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27Y1 -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 Google Patents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27Y1
KR200418027Y1 KR2020060006878U KR20060006878U KR200418027Y1 KR 200418027 Y1 KR200418027 Y1 KR 200418027Y1 KR 2020060006878 U KR2020060006878 U KR 2020060006878U KR 20060006878 U KR20060006878 U KR 20060006878U KR 200418027 Y1 KR200418027 Y1 KR 20041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hair
protrusions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율
Original Assignee
(주)성창트레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창트레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성창트레스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60006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91Sweat absorbing mean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25Fastening thereof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은,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춰 제조되는 가발틀과, 인모(人毛) 또는 화학섬유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발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모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틀의 내측면에는, 고무 등의 천연, 합성 수지 소재의 돌기들이 다수 결합되어 구성되어, 착용시 가발의 내측면과 맞닿는 두피 사이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땀이 많이 나거나 차는 것을 방지하며,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하거나 가발, 머리 등에 배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래 가발에 비해 한층 위생적인 관리, 사용이 가능하다.
가발, 가발틀, 냄새 방지, 가발망, 실리콘

Description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A WIG HAVING PROJECTIONS ON INSIDE SURFAC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정면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발의 후면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1: 정면판 12: 후면판
13,13': 좌,우 측면판 14: 정이마판
15,15': 좌, 우 이마판 16: 뒷목판
17: 정수리판 20: 봉합선
30: 테두리선 50: 돌기
60: 돌기 테이프
본 고안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가발 형태로 머리 부위에 씌우기 위하여 머리 형태에 맞추어 반구 형태로 형성되거나, 머리의 일 부분에 형태적으로 맞춰지도록 형성된 가발틀, 상기 가발틀의 외측면에 머리카락 형태로 결합되는 모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머리숱이 적거나 대머리인 사람들이 머리숱의 보완을 하기 위해, 또는 분장, 장식 등을 위해 머리에 덧얹어 쓰는 제 머리가 아닌 가짜머리를 의미하며, 서양 등에서는 분장용이나 장식용, 위엄을 나타낼 때, 무대용·연예용·의례용·법관용 등 특정 직업용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가발은 BC 30세기경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료로는 사람의 머리털, 양의 털이나 종려잎의 섬유 등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가발은 시대 및 성별에 따라 다양한 용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 왔는데, 남성들의 경우 과거부터 앞서 언급한 바대로 머리숱이 적거나 대머리인 사람들이 머리숱의 보완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최근에는 특히 여성들을 중심으로 색상 및 형태 등이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즐기기 위해 패션 악세사리 형태로 사용되는 경향 역시 강하다.
더욱이, 인모(人毛) 역시 여전히 모발부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의 다양한 소재 개발에 따라 인모에 가까운 양질의 특성을 지닌, 상대적으로 저가의 각종 화학섬유 등이 모발부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게 되었으며, 가발 제조 기술들 이 개량되는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가격적 부담이 대폭 감소된 점, 개성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패션 소품으로서 다양한 요구가 창출되고 있는 점 등으로 인해, 가발과 관련된 최근의 수요는 더욱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인류 역사의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패션 아이템의 하나로 크게 각광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가발의 경우 생모발 또는 두피에 직접 덧씌워져 사용되는 착용 형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상기 문제점 중 하나는, 가발을 착용함으로써 가발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는 경우에 발생되기 쉬운 단점으로서, 생모발의 경우 한 올 한 올 두피와 결합되어 있어 두피에 공기가 용이하게 닿을 수 있는 반면, 가발을 착용하면 가발틀 자체가 머리 전체를 덮는 형태가 되므로, 두피 및 생모발과 외부 공기가 가발로 인해 차단되어 공기의 소통이 어려워진다.
즉,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해 가발이 덮인 부분에 쉽게 땀이 날 뿐만 아니라, 땀이 난 두피의 표면으로 공기의 소통이 어려워 지속적으로 땀이 찬 상태가 되므로, 가발 사용자로서는 심한 불쾌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되는 등, 종래 가발의 경우 가발 착용시 불쾌감,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통가발 형태의 가발에서 더욱 심하게 부각되고는 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외측면에 모발부가 결합되는 상기 가발틀의 면을, 통상 공기 소통이 원활한 천, 특히 망(網)상의 천으로 구성함으로 써, 공기 소통의 문제점을 다소 보완하고는 있으나, 가발틀의 외측면에 모발부가 빽빽히 결합되고, 착용시 외부로 드러나는 측면의 자연스러운 형태를 위해 정수리 부분에 스킨 등이 더욱 결합되는 경우, 상기한 구성만으로 앞선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는 여전히 부족하였다.
