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652Y1 -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 Google Patents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652Y1
KR200417652Y1 KR2020060007705U KR20060007705U KR200417652Y1 KR 200417652 Y1 KR200417652 Y1 KR 200417652Y1 KR 2020060007705 U KR2020060007705 U KR 2020060007705U KR 20060007705 U KR20060007705 U KR 20060007705U KR 200417652 Y1 KR200417652 Y1 KR 200417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valve
hot water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섭
Original Assignee
정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섭 filed Critical 정기섭
Priority to KR2020060007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6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10)관 및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20)에 연결되어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도밸브에 있어서,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 및 제1 유출구(116)가 구비된 제1 밸브시트(110)와, 제2 냉·온수유입구(122)(124) 및 제2 유출구(126)가 구비된 제2 밸브시트(120)와, 상기 제1·제2 냉수유입구(112)(122)를 연결하면서 냉수공급관(10)에 연결되는 냉수연결유로(130)와, 상기 제1·제2 온수유입구(114)(124)를 연결하면서 온수공급관(20)에 연결되는 온수연결유로(140)와, 상기 제1·제2 유출구(116)(126)를 연결하여 냉온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152)를 구비하는 출구연결유로(150)로 이루어지는 밸브케이싱(100); 상기 제1·제2 밸브시트(110)(120)에 각각 장착되어 배출구(152)로 배출되는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면서 배출수온을 조절하는 제1·제2 밸브부재(200)(300); 상기 제2 유출구(126)로 유출되는 냉온수를 단속하도록 출구연결유로(15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40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0)를 작동시키는 발판스위치(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손과 발을 이용하여 수도밸브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으며, 수량 및 수온이 조절된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냉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이싱, 냉수연결유로, 온수연결유로, 출구연결유로, 솔레노이드밸브, 발판스위치.

Description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WATER VALVE}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밸브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a, 5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밸브부재의 작동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밸브부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냉수공급관 20 : 온수공급관
100 : 밸브케이싱 110 : 제1 밸브시트
120 : 제2 밸브시트 130 : 냉수연결유로
140 : 온수연결유로 150 : 출구연결유로
152 : 배출구 200 : 제1 밸브부재
210 : 제1 하우징 220 : 제1 부싱
230 : 제1 작동레버 240 : 제1 디스크밸브
300 : 제2 밸브부재 310 : 제2 하우징
320 : 제2 부싱 330 : 제2 작동레버
340 : 제2 디스크밸브 400 : 솔레노이드밸브
500 : 발판스위치
본 고안은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발판스위치가 구비된 수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과 발을 이용하여 수도밸브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으며, 수량 및 수온이 적절히 조절된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냉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는 주방이나 욕실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면서 수량 및 수온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수도밸브는 냉수공급관 및 온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냉·온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발을 이용하여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수도밸브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수도밸브는 싱글핸들을 손으로 작동시켜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수온조절을 하여 사용하고, 발로 냉온수를 개폐하려면 먼저 싱글핸들을 작동시켜 냉온수를 배출시킨 상태에서 발로 스위치를 밟아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수도밸브는 하나의 싱글핸들을 손으로 작동시켜 냉온수를 배출시킨 상태에서만 작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도밸브를 사용하고 난 후, 필요에 의해 스위치를 발로 밟아 냉온수를 배출시킬 때, 그 전에 조절 된 수온이 고온이거나 저온인 상태로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싱글밸브를 이용해서 적절한 수온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수온이 너무 고온일 때 사용자가 놀라거나 피부가 데어 상함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아이나 노약자는 행동의 제약으로 인해 배출되는 냉온수의 수온이 고온이거나 저온일 때, 갑자기 놀라면서 넘어져 상해되는 등의 이차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수도밸브가 수방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어린아이나 노약자가 발로 스위치를 밟아 냉온수를 배출시키고, 이같이 배출되는 냉온수의 배출수온이 고온 및 저온 상태이거나 배출량이 다량이거나 소량일 때, 어린아이나 노약자는 싱글핸들에 팔이 닿지 않아 적절한 배출수온 및 배출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손과 발을 이용하여 수도밸브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으며, 수량 및 수온이 적절히 조절된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냉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관 및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에 연결되어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도밸브에 있어 서, 제1 냉·온수유입구 및 제1 유출구가 구비된 제1 밸브시트와, 제2 냉·온수유입구 및 제2 유출구가 구비된 제2 밸브시트와, 상기 제1·제2 냉수유입구를 연결하면서 냉수공급관에 연결되는 냉수연결유로와, 상기 제1·제2 온수유입구를 연결하면서 온수공급관에 연결되는 온수연결유로와, 상기 제1·제2 유출구를 연결하여 냉온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를 구비하는 출구연결유로로 이루어지는 밸브케이싱; 상기 제1·제2 밸브시트에 각각 장착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면서 배출수온을 조절하는 제1·제2 밸브부재; 상기 제2 밸브핸들의 작동에 의해 배출구로 배출되는 냉온수를 단속하도록 출구연결유로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는 발판스위치로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밸브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밸브부재의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밸브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밸브시트(110)(120)와 냉수연결유로(130)와 온수연결유로(140) 및 출구연결유로(150)로 이루어진 밸브케이싱(100)과, 제1·제2 밸브시트(110)(120)에 각각 장착되는 제1·제2 밸브부재(200)(300)와, 출구연결유로(15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400)와, 이 솔레노이드(400)를 작동시키는 발판스위치(500)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밸브케이싱(100)의 양측 상부에는 제1 밸브시트(110)와 제2 밸브시트(120)가 구비된다.
