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69Y1 -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69Y1
KR200415569Y1 KR2020060004152U KR20060004152U KR200415569Y1 KR 200415569 Y1 KR200415569 Y1 KR 200415569Y1 KR 2020060004152 U KR2020060004152 U KR 2020060004152U KR 20060004152 U KR20060004152 U KR 20060004152U KR 200415569 Y1 KR200415569 Y1 KR 200415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all
main body
desktop structur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환
Original Assignee
최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환 filed Critical 최덕환
Priority to KR2020060004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69Y1/ko
Priority to US12/278,737 priority patent/US20090166492A1/en
Priority to JP2008555143A priority patent/JP2009526674A/ja
Priority to PCT/KR2007/000717 priority patent/WO20070945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6Suspension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2Buckles, buttons, clasps, etc. having magnetic fastener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또는 탁상 양측 두가지 방식의 겸용으로 적용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다수의 면지가 일단부 테두리에 연결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타단부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절첩부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벽면과의 결합을 위한 행거수단이 마련되는 결합면과, 그 결합면과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탈착시켜 탁상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벽면에 걸어 사용하거나 탁상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절첩부에 의해 절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물류과정에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구매할 필요없이 하나의 제품으로 벽걸이용 및 탁상용 두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A WALL-HANGING STRUCTURE COMBINED USE A TAB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결합상태를 표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 1실시예가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제 1실시예가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행거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행거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받침대가 별도로 결합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부 120 : 결합면
125 : 통공 125a : 통공
125b : 벨크로 테이프 125c : 결합부재
126a,126b : (양측)지지부
126c : 고정부 127 : 지지면
130 : 절첩부 150 : 연결링
200 : 면지 210 : 끼움홈
310 : 결합구 400 : 고정부재
500 : 스텐드 610 : 행거부재
700 : 지지대 710a,710b : 지지부
720 : 고정부 750 : 연결부
G : 물품
본 고안은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탁상에 안착하거나 또는 벽에 걸어서 지지할 수도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용 달력은 테이블에 세워진 상태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삼각형의 두꺼운 판지로 이루어진 삼각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삼각 지지대의 일측 또는 타측면에 여러장의 달력지의 단부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탁상용 달력은 우편 등을 이용한 배송과정에서 별도의 포장 상자등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포장 상자의 부피가 큰 관계로 배송이 용이하지 못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송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포장 상자가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버려져 쓰레기(산업 폐기물)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장 상자가 아닌 비교적 저렴한 비용을 갖는 비닐 봉투등을 이용하여 배송할 경우에는 그 배송과정에서 강도가 약한 코일 스프링이 구겨지는 등의 제품 손상을 입을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벽걸이용 달력은 별도의 지지대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여러개를 적층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시에는 별도의 포장상자등이 요구되지 않고 보관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여러개를 적층시켜 박스나 다른 봉투등에 담아서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탁상용 달력과 같이 안착시킬 수 없는 단점과 아울러, 벽에 부착하기 위해 벽에 돌출된 못이나 스크류등의 도구가 필요한 단점이 있 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벽걸이용 또는 탁상용 달력들중 하나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가 아닐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설치공간상의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달력을 구매해야 하는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벽걸이용 달력과 탁상용 달력의 장점을 겸비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벽면 또는 탁상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지가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장되고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벽면과 결합가능하도록 행거수단을 갖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본체부의 일부위를 상호 선택적으로 착탈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테두리와 면지의 단부 테두리에 각각 다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들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링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행거수단은 상기 결합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일부에 벽걸이용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행거수단은 상기 결합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과,
상기 벽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연장면의 후면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와 고정부재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인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가 자석부재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와의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금속소재인 것이다.
