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256Y1 -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 Google Patents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256Y1
KR200416256Y1 KR2020060003827U KR20060003827U KR200416256Y1 KR 200416256 Y1 KR200416256 Y1 KR 200416256Y1 KR 2020060003827 U KR2020060003827 U KR 2020060003827U KR 20060003827 U KR20060003827 U KR 20060003827U KR 200416256 Y1 KR200416256 Y1 KR 200416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bundle
wire
prot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화
Original Assignee
송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화 filed Critical 송석화
Priority to KR2020060003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H02G15/1813Wraparound or slotted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다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을 감싸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형 돌출부(P)와 "└┘"형 요입부(G)가 서로 반복되는 관벽 구조의 콜게이트 관 구조를 이룬다.
본 고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는, 튜브의 콜게이트 구조에 의해 자체 강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밴딩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으며, 열수축성 특성에 의해 튜브의 내주면이 전선 다발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선 다발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배선 공간이 축소되어 공간 활용도가 좋아지는 동시에 전선 다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전선, 콜게이트 튜브, 전선 보호, 열 수축성

Description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A tube for wiring protection}
도 1은 종래 자동차 배선 보호용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를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전 사용상태도이고,
(나)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후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종 단면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전 종 단면도이고,
(나)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후 종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횡 단면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전 횡 단면도이고,
(나)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후 횡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 제2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절개부 12. 인출홈
20. 튜브 d1. 초기직경
d2. 축소직경 W.전선 다발
본 고안은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전선 다발을 내경부에 넣은 후 가해지는 열에 의해 튜브의 직경을 축소시켜 그 내주면과 전선 다발의 외주면을 밀착된 상태로 전선 다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적절한 강성과 유연성을 갖도록 축 방향을 따라 반복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시킨 열수축성 재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들 중의 하나이며, 오늘날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자동차는, 전자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었는 바, 각종 기능을 위한 전장품의 수가 많아지면서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많은 전선들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자동차 내부에 배선되는 다수의 전선들은 하나의 묶음 즉, 다발로 묶여져 새시 바닥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종 전장품들과 밧데리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다발은, 나무 가지와 같이, 가장 굵은 중심 다발로부터 서로 가까운 위치에 인접한 전장품들 측으로 분기된 후 최종 각 전장품으로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자동차에 배선되는 전선 다발을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라 한다.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가닥의 전선들이 하나로 묶여져 배선 형태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차량 정비시 다루기 쉬울 뿐 아니라, 그 전체 외주면이 다시 피복 처리됨으로써 전체 전선이 외부로부터 함께 안전하게 보호됨은 물론, 그 외관도 개선되는 바, 종래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와이어링 하네스는, 그 전체 외주면이 절연 테이프로 감싸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절연 테이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외주면을 테이프로 일일이 감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의 내열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내구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운행 중 차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떨어짐으로써 보호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될 수가 있다.