한편, 별도의 착탈 수단 없이 단순히 머리 위에 쓰는 형태의 가발의 경우, 핀 등의 별도 수단을 이용해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복잡한 구조의 별도의 고정 수단을 채용하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 밖에도 직접 피부에 닿는 가발의 내측면에 착용감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개량된 형태의 가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가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발 내측면과 두피 사이의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장시간 가발 착용시 느끼게 되는 불쾌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냄새 발생을 방지하는 등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한 개량된 형태의 가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된 개량된 형태의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은,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춰 제조되는 가발 틀과, 인모(人毛) 또는 화학섬유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발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모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틀의 내측면에는, 고무 등의 천연, 합성 수지 소재의 돌기들이 다수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발틀은,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춰지도록, 망(網)상의 다수 천이 이어져 봉합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들은 상기 가발틀의 봉합선 및 테두리선을 따라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 측면에 고무 등의 천연, 합성 수지 소재의 돌기들이 다수 결합되어 있는 별도의 돌기 테이프가 제공되어, 상기 돌기들은, 상기 돌기 테이프가 상기 가발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발틀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돌기들의 소재는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은 규소 수지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진 명칭으로서, 본 고안에서 '실리콘'이라는 용어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규소 고무를 비롯하여 상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규소 수지를 일컫는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모발'이라는 용어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인모(人毛),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져 가발의 구성요소로서 모발부에 포함되는 머리카락을 주로 의미하며, 사용자의 두피로부터 자라나 결합되어 있는 머리카락의 경우 '생모발'로 표기한다.
이하,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 중, 모발부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가발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틀(100)을 정면 방향의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머리의 대부분을 덮는 통가발 형태로 제조되기 위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판(11), 후면판(12), 좌-우 측면판(13,13'), 정 이마판(14), 좌-우 이마판(15,15'), 뒷목판(16) 및 정수리판(17) 등 망상의 여러 조각의 천이 봉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발틀(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이러한 형태는, 다수의 천이 상호 봉합되며 형성된 부분인 봉합선(20)과, 가발틀(100)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테두리선(30)이 전체적인 가발틀(100)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봉합선(20)과 테두리선(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사이를 망상의 천이 덮고 있는 형태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종래의 가발에 사용되는 가발틀과 크게 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발틀과 모발부의 결합 역시 종래 가발 제작 방식이 응용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논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 방식 등과 관련한 종래 기술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가발틀(100)에는, 종래의 가발틀과는 다르게 봉합선(20) 및 테두리선(30)의 일부를 따라 내측 면에 다수의 돌기(50)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돌기(50)들의 구성 및 기능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의 가발틀(100)을 후면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돌기(50)들은, 고무 등과 같이 탄력을 구비하며 천 등에도 결합성이 좋은 천연,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실리콘은, 규소 고무를 비롯한 규소 수지를 일컫는 용어로서, 천연 고무나 그밖의 합성 고무 등에 비해서도 상온에서의 유동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닿았을 경우 감촉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가발, 혹은 가발틀(1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돌기(50)들은 크게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가발에 이로운 특성을 부여한다.
첫째, 상호 맞닿게 되는 두피(또는 생모발)와 가발의 내측면 사이를 일정 정도 이격시켜줌으로써, 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준다. 이는, 종래의 가발틀의 경우 망상의 천으로 제작되더라도 내측면이 직접 두피 등에 밀착되게 되므로 두피와 내측면을 따른 공기의 소통이 완전 차단되는 한편, 모발부 등이 결합된 후에는 가발면을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공기의 접촉 역시 미미해질 수밖에 없었던 데에 반해,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의 경우 돌기(50)들이 가발 내측면과 두피 사이의 거리를 일정 정도 이격시켜 줌으로써 가발 내측면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공기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월등한 공기 소통 향상의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둘째, 고무, 실리콘 등 마찰 계수가 높은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착용 상태에서 가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셋째, 실리콘 등 탄성 및 촉감이 우수한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거친 느낌의 천 등이 직접적으로, 또한 전면적으로 두피 등에 맞닿게 되는 종래의 가발에 비해 우수한 착용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돌기(50)들의 결합 위치는, 가발 착용시 사용자의 두피(또는 생모발)에 밀착되는 부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발틀(100)의 경우, 부위별 특성(신축성) 등의 차이로 인해 망으로 형성된 면에 비해 봉합선(20)과 테두리선(30) 부분이 사용자의 두피(또는 생모발)에 더욱 밀착되므로, 봉합선(20) 및/또는 테두리선(30)의 내측면에 돌기(50)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 유리하다. 더욱이, 이러한 봉합선(20) 및/또는 테두리선(30)의 내측면은, 성글게 형성된 망의 면에 비해 돌기(50)들을 결합시키기에 더욱 유리한 장점 역시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돌기(50)들의 결합 위치는, 가발의 착용시 땀이 차기 쉬운 부위인지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도 있으며, 도 1 및 도 2는 이에 따라, 뒷목이 위치하는 뒷목판(16), 이마가 위치하는 정이마판(14) 및 좌-우이마판(15,15')의 봉합선(20) 및 테두리선(30)의 내측면에 돌기(50)들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가발에서의 돌기(50)들의 결합 위치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모든 봉합선(20) 및 테두리선(30)의 내측면에 돌기(50) 들이 결합되거나, 망 면에 돌기(50)들이 결합된 형태 역시 무방하다.
