라 얼마든지 그 개수를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를 나타 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번호 200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 외에 별도의 칸막이 벽체를 나타낸다.
도 1의 (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100a) 구조는 크게 지주(10)와 칸막이 벽체(20) 및 몰딩부(30)로 구성된다.
지주(10)는 건축물(미도시)의 내부에 칸막이(100a)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건축물의 천장(미도시)과 바닥(미도시)에 고정된다.
칸막이 벽체(20)는 금속 패널(22a)과 석재 패널(24a)로 구성되게 되며 전술한 다수의 지주(10)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하기에 서술하는 칸막이 벽체(20)의 지주결합부(22a-2)가 상호 맞닿아 겹쳐지도록 하여 다수의 지주(10)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된다.
칸막이 벽체(20)를 구성하는 금속 패널(22a)과 석재 패널(24a) 중 금속 패널(22a)은 다수의 지주(1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장착되게 되며, 석재 패널(24a)은 하나 이상의 개수로 상술한 금속 패널(22a)의 외면에 장착되게 된다.
금속 패널(22a)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호 대향되도록 턱(22a-1)이 구비되고, 이러한 턱(22a-1)의 말단에는 금속 패널(22a) 폭의 외부측, 즉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주결합부(22a-2)가 구비되게 된다.
이때, 금속 패널(22a)의 지주결합부(22a-2)는 별도의 금속 패널(22a)의 지주 결합부(22a-2)와 상호 맞닿아 겹쳐져 다수의 지주(10)에 설치되게 되므로 금속 패널(22a)이 모두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설치될 경우 칸막이(100a)의 외면이 한 쪽은 낮고 다른 쪽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계단식 형상이 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금속 패널(22a)의 지주결합부(22a-2)가 먼저 지주(10)의 일면에 위치하게 되면, 그 상면에 맞닿아 겹쳐지는 별도의 금속 패널(22a)은 겹쳐지는 지주결합부(22a-2)의 두께만큼 턱(22a-1)의 두께를 줄여서 형성하여 칸막이(100a)의 시공 시 칸막이(100a)의 외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금속 패널(22a)의 외면, 즉 턱(22a-1)에 의해 돌출된 외면에 장착되는 석재 패널(24a)은 대리석 판재(24a-1)와, 대리석 판재(24a-1)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판재(24a-2), 그리고 알루미늄 판재(24a-2)의 다른 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허니컴(Honeycomb) 판재(24a-3)로 구성된다.
대리석 판재(24a-1)는 얇은 판재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석재 중에서 대리석을 사용하였다.
알루미늄 판재(24a-2)는 대리석 판재(24a-1)의 한쪽 면에 부착되어 대리석 판재(24a-1)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는데, 석재 패널(24a)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무게가 가벼운 금속을 사용한 것으로써, 대리석 판재(24a-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운 다른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허니컴 판재(24a-3)는 알루미늄 판재(24a-2)의 다른 면에 부착되는데, 전술한 알루미늄 판재(24a-2)와 마찬가지로 석재 패널(24a)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허니컴 판재(24a-3)는 금속 재질의 육각 기둥들이 패턴을 이루어 벌집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쪽 면에 알루미늄, 철판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부착하여 만들 수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열에 의하여 변형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과 타 자재에 비하여 방음성, 단열성이 우수하고 평활도가 우수한 특징을 지닌다.
이에 따라 석재로만 구성되는 패널과는 달리 가벼운 재질의 금속을 석재 패널(24a)에 함께 사용하여 시공 시 전체적인 안전성과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석재 패널(24a)은 금속 패널(22a)의 양측에 구비되는 턱(22a-1)과 턱(22a-1)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된 부분에 하나 이상, 즉 다수의 개수로 배치되게 되며 본딩 처리된 후 압착되어 금속 패널(22a)에 장착됨으로써 하나의 칸막이 벽체(20)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칸막이 벽체(20)는 금속 패널(22a)의 지주결합부(22a-2)가 양측에 배치된 지주(10)의 일면에 위치하게 되며, 그와는 별도의 금속 패널(22a)의 지주결합부(22a-2)가 먼저 위치한 금속패널(22a)의 지주결합부(22a-2)에 상호 맞닿도록 겹쳐지게 배치된 후 볼트(50)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지주결합부(22a-2)와 지주(10)를 결합시킴으로써 칸막이 벽체(20)가 지주(10)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칸막이 벽체(20)가 장착된 지주(10)의 반대쪽 면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즉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다른 칸막이 벽체(200)를 사용하게 된다.
몰딩부(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데, 칸막이 벽체(20)의 시공 후 석재 패널(24a)과 석재 패널(24a) 사이의 공간에 부착되어 볼트(50) 등이 결합되어 있는 지주결합부(22a-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칸막이(100a) 시공을 마감하게 된다.