또한, 접착된 테이프가 밀려나면서 테이프에 도포되었던 접착제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노출된 접착제 자국에 의해 그 표면이 끈적거리면서 외부 미물질이 묻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와이어링 하네스를 보호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 기 위하여 개발된 '자동차 배선보호용 튜브'가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5-74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배선보호용 튜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며 축방향을 따라 일측에 절개부(11)가 형성되고 절개부(11) 상에 일정 간격씩 인출홈(12)이 구비된 사각 튜브로써, 절개부(11)를 이용하여 전선 다발을 튜브의 내부로 쉽게 매입할 수 있으며, 그 구조도 간단하면서 전선의 보호 효과도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절개부(11)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배선시 튜브가 굴곡되는 곳에서는 절개부(11)가 벌어지면서 내부의 전선들이 튜브 밖으로 나오게 될 수 있음은 물론, 굴곡되지 않는 곳에서도 전선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절개부가 벌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의 경우, 절개부(11)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 추가적으로 절연 테이프를 감게 되는 바, 튜브 외주면에 대한 테이핑 작업이 추가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면서 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접착 테이프에 의한 문제점은 그대로 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는, 일반적으로, 그 직경이 전선 다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주행 중 전선 다발이 튜브 내경부에서 유동하면서 부딪혀 전선 다발에 충격이 가해질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충돌음 또는 마찰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튜브의 내경부와 전선 다발의 외주면이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튜브 에 의해 전선 다발의 강도 향상 효과가 거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전선 다발 보호용 외피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기 큰 직경의 튜브 내경부로 전선 다발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고, 외부 열에 의해 튜브의 직경이 수축되면서 튜브의 내주면이 전선 다발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선 다발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튜브의 콜게이트 구조에 의해 강성이 높은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튜브의 관벽이 갖는 요철 구조와, 튜브가 가진 열수축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는, 그 내경부에 다수 전선의 묶음 즉, 전선 다발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전선 다발을 넣은 후에는 전선 다발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선 다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튜브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튜브는, 튜브의 강성 보강과 자유로운 배선을 위하여, 그 관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 돌출부와 "└┘"형 요입부가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된 구조 즉, 콜게이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튜브의 내경부에 전선 다발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기 위해서, 특히, 전선 다발에 연결된 커넥터 등이 튜브 내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튜브의 내경이 전선 다발의 외경보다 커야 하는 바, 이에 따라, 전선 다발의 설치 공간이 확대되어 공간 이용율이 떨어지게 되고, 그 결과, 자동차 새시 내부의 좁은 공간에 전선 다발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선 다발이 튜브 내경부에서 유동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주행중 전선 다발이 튜브 내경부에서 유동하면서 전선 다발과 튜브 사이의 충돌음 또는 마찰음과 같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전선 다발 외주면과 튜브 내주면이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선 다발과 튜브의 조합에 따른 강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즉, 예를 들어, 두 가닥의 전선이 떨어져 있는 경우 적은 힘에 의해 한 가닥씩 차례로 절단될 수 있으나, 두 가닥의 전선이 서로 밀착되어 있게 되면 한 가닥을 절단할 수 있는 적은 힘으로 두 가닥의 밀착된 전선을 절단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튜브와 전선 다발 사이의 소음과, 전선 다발이 삽입된 전체 튜브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튜브의 내주면과 전선 다발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튜브를 열 수축성 합성수지로 제조하함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튜브 내경부에 전선 다발을 더욱 쉽게 넣기 위하여, 튜브의 관벽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이는, 튜브의 일측단부 개구를 통하여 전선 다발을 삽입하지 않고, 절개부를 통하여 전선 다발을 손쉽 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그 양측 절개면을 이격시켜 그 사이를 통하여 튜브의 내경부에 전선 다발을 삽입하는 경우, 전선 다발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전선 다발을 삽입한 후 절개부가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튜브를 열수축성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다.
즉, 전선 다발을 삽입한 후 튜브에 열을 가하게 되며, 튜브가 수축하면서 튜브가 전선 다발에 밀착하게 되고, 수축과 함께 튜브의 두께가 후육화하면서 튜브의 탄성과 강도가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튜브의 절개부가 쉽게 벌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는, 열 수축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콜게이트 튜브로서, 튜브의 일측단부 혹은 절개부를 통하여 그 내부로 전선바달을 삽입 후, 튜브의 외주면에 열을 가하여 삽입된 전선 다발의 외주면과 튜브의 내주면이 밀착시킨 상태로 사용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전·후 사용 상태도를, 도 4에 본 고 안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전·후 상태를 보인 종 단면도를, 도 5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가열 전·후 상태를 보인 횡 단면도를, 도 6에 본 고안 제2실시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20)는, 원호상의 종 단면을 가지며, 관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형 돌출부(P)와 "└┘"형 요입부(G)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요철 구조, 즉, 콜게이트 구조를 갖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P)는, 수직한 두 측벽(S)의 상단부를 잇는 정상부(T)에 의해 횡 단면이 "┌┐" 형상을 이루며, 요입부(G)는 수직한 두 측벽(S)의 하단부를 잇는 저면부(B)에 의해 횡 단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튜브(20)의 관벽에 돌출부(P)와 요입부(G)가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된다.
