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277Y1 -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 Google Patents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277Y1
KR200416277Y1 KR2020060004433U KR20060004433U KR200416277Y1 KR 200416277 Y1 KR200416277 Y1 KR 200416277Y1 KR 2020060004433 U KR2020060004433 U KR 2020060004433U KR 20060004433 U KR20060004433 U KR 20060004433U KR 200416277 Y1 KR200416277 Y1 KR 200416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album
photo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주
Original Assignee
정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주 filed Critical 정윤주
Priority to KR2020060004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2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42F5/02Stamp or like filing arrangements in 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작이 더욱 용이하고 견고한 낱장사진의 연결로 구성되는 사진연결앨범의 내지에 관한 것이다.
2장의 낱장사진을 한 장으로 연결하는 종래의 앨범 내지는 연결부위를 파손방지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하였으므로, 연결 틈으로 접착성분이 밀려나와 미관상 좋지 않고, 사진 두장을 연결하기위해 15~20mm 폭의 테이프를 사용하는바 연결작용을 한 연결테이프의 폭이 사진 뒷면에 자국으로 나타나 층을 만드는 불완전함이 있으며, 합성테이프의 성질상 열에 약한 단점으로 인해 장기간 보관시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등의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장의 사진을 연결하여 소위 파노라마사진의 효과를 내는 연결사진 앨범의 내지에 있어서, 상기 내지는 쉽게 꺾이지 않도록 중심에서 보강 기능을 하는 보강부(30)와, 전·후면에 부착되고 그 위로 사진2장을 바로 연결 부착하는 접착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강부(30)를 일체로 구성하고, 그 양면에 접착부(40)를 형성하여 그 위에 사진(20)두장을 연속하여 부착함으로써 연결사진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본 고안에 의하면, 두장의 사진을 연결하는 방식이 일부접착에 의한 연결이 아니라 일체형의 연결방식이므로 사진 뒷면에 층을 만드는 불완전함을 해결하였으며, 종래처럼 합성비닐과 종이의 서로 다른 재질로 연결하지 않고, 종이와 종이의 같은 성질의 재질로 연결함으로써 접착성분이 배어나오지 않아 미관상 깔끔하며, 접착제에 의한 연결이 아니라 일체형의 연결방식이므로 장기간 보관시에도 앨범의 휨현상이 거의 없으며, 연결부위가 벌어지지 않아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
앨범, 사진, 유포지, 밀크지