상기 결합면의 후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결합면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면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면에 양측 부위가 후방으로 젖힘동작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절취 형성되고 타단부가 결합면에 일체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면지에 평면 형태의 물품의 테두리가 각각 끼워지도록 칼집 형태의 끼움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링이 접촉되는 위치의 결합면의 전면에 자석소재의 결합구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면의 일면과 본체부의 일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테이프부재가 마련되어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다음과 같이 설명되는 각 실시예들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의 제 1실시예는,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복수의 면지(200)가 일단부 테두리에 연결링(150)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110)와, 그 본체부(110)의 타단부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절첩부(130)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벽면(W)과의 결합을 위한 행거수단이 마련되는 결합면(120)과, 그 결합면(120)과 본체부(110)를 선택적으로 탈착시켜 탁상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행거수단은 그 결합면(120)의 일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125)과, 그 연장면(125)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통공(125a)이 형성되어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통공(125a)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되어 돌출된 못이나 스크류등의 행거부재(610)에 걸어서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연장면(125)은 결합면(120)의 단부 테두리에 회전 가능하게 절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그 표면에 광고물이 별도로 부착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그 결합수단은 연결링(150)이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결합면(120)의 전면 일부위에 금속소재의 연결링(150)이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달라붙을 수 있도록 설치된 자석소재의 결합구(310)가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된 것이다.
그 절첩부(130)는 본체부(110)와 결합면(120) 사이에 마련된 것으로, 본체부(110)와 결합면(120)이 상호 꺾임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탁상용으로 사용될 때에 바닥면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절첩부(130)에 의해 결합면(120)과 본체부(110)가 경사지게 지지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 단면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행거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앞서 설명한 행거부재와 통공(125a) 대신에 연장면(125)의 후면과 벽면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125b)가 마련되어 벽면과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즉, 벽면과의 결합을 위한 행거수단이 벽면의 일측에 벨크로 테이프(미도시됨)가 일체로 부착되고, 그 벨크로 테이프와 대응되는 다른 벨크로 테이프(125b)가 연장면(125) 또는 결합면(120)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호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 행거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행거수단은 벽면에 금속소재로 된 고정부재(400)가 일체로 부착되고, 그 고정부재(400)와 자기력에 의해 결합가능한 자석으로 된 결합부재(125c)가 결합면(120) 또는 연장면(125)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된 것이다.
이때, 그 고정부재(400)는 금속소재가 아닌 결합부재(125c)와 동일한 자석부 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탁상용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먼저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행거수단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시킨 후에 절첩부(130)를 기준으로 연결링(150)에 의해 연결된 면지(200)가 결합면(120)과 밀착되도록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된 면지(200)가 연결링(150)과 결합구에 의해 결합면(1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벽면에 걸리게 된다.
이때, 금속소재의 연결링(150)은 자석인 결합구(310)에 달라 붙게 되어 결합면(120)과 본체부(110)가 근접되게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면지(200)는 연결링(150)과 결합구(310)에 의해 밀착되거나, 혹은 절첩부(130)가 절첩되지 않은 펼쳐진 상태 그대로 벽면에 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앞서와 동일하게 절첩부(130)를 기준으로 결합면(120)과 본체부(110)가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경사지게 지지되고, 그 연결링(150)이 결합면(120)의 결합구(310)에 의해 자기력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이에 따라 절첩부(130)가 탁상등의 바닥면과 면접촉되어 안착된다.
제 2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조는 다수의 면지(200) 가 결합된 본체부(110)와, 그 본체부(110)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결합면(120)과, 그 본체부(110)와 결합면(12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등의 구성은 동일하나, 그 결합면(120)에 별도의 받침대가 더 마련되는 구조로서, 그 받침대의 구성은 그 결합면(120)의 중앙에 양측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부(126a,126b)가 절첩가능하게 일부위가 각각 절취되게 형성되며, 양측 지지부(126a,126b)의 중간부위에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어 양측 지지부(126a,126b)와 서로 간섭되는 고정부(126c)로 구성된 것이다.
즉, 그 받침대는 양측의 지지부(126a,126b)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일부가 절취 형성되고, 고정부(126c)는 양측 지지부(126a,126b)의 젖힘동작후에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절첩되게 형성되며 양단부가 젖혀진 양측 지지부(126a,126b)와 간섭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40"은 본체부(110)와 결합면(120)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면지(200)가 본체부(110)의 후면으로 넘겼을 때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그 받침대가 결합면(120)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절첩가능하게 연장되어 바닥면의 기능을 갖도록 복수회 절첩 형성되는 지지면(127)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지지면(127)은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에서의 절첩부(130)와 유사한 구조로 마련되지만, 결합면(120)과 본체부(1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면(120)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탁상등의 바닥면과 면 접 촉되도록 복수회 절첩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따라서, 지지면(127)이 형성되어 있을 때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의 절첩부(130)가 생략 가능할 것이다.