즉, 두 측벽의 상단부를 잇는 정상부(T)에 의해 돌출부(P)가 형성되고, 상기 두 측벽의 중 어느 한 측벽과 이에 이웃하는 다른 측벽의 하단부를 잇는 저면부(B)에 의해 요입부(G)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돌출부(P)와 하나의 요입부(G)의 경계가 되는 측벽은 돌출부(P)와 요입부(G)의 공통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돌출부(P)와 요입부(G)가 튜브(20) 관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어 콜게이트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튜브(20) 자체의 강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P)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전선 다발(W)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튜브(20) 관벽의 모든 두께가 동일하도록 제작함으로써, 튜브(20) 전 체가 일정한 강성을 갖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취약 부위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튜브(20)의 재료가 되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튜브(20)의 직경이 감소되도록 수축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튜브(20)의 직경을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도 4의 (가) 내지 도 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가하기전의 초기직경(d1)을 갖는 튜브(20)의 내경부로 전선 다발(W)을 삽입한 후 튜브(20)의 외주면에 열을 가하게 되면, 도 4의 (나) 내지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튜브(20)는, 초기직경(d1)에서부터 수축하여 초기직경(d1)보다 작은 축소직경(d2)으로 감경되고, 축소직경(d2)을 갖는 튜브(20) 관벽의 내주면 요입부(G)가 전선 다발(W)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가열 전·후 튜브(20)의 초기직경(d1)과 축소직경(d2) 사이의 차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 바, 직경 기준으로, 50% 이상의 축소가 가능한 바, 전선 다발(W)의 직경에 관계 없이 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전선 다발(W)과 튜브(20)의 밀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의 관벽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는 절개부(C)를 형성시킴으로써, 이 절개부(C)를 통하여 튜브(20)의 내경부로 전선 다발(W)을 보다 손쉽게 삽입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는, 튜브 관벽의 콜게이트 구조에 의해 자체 강성이 향상되고, 밴딩에 대한 유연성이 증가하여 전선 다발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배선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수축성 특성에 의해 튜브와 전선 다발을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선 공간이 축소되어 공간 활용도가 좋아지는 동시에 전선 다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전선 다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을 감싸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에 있어서,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형 돌출부(P)와 "└┘"형 요입부(G)가 서로 반복되는 관벽 구조의 콜게이트 튜브(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0)의 관벽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벽을 관통하는 절개부(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KR2020060003827U 2006-02-10 2006-02-10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KR200416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27U KR200416256Y1 (ko) 2006-02-10 2006-02-10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27U KR200416256Y1 (ko) 2006-02-10 2006-02-10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256Y1 true KR200416256Y1 (ko) 2006-05-15

Family

ID=4176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27U KR200416256Y1 (ko) 2006-02-10 2006-02-10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2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60B1 (ko) 2008-01-12 2009-02-16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베어용 주름관
KR101103670B1 (ko) 2011-07-21 2012-01-11 주식회사 토치 변형능이 우수한 프레임 캡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904792B1 (ko) * 2016-08-11 2018-10-05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옥외용 전선 조인트 밀봉용 열수축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57991A (ko) * 2019-11-13 2021-05-24 (주)장인기술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애드벌룬형 조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60B1 (ko) 2008-01-12 2009-02-16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베어용 주름관
KR101103670B1 (ko) 2011-07-21 2012-01-11 주식회사 토치 변형능이 우수한 프레임 캡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904792B1 (ko) * 2016-08-11 2018-10-05 한미케이블 주식회사 옥외용 전선 조인트 밀봉용 열수축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57991A (ko) * 2019-11-13 2021-05-24 (주)장인기술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애드벌룬형 조명
KR102321286B1 (ko) * 2019-11-13 2021-11-04 (주)장인기술단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애드벌룬형 조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192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構造
US20100038011A1 (en) Method and member for retaining cable harness shape
KR200416256Y1 (ko) 전선 다발 보호용 튜브
CN111509643B (zh) 保护管连接结构
JP5083128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構造
JP2008226587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
WO1999010206A1 (en) Wire harness with integral connector
JP6724771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20130228367A1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JP6080341B2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140003643A (ko) 경로 유지 부재 구비 코르게이트 튜브 및 와이어 하네스
JP6515820B2 (ja) パイプ取付部品およびパイプの端部構造
JP2007185067A (ja) 可撓電線保護管
JP2007288972A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保護構造
JP5675327B2 (ja) 保護管固定構造
KR200416736Y1 (ko) 전선 보호용 콜게이트 튜브 조립체
JP6709596B2 (ja) 電線束
US9601838B2 (en) Splice for gathering ends of electric wire bundle
JP2017163664A (ja) 電線のプロテクタ保護構造
KR200446541Y1 (ko) 배가름형 튜브
JP202210956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及びプロテクタ
JP2007049784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4250009B2 (ja) 電線保護部材の固定構造
JP2017208982A (ja) 電線保護用チューブ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H10210627A (ja) 電線外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