제1 밸브시트(110)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제1 냉수유입구(112) 및 온수가 유입되는 제1 온수유입구(114)가 형성되며.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로 유입된 냉온수가 유출되도록 제1 유출구(116)가 형성된다.
제2 밸브시트(120)에도 냉수가 유입되는 제2 냉수유입구(122) 및 온수가 유입되는 제2 온수유입구(124)가 형성되며, 제2 냉·온수유입구(122)(124)로 유입된 냉온수가 유출되도록 제2 유출구(126)가 형성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냉수유입구(112)와 제2 냉수유입구(122)는 냉수연결유로(130)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냉수연결유로(130)는 벽체에 매설된 냉수공급관(10)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제1 온수유입구(114)와 제2 온수유입구(124)는 온수연결유로(140)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온수연결유로(140)는 벽체에 매설된 온수공급관(20)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게 된다.
제1 유출구(116)와 제2 유출구(126)는 출구연결유로(150)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출구연결로(150)에는 배출구(152)가 구비되어 제1·제2 유출구(116)(126)로 유출되는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냉수공급관(10)에서 공급되는 냉수는 냉수연결유로(130)를 통해 제1 냉수유입구(112) 및 제2 냉수유입구(122)로 유입되고, 온수공급관(20)에서 공급되 는 온수는 온수연결유로(140)를 통해 제1 온수유입구(114) 및 제2 온수유입구(124)로 유입된다.
이같이 제1·제2 냉수유입구(112)(122) 및 제1·제2 온수유입구(114)(124)로 유입된 냉온수는, 제1·제2 밸브부재의 작동에 의해 제1·제2 유출구(116)(126)를 통과하여 배출구(152)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밸브부재(200)는 제1 밸브시트(110)에 장착되어 배출구(152)로 배출되는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배출수온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밸브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 및 제1 유출구(116)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연통되어 제1 밸브시트(110)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210)과; 상기 제1 하우징(210)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싱(220)과; 상기 제1 부싱(220)에 축핀(232)으로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작동레버(230)와; 상기 제1 작동레버(230)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제1 연결홈(24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배출수온을 조절하도록 제1 밸브홈(244)이 형성된 제1 디스크밸브(24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0)은 상하로 연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부 외경이 제1 밸브시트(110)의 내경으로 결합된다.
제1 부싱(220)은 제1 하우징(210)의 내경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저면에는 슬라이딩홈(222)이 형성되어 제1 디스크밸브(240)가 전후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부싱(220)에는 제1 작동레버(230)가 축핀(232)으로 상하회전가능 하게 결합되는데, 제1 작동레버(230)의 상부에는 탭홀(234)이 천공되어 제1 핸들(240)에 고정볼트(242)로 고정되며, 제1 작동레버(230)의 하단부(232)는 제1 연결홈(242)에 연결되어 제1 디스크밸브(240)를 전후로 작동시킨다.