한편, 돌기(50)들은, 도 2 및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 3을 통하여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용시 두피와 가발 내측면 사이에 일정 거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내측면에 결합된 다수의 돌기(5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은, 가발틀(100)의 제작을 완료한 후에 가발틀(100) 내측면의 선택된 지점에 실리콘 총 등을 이용하여 돌기(50)들 하나 하나 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겠으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 테이프(6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을 제조함에 있어 제조의 편이성 및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구성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는 돌기 테이프(60)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테이프(60)는 직물 등으로 형성된 테이프의 일면에 본 고안에 따른 천연, 합성 수지 소재의 돌기들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돌기(50)들이 일정한 형태, 일정한 배치가 되도록 구성된 돌기 테이프(60)를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의 다른 구성 부분과는 별도로 준비한 후, 돌기(50)들이 결합된 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돌기 테이프(60)를 상기 가발틀(100)의 내측면에 재단,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줌으로써, 돌기(50)들을 하나 하나 직접 가발틀(100)에 결합해줄 때에 비하여 제조가 한층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의 정밀성 또한 높아짐에 따라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 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착용시 가발의 내측면과 맞닿는 두피(혹은 생모발) 사이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땀이 많이 나거나 차는 것을 방지하며,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하거나 가발, 머리 등에 배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래 가발에 비해 한층 위생적인 관리,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착용시 착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머리에서 잘 벗겨지지 않는다.
셋째, 천, 재봉부가 직접 머리에 닿게 되는 종래 가발에 비해 착용감이 한층 우수하다.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춰 제조되는 가발틀(100)과, 인모(人毛) 또는 화학섬유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발틀(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모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발에 있어서,
    상기 가발틀(100)의 내측면에는, 고무 등의 천연, 합성 수지 소재의 돌기(50)들이 다수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틀(100)은,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춰지도록, 망(網)상의 다수 천이 이어져 봉합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50)들은 상기 가발틀(100)의 봉합선(20) 및 테두리선(30)을 따라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 측면에 고무 등의 천연, 합성 수지 소재의 돌기(50)들이 다수 결합되어 있는 별도의 돌기 테이프(60)가 제공되어, 상기 돌기(50)들은, 상기 돌기 테이프(60)가 상기 가발틀(1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발틀(100)의 내측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0)들의 소재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0)들의 소재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KR2020060006878U 2006-03-14 2006-03-14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KR200418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78U KR200418027Y1 (ko) 2006-03-14 2006-03-14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878U KR200418027Y1 (ko) 2006-03-14 2006-03-14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27Y1 true KR200418027Y1 (ko) 2006-06-07

Family

ID=4176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78U KR200418027Y1 (ko) 2006-03-14 2006-03-14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74B1 (ko) * 2008-10-13 2009-08-28 (주)성창트레스코포레이션 가발틀
KR101215583B1 (ko) * 2012-07-23 2012-12-26 이윤화 가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74B1 (ko) * 2008-10-13 2009-08-28 (주)성창트레스코포레이션 가발틀
WO2010044511A1 (en) * 2008-10-13 2010-04-22 Sung Chang Trss Corp. Frame for wig
KR101215583B1 (ko) * 2012-07-23 2012-12-26 이윤화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1490A1 (en) Self-Applicable Integrated Hair Addition
US20130312781A1 (en) Integrated hair pie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6249586A (ja) 履物類
US20110073122A1 (en) Wig base
JP5306195B2 (ja) かつらベース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200418027Y1 (ko) 내측 돌기들을 구비한 가발
US20100037908A1 (en) Hair Enhancement Method and Apparatus with Hair Tracks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KR100819426B1 (ko) 팔 햇빛가리개
JP5801937B2 (ja) かつら
KR200472518Y1 (ko) 환자용 모자
JP6949351B2 (ja) 頭部着用具
JP2018003213A (ja) 部分ウィ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872866B1 (ko) 마스크팩커버
JP2020020080A (ja) 着脱式部分かつら
CN215684921U (zh) 一种外套衬衫一体化套装
KR20140004535U (ko) 탈부착 가발이 구비된 환자용 머리띠
JP3219832U (ja) 着脱式部分かつら
US20210219642A1 (en) Frontal hairpiece
KR102486075B1 (ko)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JP3152364U (ja) 身だしなみ帽子
JP2020020064A (ja) 装飾爪対応手袋
JP6296402B2 (ja) アップバング用かつ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