여기서, 금속 패널(22a)은 석재 패널(24a)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판재(24a-2)나 허니컴 판재(24a-3)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공 비용의 절감을 위해 다른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철 재질의 패널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칸막이 벽체(20)의 시공이 완료된 후 석재 패널(24a)과 석재 패널(24a) 사이의 공간에 고무 재질의 몰딩부(30)를 부착하여 시공을 마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르타르나 우레탄, 고무 본딩 처리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공을 마감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100b)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실시예(100a)의 경우 시공 비용의 절감을 위해 칸막이 벽체(20)가 다수의 지주(10) 어느 일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실시예(100a)와는 달리 칸막이 벽체(20)가 지주(10)의 양쪽 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를 나타 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100c)에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100a, 100b)에서 사용된 금속 패널(22a), 즉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호 대향되도록 턱(22a-1)이 구비되고, 턱(22a-1)의 말단에 금속 패널(22a) 폭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주결합부(22a-2)가 구비되는 금속 패널(22a)을 대신하여 한 쪽 및 다른 쪽에 금속 패널(22b)의 폭 길이보다 짧고 상호 대향되는 고정턱(22b-3)이 더 구비되는 금속 패널(22b)이 사용되게 된다.
즉, 제3 실시예(100c)에서 사용되는 금속 패널(22b)은 별도의 고정턱(22b-3)이 금속 패널(22b)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고 양측, 즉 좌측 및 우측에 턱(22b-1)과 지주결합부(22b-2)가 구비되며, 금속 패널(22b)의 모서리 부근이 비어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100c)에서 사용되는 금속 패널(22b)은 판상의 금속 패널을 준비하고, 준비된 금속 패널의 사방 모서리 부근을 절단한 후, 나머지 부분 중 좌우측을 절곡, 즉 꺽어서 턱(22b-1)과 지주결합부(22b-2)를 형성하고, 상하측을 금속 패널(22b)의 전면 방향을 향해 절곡하여 고정턱(22b-3)이 형성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제3 실시예(100c)에서 사용되는 금속 패널(22b)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되는 것은 칸막이 벽체(20)가 다수의 지주(10)에 연속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판면이 평면인 금속 패널(미도시)의 한쪽과 다른 쪽 전체를 전면 방향을 향해 절곡시켜 제작할 경우 전술한 금속 패널에 하나 이상의 석재 패널(24a)이 고정 장착되어 있는 칸막이 벽체(20)를 지주(10)에 장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다수의 지주(10)에 칸막이 벽체(20)를 연속적으로 장착하기 위해서는 제1 실시예(100a)에서 사용되는 금속 패널(22a)의 지주결합부(22a-2)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이 필요하나 판면이 평면인 금속 패널의 상호 대향되는 한쪽(좌 또는 상)과 다른 쪽(우 또는 하) 전체를 전술한 금속 패널의 전면 방향을 향해 절곡시킬 경우 지주결합부(22b-2)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칸막이 벽체(20)를 지주(10)에 장착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제3 실시예(100c)에서는 고정턱(22b-3)이 금속 패널(22b)의 모서리 부근이 빈, 즉 금속 패널(22b)의 폭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됨으로써 금속 패널(22b)의 좌우 양측에 제1 실시예(100a)와 같이 지주결합부(22b-2)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고정턱(22b-3)이 금속 패널(22b)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므로 고정턱(22b-3)과 고정턱(22b-3) 사이에 본딩, 압착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석재 패널(24a)이 고정턱(22b-3)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석재 패널(24a)이 더욱 안정적으로 금속 패널(22b)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7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사용되는 칸막이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100d)에서 사용되는 금속 패널(22c)은, 제3 실시예(100c)에서 사용되는 금속 패널(22b)과 유사하게 고 정턱(22c-3)과 턱(22c-1) 및 지주결합부(22c-2)를 갖도록 형성되나 고정턱(22c-3)의 말단에 금속 패널(22c)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패널결합부(22c-4)가 더 구비되게 된다.