또한,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연장면(125)은 결합면(120)의 단부로부터 젖혀짐이 가능하도록 절취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그 지지면(127)의 단부는 절첩된 상태로 결합면(120)의 후면 하부에 테이프부재 또는 접착제(350)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자석 또는 벨크로 테이프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도 9에서와 같이 그 지지면(127)의 단부에 끼움편(127a)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결합면(120)에 끼움편(127a)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하도록 칼집형태의 결합홈(12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받침대는 그외에도, 도 10에서와 같이, 결합면(120)의 후면에 별도의 받침대기능을 갖는 스텐드(500)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테이프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로 된 것을 채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3실시예
도11과 도 12는 본 고안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지대(700)가 결합면(120)의 기능을 갖도록 마련되어 결합면이 생략된 것으로, 앞서 설명한 형태의 지지부와 고정부가 앞서 설명한 지지면(127)의 방식과 같이 일체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것이며, 그 구조는 본체부(110)의 단부 테두리 중앙에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양측에 날개 형태의 지지익(710a,710b)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중앙 내부에 고정면(720)이 회전 가능하게 절첩되어 양측 지지익(710a,710b)의 젖힘동작을 지지하도록 된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그 본체부(110)의 단부 테두리와 이격되도록 연결부(75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본체부(110)와 지지익(710a,710b)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에 바닥면과 면접촉되는 받침면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체부(110)와 지지대(700)의 면과 면이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부재(320)(330)가 각각 마련되며, 그 착탈부재(320)(330)는 자기력을 갖는 자석인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실시예
도 13은 본 고안 제 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면지(200)의 각 모서리 부위와 근접된 부위에 각각의 끼움홈(210)이 형성되고, 그 끼움홈(210)들에 평면 형태의 물품(G)의 모서리 부위가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면지(200)의 모서리 부위에 칼집 형태의 끼움홈(210)이 각각 형성되고, 그 끼움홈(210)에 리필 가능한 메모지, 달력지, 사진등의 평면 형태를 갖는 물품(G)의 모서리 부위가 끼워지는 결합구조로 된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면지(200)에 끼움홈(210)이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본체부(110)에 끼움홈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경우에는 면지가 생략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면지(200)는 종이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중 하나가 채택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날짜가 인쇄된 달력지이거나, 다수개의 메모지가 연결링(150)에 의해 연결되거나, 혹은 접착식 면지(200)를 이용하여 한장씩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면지(200)는 메모지, 사진이나 그림등을 수납할 수 있는 화첩형태의 앨범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벽면 또는 탁상 양측에 겸용으로 적용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벽면에 걸어 사용하거나 탁상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절첩부에 의해 절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물류과정에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구매할 필요없이 하나의 제품으로 벽걸이용 및 탁상용 두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면지가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장되고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벽면과 결합가능하도록 행거수단을 갖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본체부의 일부위를 상호 선택적으로 착탈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테두리와 면지의 단부 테두리에 각각 다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들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수단은 상기 결합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일부에 벽걸이용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수단은 상기 결합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과,
    상기 벽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연장면의 후면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고정부재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자석부재이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와의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금속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의 후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결합면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에 양측 부위가 후방으로 젖힘동작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절취 형성되고 타단부가 결합면에 일체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면지에 평면 형태의 물품의 테두리가 각각 끼워지도록 칼집 형태의 끼움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링이 접촉되는 위치의 결합면의 전면에 자석소재의 결합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11.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면의 일면과 본체부의 일면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테이프부재가 마련되어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KR2020060004152U 2006-02-14 2006-02-14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KR200415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52U KR200415569Y1 (ko) 2006-02-14 2006-02-14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US12/278,737 US20090166492A1 (en) 2006-02-14 2007-02-09 Combination Wallmount and Desktop Structure