Description

사진연결앨범의 내지{Pasteboard of Album}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사진 30 : 보강부
31 : 접철부 40 : 접착부
41 : 코팅면
본 고안은 앨범의 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낱장사진 2장을 연결하여 소위 파노라마사진의 효과를 내는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작하도록 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진연결앨범 내지는 2장의 낱장 사진을 접철시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소 얇은 두께의 파손방지용 테이프로 연결 부착시킨 후 접철된 사진의 양 배면에 밀크지 또는 두꺼운 흑합지 낱장을 부착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보강부 전. 후면에 사진을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사진이 부착된 보강부의 중앙을 접고, 다시 여러 개를 적층 하여 한 권의 내지를 구성한 후 표지를 결합함으로써 완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진연결앨범 내지는 2장의 사진을 연결하는 합성테이프의 접착성분이 밀려나와 끈적임이 있으며, 연결테이프의 폭이 자국으로 나타나 사진의 뒷면에 층을 이루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파손방지테이프의 비닐성질상 열에 약해 장기간 보관시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진연결 내지의 구성과 사진연결의 방식을 개선하여 제작이 더욱 용이하고 견고한 앨범의 내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는 쉽게 꺾이지 않도록 중앙에서 보강 기능을 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전·후면에 외 측 일면이 PVC코팅 처리된 접착부가 접착제에 의해 좌우로 연결부착되어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앨범의 내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두장을 좌·우측에 연결접착시킨 후 중앙부를 접을 수 있도록 중심에 접철부(31)가 형성되는 접착부(40)와, 연결사진으로 부착된 양 접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30)는 내지가 쉽게 접히거나 꺾이지 않도록 중심에서 보강 역할을 하게 되며, 재질은 동종업계에서 흔히 '밀크지' 또는 '흑합지 낱장'이라고 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켄트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부(30)는 한 페이지에 하나씩 구비되는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2페이지를 일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 접철부(3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접철부(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접착부(40)가 쉽게 접혀질 수 있도록 제본을 하기 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체로 구성된 보강부(30) 전·후면에는 일측에 코팅면(41)을 구비한 접착부(40)를 접착제에 의해 부착한다.
상기 접착부(40)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유포지의 한쪽 단면에만 모조지를 배접한 종이를 사용하며, 유포지 원형의 한 면을 보강부(30)의 전·후면에 부착하고, 코팅면(41)의 상부에는 제본용 면지풀 등의 접착제에 의해 다시 사진(20) 2장을 연결하여 부착한다.
상기 유포지란 백색 합성수지로 제작된 종이로 백색 PVC보다 종이 질감이 나게끔 제작된 것으로, 실사출력은 기본이고 최상의 해상도는 물론 내구성, 내수성 및 찢어짐에 강하며 특히, 출력물의 화질이 뛰어나고 조명효과가 탁월하다. 물과 습기에 강하여 사용용도가 다양하며, 주로 고급명함이나 차량 스티커 대용으로 쓰인다.
상기 유포지로 구성된 접착부(40)는 접착력이 우수하여 사진(20)이 견고하게 밀착하여 부착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사진인 인화지와 성질이 같은 종이로 두 장의 사진을 연결했을 때 연결부위가 자연스럽고, 습기에 강한 장점으로 인해 접착제로 접착되는 앨범의 휨을 최대한 방지하고, 외측 일면에 PVC코팅처리가 되어 있어서 반복사용시에도 기존의 합성테이프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접착부(40)는 보강부(30) 두께의 1/5 이하로 형성되어, 접철부(31)에 따라 내지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복수 개의 내지를 적층하여 1 Set를 구성하고, 표지를 결합함으로써 앨범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앨범의 내지는 접착부(40)에 두 장의 사진을 일체로 연결부착하게끔 구성되어있어, 두 장의 사진을 15~20mm 폭의 합성테이프로 연결한 기존의 연결사진 내지에 비해 원형의 변화가 없고, 사진의 앞면을 덮고, 뒷면을 보며 테이프로 연결해야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사진의 앞면을 보며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제작이 더욱 용이하고, 접착성분 역시 배어나올 소지가 없어 미관상으로도 더욱 깔끔하고 견고한 앨범이 되는 것이다.
또한, 표면이 매끄럽고, 찢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진 유포지로 이루어진 접착부(40)에는 2장의 사진을 바로 연결부착하므로, 기존 방식처럼 연결테이프의 폭 만큼 사진 뒷면의 테이프 두께 자국이 층으로 남는 불완전함이 해결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종이의 특성상 더욱 견고히 밀착되어 장기간 보관, 사용 시에도 앨범의 휨현상을 최대한 줄이며, 사진이 떨어지거나 벌어지는 등의 불완전함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 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진연결앨범의 내지는 보강부(30)와 접착부(40)를 일체로 구성하고, 연결할 사진 2장을 함께 보며 접착부(40)에 사진연결작업을 할 수 있어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부(30)의 상부에 코팅면(41)을 구비한 접착부(40)와 사진(20)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연결테이프 자국이 생기지 않아 제품의 미관이 수려하고, 반복 사용시에도 파손의 우려성이 감소됨은 물론 기존방식의 결점인 사진연결부위의 접착성분으로 인한 끈적임이 없으며 장기간 보관 사용시에도 접착성분이 배어나오거나 테이프의 수축에 의해 연결부위가 벌어지는 등의 부작용 없이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종 대형사진을 부착하는 앨범의 내지에 있어서,
    소정두께이상의 켄트지로 이루어지며, 사진 2장을 좌·우측에 접착시킨 후 중앙부를 접을 수 있도록 중심에 접철부가 형성되는 보강부와;
    일측에 코팅면을 구비한 유포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면은 사진이 접착되고, 타 측면은 보강부의 전·후면에 접착되는 접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보강부 두께의 1/5 이하로 형성되어, 접철부에 따라 내지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KR2020060004433U 2006-02-17 2006-02-17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KR200416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33U KR200416277Y1 (ko) 2006-02-17 2006-02-17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433U KR200416277Y1 (ko) 2006-02-17 2006-02-17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277Y1 true KR200416277Y1 (ko) 2006-05-12

Family

ID=4176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433U KR200416277Y1 (ko) 2006-02-17 2006-02-17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2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15376A (ja) 写真アルバム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6315376A5 (ko)
KR200416277Y1 (ko) 사진연결앨범의 내지
JP4277013B2 (ja) 写真集の製本方法
CN201405590Y (zh) 一种粘贴式相册
JP4328270B2 (ja) アルバム
US20020021000A1 (en) Photo album
US20140361524A1 (en) Photograph album
US20140079464A1 (en) Media binder
WO2009117878A1 (zh) 一种页面结构及其制备方法和成册方法
JP2011046049A (ja) アルバム台紙の製造方法及びアルバム台紙
JP3127867U (ja) デジタル加工写真アルバム
KR200417251Y1 (ko) 코팅재를 구비하는 앨범 속지 구조
KR200395712Y1 (ko) 앨범
KR20130016981A (ko) 사진앨범 제조방법
JP3112335U (ja) 写真用アルバム
JP3112973U (ja) 開脚角度を自由に変えられる二重補助支脚式簡易スタンド
KR200433890Y1 (ko) 사진앨범
JP2011156742A (ja) アルバムの製本方法
CN203766298U (zh) 一种连环画式影册
TWM253495U (en) Water-proof leaf structure for photo album
TWM249825U (en) Improved structure for inner page of photo album/picture album
KR200168174Y1 (ko) 대지를 2장씩 철하여 된 앨범
KR200393892Y1 (ko) 사진앨범
KR20140147945A (ko) 사진 앨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