제1 디스크밸브(240)의 상부에는 제1 연결홈(242)이 형성되어 제1 작동레버(230)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제1 디스크밸브(240)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246)이 구비되어 제1 부싱(220)의 슬라이딩홈(22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제1 디스크밸브(240)의 저면에는 제1 밸브홈(244)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밸브홈(244)은 제1 작동레버(230)의 작동에 따라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의 개폐를 단속하고 및 수온을 조절하게 된다.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제1 밸브부재(2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제1 핸들(250)을 상하로 작동시키면 제1 작동레버(230)이 축핀(23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디스크밸브(240)를 전후로 이동시키고, 이같이 이동된 제1 디스크밸브(240)는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를 열거나 차단함에 따라 제1 유출구(11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핸들(240)을 제1 부싱(220)의 축으로 좌우회전시키면 제1 작동레버(230)와 제1 부싱(220) 및 제1 디스크밸브(240)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의 개폐상태를 조절하여 제1 유출구(116)를 통해 유출되는 냉·온수의 수온을 조절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밸브부재(300)는 제2 밸브시트(120)에 장착되어 배출구(152)로 배출되는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배출수온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2 밸브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온수유입구 (122)(124) 및 제2 유출구(126)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연통되어 제2 밸브시트(120)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310)과; 상기 제2 하우징(310)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싱(320)과; 상기 제2 부싱(320)에 축핀(332)으로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레버(330)와; 상기 제2 작동레버(330)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제2 연결홈(34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배출수온을 조절하도록 제2 밸브홈(344)이 형성된 제2 디스크밸브(340)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310)은 상하로 연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부 외경이 제2 밸브시트(120)의 내경으로 결합된다.
제2 부싱(320)은 제2 하우징(310)의 내경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저면에는 슬라이딩홈(322)이 형성되어 제2 디스크밸브(340)가 전후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부싱(320)에는 제2 작동레버(330)가 축핀(332)으로 상하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2 작동레버(330)의 상부에는 탭홀(334)이 천공되어 제2 핸들(340)에 고정볼트(342)로 고정되며, 제2 작동레버(330)의 하단부(332)는 제2 연결홈(342)에 연결되어 제2 디스크밸브(340)를 전후로 작동시킨다.
제2 디스크밸브(340)의 상부에는 제2 연결홈(342)이 형성되어 제2 작동레버(330)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제2 디스크밸브(340)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346)이 구비되어 제2 부싱(320)의 슬라이딩홈(32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제2 디스크밸브(340)의 저면에는 제2 밸브홈(344)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 밸브홈(344)은 제2 작동레버(330)의 작동에 따라 제2 냉·온수유입구 (122)(124)의 개폐를 단속하고 및 수온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핸들(350)을 상하로 작동시키면 제2 작동레버(330)이 축핀(33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 디스크밸브(340)를 전후로 이동시키고, 이같이 이동된 제2 디스크밸브(340)는 제2 냉·온수유입구(122)(124)를 열거나 차단함에 따라 제2 유출구(12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핸들(350)을 제2 부싱(320)의 축으로 좌우회전시키면 제2 작동레버(330)와 제2 부싱(320) 및 제2 디스크밸브(340)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제2 냉·온수유입구(122)(124)의 개폐상태를 조절하여 제2 유출구(126)를 통해 유출되는 냉·온수의 수온을 조절하게 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출구연결유로(150)에는 솔레노이드밸브(400)가 설치되어 제2 밸브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제2 유출구(126)로 유출되는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즉, 제2 밸브부재(300)의 작동으로 제2 유출구(126)를 통해 유출되는 냉온수가 솔레노이드밸브(400)의 단속에 의해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되거나 차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40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발판스위치(5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판스위치(500)의 작동에 따라 출구연결유로(150)를 단속하게 된다. 즉, 발판스위치(500)를 발로 밟으면 솔레노이드밸브(400)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출구연결유로(15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제1 핸들(250)을 손으로 잡고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면 제1 밸브부재(200)가 작동되면서 적절한 수온으로 조절된 냉온수가 배출되거나 차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2 핸들(350)을 손으로 잡고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면 제2 밸브부재(300)가 작동되면서 적절한 수온으로 조절된 냉온수가 제2 유출구(126)를 통해 출구연결류로(150)로 유출된다. 