또한, 금속 패널(22c)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석재 패널(24b)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대리석 판재(24b-1), 알루미늄 판재(24b-2) 및 허니컴 판재(24b-3)로 구성되나, 상면 또는 하면에 석재 패널(24b)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홈(24b-4)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 패널(22c)의 고정턱(22c-3) 말단에 패널결합부(22c-4)가 형성되고, 석재 패널(24b)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100a~100c)와는 달리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홈(24b-4)이 형성됨으로써 석재 패널(24b)을 금속 패널(22c)에 장착할 때 석재 패널(24b)의 결합홈(24b-4)에 전술한 패널결합부(22c-4)를 삽입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석재 패널(24b)이 패널결합부(22c-4)에 의해 걸림되게 되어 석재 패널(24b)이 더욱 안정적으로 금속 패널(22c)에 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그 시공이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 설치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100a)를 시공 하는 경우 칸막이(100a)를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을 따라 다수 개의 지주(10)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하고, 건축물의 천장(미도시)과 바닥(미도시)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금속 패널(22a)과 석재 패널(24a)로 구성되는 칸막이 벽체(20)는 제조 공장 등지에서 제작된 상태로 시공 장소로 운반되어 하나의 지주(10)와 다른 하나의 지주(10) 사이에 장착되는데, 지주(10)의 높이에 따라 하나의 칸막이 벽체(20)로 하나의 지주(10)와 다른 하나의 지주(10) 전체를 커버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수 개를 마련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서는 칸막이(100a)에 창문(40)이 포함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창문(40)이 포함되거나 문(미도시)이 포함되어 시공되는 경우 기존의 칸막이 벽체(20)의 면적이 시공될 부분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제조 공장 등지에서 칸막이 벽체(20)를 생산할 때 시공하고자 하는 부분의 면적을 고려하여 그에 맞도록 칸막이 벽체(20a)를 생산하게 된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 바로 칸막이 벽체(20)를 시공하고자 하는 면적에 맞도록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일부를 교체 시공하는 경우의 설치도이다.
도 9a를 살펴보면, 건축물 내부에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100a)가 배치되나, 자연 재해 등과 같은 외력 등에 의해 칸막이 벽체(2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석재 패널(24a), 즉 대리석 판재(24a-1)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100a) 구조에서는 볼트(50)에 의해 조립 결합되어 있는 칸막이 벽체(20)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도 9b와 같이 먼저 몰딩부(30)를 분리하여 지주결합부(22a-2)를 외부에 노출시킨 후 파손 부위(A)가 있는 칸막이 벽체(20)의 볼트(50)를 해체하여 해당 칸막이 벽체(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손 부위(A)가 있는 칸막이 벽체(20)가 분리되어 비어있는 부분에 교체하고자 하는 정상적인 칸막이 벽체(20)를 볼트(50)를 이용하여 조립 결합하고 분리되어 있던 몰딩부(30)를 부착함으로써 정상적인 칸막이(100a)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구조에서는 칸막이 벽체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칸막이 벽체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간단하게 이를 교체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시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칸막이 벽체를 형성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건축물 내부의 기존 분위기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 설치되어 있던 칸막이 벽체를 간단하게 분리하고 다른 색상 또는 다른 종류의 석재 패널이 배치되어 있는 칸막이 벽체로 교체 시공하여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 구조에 의하면, 천재지변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칸막이가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칸막이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분위기를 간단하게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시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축물의 내부에 벽체를 만들고자 하는 구역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
    상기 다수의 지주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고, 상호 맞닿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칸막이 벽체; 및
    상기 다수의 칸막이 벽체의 사이에 마련되는 몰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벽체는,
    상기 다수의 지주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금속 패널; 및
    상기 금속 패널의 외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석재 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널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호 대향되도록 턱이 구비되고, 상기 턱의 말단에는 상기 금속 패널 폭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지주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널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기 금속 패널의 폭 길이보다 짧고 상호 대향되는 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널은,
    한 쪽 및 다른 쪽에 상기 금속 패널의 폭 길이보다 짧고 상호 대향되는 턱이 구비되고, 상기 턱의 말단에는 상기 금속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패널결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석재 패널은,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석재 패널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패널은,
    대리석 판재;
    상기 대리석 판재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판재; 및
    상기 알루미늄 판재의 다른 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허니컴(Honeycomb) 판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구조.
KR2020060007524U 2006-03-21 2006-03-21 칸막이 구조 KR200418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24U KR200418861Y1 (ko) 2006-03-21 2006-03-21 칸막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24U KR200418861Y1 (ko) 2006-03-21 2006-03-21 칸막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861Y1 true KR200418861Y1 (ko) 2006-06-15

Family

ID=4176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24U KR200418861Y1 (ko) 2006-03-21 2006-03-21 칸막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9172B1 (en) Assembly type wall structure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CN103748295A (zh) 副天花板的模块化系统
JP2011202439A (ja) 建物ユニット
JP2023155491A (ja) コーナ部材
KR200418861Y1 (ko) 칸막이 구조
AU2017351956A1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160071154A (ko)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KR100435045B1 (ko) 조립식 건축벽체
JP6368272B2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手摺取付構造
KR20130024101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RU70907U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каркас мал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JP2020165150A (ja) 骨組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ビニルハウス
KR101575570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EP2927385B1 (en) Construction panel of corrugated cardboard, assembly with this panel and method for assembling
JP6265677B2 (ja) 外部張出し構造
JP2016102363A (ja) 補強ブロック
JP4731023B2 (ja) 透光性を有する目隠し壁構造
JPH09177180A (ja) ユニット住宅
JP7334384B2 (ja) ユニット建物
JP2007332644A (ja) ガラスパネルの壁面構造及び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並びにカーテンウォール
JP5697880B2 (ja) ユニット建物
JPH11107367A (ja) 住宅の骨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