JP2008555143A JP2009526674A (ja) 2006-02-14 2007-02-09 卓上・壁掛け兼用構造体
PCT/KR2007/000717 WO2007094586A1 (en) 2006-02-14 2007-02-09 Combination wallmount and desktop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152U KR200415569Y1 (ko) 2006-02-14 2006-02-14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50A Division KR100798762B1 (ko) 2006-09-05 2006-09-05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69Y1 true KR200415569Y1 (ko) 2006-05-03

Family

ID=3837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52U KR200415569Y1 (ko) 2006-02-14 2006-02-14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66492A1 (ko)
JP (1) JP2009526674A (ko)
KR (1) KR200415569Y1 (ko)
WO (1) WO2007094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5354B2 (en) * 2007-06-27 2014-03-18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media memo board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0528A (en) * 1929-04-03 1930-03-11 Plough Article displaying and vending cabinet
JPS4327193Y1 (ko) * 1964-10-14 1968-11-11
JPS5220223Y2 (ko) * 1973-03-23 1977-05-10
US4607817A (en) * 1985-05-06 1986-08-26 Aquino Salvatore A Collapsible podium
US4937963A (en) * 1988-11-21 1990-07-03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Protective enclosure for data cards
US4991812A (en) * 1989-09-28 1991-02-12 Patricia MacEwan Portable viewing stand
US5509746A (en) * 1994-06-22 1996-04-23 Ho; Cheng-Cheng Loose-leaf picture album
JPH09220881A (ja) * 1996-02-20 1997-08-26 Noshi Shiyuukoudou:Kk マグネット付きカレンダー
US5784814A (en) * 1996-02-26 1998-07-28 Innovative Creations, Inc. Calendar display
US5715618A (en) * 1996-09-03 1998-02-10 Whang; Yoonsuk Biennial photo album calendar
JPH1159017A (ja) * 1997-08-21 1999-03-02 Souseru:Kk 卓上カレンダー
JP4089932B2 (ja) * 1998-10-21 2008-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卓上式カレンダー及びそれに用いるホルダー並びに卓上式カレンダーセット
BE1013091A3 (nl) * 1999-08-18 2001-09-04 Drukkerij Stockmans Nv Tafel-informatiedrager.
JP2001260566A (ja) * 2000-03-17 2001-09-25 Toppan Printing Co Ltd 卓上カレンダー
US20040130139A1 (en) * 2003-01-07 2004-07-08 Reising Katherine Scott Cooking easel
US6925739B1 (en) * 2003-05-21 2005-08-09 Accord Publishing, Ltd Calendar box and stand
US7182305B2 (en) * 2003-06-09 2007-02-27 Dempsey Printing, Inc. Product display
US7048126B2 (en) * 2003-08-22 2006-05-23 Meadwestvaco Corporation Desk pad organizer system
JP4271007B2 (ja) * 2003-10-28 2009-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卓上カレンダー
US7225567B1 (en) * 2004-04-13 2007-06-05 Audrey Cunningham Display apparatus for visually communicat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a worker's whereabouts
US7178778B2 (en) * 2004-10-18 2007-02-20 Fuji Photo Film, Inc. Portable easel
US20060080870A1 (en) * 2004-10-20 2006-04-20 Curtis Colligan Calendar hanger device and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20060151988A1 (en) * 2005-01-13 2006-07-13 Shinyo Engineering Limited Paper ring, printed material or calendar using such 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4586A1 (en) 2007-08-23
US20090166492A1 (en) 2009-07-02
JP2009526674A (ja)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98293A (en) Collapsible box
US20040148833A1 (en) Presentation display
US20040107618A1 (en) Convertible Multi-position panel display system
KR200415569Y1 (ko)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KR100798762B1 (ko) 벽걸이 겸용 탁상용 구조체
JP4785498B2 (ja) カレンダ
US20060062494A1 (en) Bag with card holder
WO2007069842A1 (en) Binding goods having covers for standing
KR100658540B1 (ko) 달력
JP3174238U (ja) 折り畳み可能な商品陳列台
KR200436966Y1 (ko) 지지구가 설치된 물품 거치대
KR102010657B1 (ko)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KR20090028016A (ko) 종이를 접어서 만든 엽서 액자 제작 방법
JP3246430U (ja) 支持台
KR200427470Y1 (ko) 다이어리 겸용 탁상 메모 캘린더
JP3155073U (ja) 壁掛兼用卓上カレンダー
JPH0950237A (ja) パンフレットなどの展示収容体
US6488251B1 (en) Media support and display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110003338U (ko) 탁상용 달력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탁상용 딜력
JP2002103486A (ja) カレンダー用台紙、組立台及び収容形態
JP4262354B2 (ja) カード型卓上カレンダー用ホルダー
KR100469048B1 (ko) 탁상용 달력
JP5430045B1 (ja) 陳列具
JP3179563U (ja) 収納具
JP3123756U (ja) 用紙スタンド付デスクメ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