이같이 유출되는 냉온수는 솔레노이드밸브(400)에 의해 차단되는데, 이때 발판스위치(500)를 발로 밟으면 솔레노이드밸브(400)가 출구연결유로(150)를 개방하여 배출구(152)를 통해 냉온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어서, 발로 발판스위치(500)를 한번 더 밟으면 솔레노이드밸브(400)가 출구연결유로(150)를 차단하여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되던 냉온수가 끊기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발판스위치(500)를 밟으면, 제2 밸브부재(300)에 의해 냉온수의 수온이 미리 조절된 상태에서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되므로, 적절히 조절된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밸브부재(300)에 의해 냉온수의 배출량이 미리 조절된 상태에서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되므로, 적절히 조절된 냉온수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를 통해 냉온수의 배출수온 및 배출량이 미리 조절된 상태에서 발판스위치를 밟아 적절한 냉온수를 배출하므로,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손으로 배출수온 및 배출량의 조절이 어려운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적절한 수온의 냉온수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출수온 및 배출량이 적절히 조절된 상태에서 발판스위치를 발로 밟아 냉온수를 배출시키므로, 고온으로 배출되면서 사용자가 놀라거나 피부가 데어 상함을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특히, 본 고안은 행동에 제약이 따르는 어린아이나 노약자가 발판스위치를 밟는 것만으로도 적절히 조절된 냉온수가 배출되므로, 어린아이나 노약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이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될 때, 손으로 배출수온 및 배출량의 조절이 어려운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적절한 수온의 냉온수를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10)관 및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관(20)에 연결되어 냉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도밸브에 있어서,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 및 제1 유출구(116)가 구비된 제1 밸브시트(110)와, 제2 냉·온수유입구(122)(124) 및 제2 유출구(126)가 구비된 제2 밸브시트(120)와, 상기 제1·제2 냉수유입구(112)(122)를 연결하면서 냉수공급관(10)에 연결되는 냉수연결유로(130)와, 상기 제1·제2 온수유입구(114)(124)를 연결하면서 온수공급관(20)에 연결되는 온수연결유로(140)와, 상기 제1·제2 유출구(116)(126)를 연결하여 냉온수를 배출시키도록 배출구(152)를 구비하는 출구연결유로(150)로 이루어지는 밸브케이싱(100); 상기 제1·제2 밸브시트(110)(120)에 각각 장착되어 배출구(152)로 배출되는 냉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면서 배출수온을 조절하는 제1·제2 밸브부재(200)(300); 상기 제2 유출구(126)로 유출되는 냉온수를 단속하도록 출구연결유로(15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40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0)를 작동시키는 발판스위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재(200)는,
    제1 냉·온수유입구(112)(114) 및 제1 유출구(116)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연 통되어 제1 밸브시트(110)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210); 상기 제1 하우징(210)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싱(220); 상기 제1 부싱(220)에 축핀(232)으로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작동레버(230); 상기 제1 작동레버(230)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제1 연결홈(24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배출수온을 조절하도록 제1 밸브홈(244)이 형성된 제1 디스크밸브(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레버(230)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제1 핸들(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부재(300)는,
    제2 냉·온수유입구(122)(124) 및 제2 유출구(126)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연통되어 제2 밸브시트(120)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310); 상기 제2 하우징(310)의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싱(320); 상기 제2 부싱(320)에 축핀(332)으로 상하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레버(330); 상기 제2 작동레버(330)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상부에 제2 연결홈(34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온수의 배출단속 및 배출수온을 조절하도록 제2 밸브홈(344)이 형성된 제1 디스크밸브(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레버(330)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제2 핸들(3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KR2020060007705U 2006-03-22 2006-03-22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KR200417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05U KR200417652Y1 (ko) 2006-03-22 2006-03-22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05U KR200417652Y1 (ko) 2006-03-22 2006-03-22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652Y1 true KR200417652Y1 (ko) 2006-06-01

Family

ID=4176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05U KR200417652Y1 (ko) 2006-03-22 2006-03-22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6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814B2 (en) Water supply valve cartridge
JP5384069B2 (ja) 自動水栓
JP7431852B2 (ja) 二位置弁を備えたサニタリー器具
KR100878378B1 (ko)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RU2324855C2 (ru) Кран-смеситель
KR200417652Y1 (ko) 손 및 발을 이용하는 수도밸브
JPH094736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湯水混合栓
TWI603021B (zh) On the valve and water supply device
JP2002320566A (ja) 残水及び不適温水を逃がす吐水装置
JPH09178008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安全装置
JP4657502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101654417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헤드
KR200419784Y1 (ko) 수온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수전금구구조
KR101314012B1 (ko) 수전 금구
KR200384880Y1 (ko) 온냉수 혼합조절밸브
GB2451800A (en) Mixing apparatus
JP3757869B2 (ja) 自動水栓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JP7223603B2 (ja) 水栓及び水栓装置
JP4415336B2 (ja) 吐水具
KR101436148B1 (ko) 세면대의 수량 조절기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0327570Y1 (ko)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