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484Y1 - 물안개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물안개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484Y1
KR200415484Y1 KR2020060004845U KR20060004845U KR200415484Y1 KR 200415484 Y1 KR200415484 Y1 KR 200415484Y1 KR 2020060004845 U KR2020060004845 U KR 2020060004845U KR 20060004845 U KR20060004845 U KR 20060004845U KR 200415484 Y1 KR200415484 Y1 KR 200415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de
plate
water fog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상선
Priority to KR2020060004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4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 담긴 용기 속에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도체봉에 금속판을 구비하여 물의 상부에 안개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습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세족시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한 물안개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안개, 직류, 도체봉, 금속판

Description

물안개발생장치{a mist mak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안개를 발생하는 물안개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족을 위한 물안개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100: 물안개발생부
110: 상판 120: 하판
130,140: 제 1,2전극봉 150,160: 제 1,2금속판
170: 지지봉
본 고안은 물안개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담긴 용기 속에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도체봉에 금속판을 구비하여 물의 상부에 안개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습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세족시 느낌을 좋게 하기 위한 물안개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병원, 사무실 등에서는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기를 이용한 강제식 가습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강제식 가습기는 대부분 초음파로 물을 튕겨 내거나 팬을 회전시켜 강제 가습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강제식 가습기는 팬의 회전시에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강제 가습에 따른 과도한 습기의 발생으로 인해 곰팡이 및 유해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근래에는 자연증발 방식을 채용한 자연증발 가습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증발 가습기는 물을 저장하는 수반과, 상기 수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거치대와, 상기 한 쌍의 거치대에 일측이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반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병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한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 자연증발 가습기는 수반에 저장된 물이 각각의 한지에 흡수된 후 자연 증발하여 가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자연증발 가습기는 수분의 증발이 많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습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금속판과 전극봉을 통해 용기에 담긴 물을 증발시켜 물안개를 만듦에 따라 가습력을 향상시키고, 이 용기에 세족시 느낌을 좋게 할 수 있는 물안개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안개발생부로서 상호 대향하게 한 쌍 구비되며 절연재질인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에 동시에 연결되며 전선을 통해 외부의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 접지되는 제 1전극봉과, 상기 하판에만 연결되며 전선을 통해 외부의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하판으로 접지되는 제 2전극봉과, 상기 제 1전극봉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전극봉에 연결되고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각각의 직류전원의 공급으로 인해 물을 증발시켜 물안개를 발생하는 제 1금속판과, 상기 제 1금속판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2전극봉에만 고정 설치되며 물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해서 물안개의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 2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발생장치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안개를 발생하는 물안개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족을 위한 물안개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안개발생장치로 사용되는 물안개발생부(100)는 상판(110), 하판(120), 제 1전극봉(130), 제 2전극봉(140), 제 1금속판(150) 및 제 2금속판(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은 물안개발생부(100)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며, 각각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전극봉(130)은 상판(110)과 하판(12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선(102)과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 1전극봉(130)은 도체로 형성됨에 따라 직류전류를 흘리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전극봉(130)의 양단부가 각각 상판(110) 및 하판(120)에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일부 삽입되며, 너트(104)로 죄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전극봉(130)은 양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함이 당연하며, 너트(104)는 상판(110)의 양측면 및 하판(120)의 양측면과 접하도록 한 쌍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10)은 전선(102)을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제 1전극 봉(130)과 연결하도록 설치공(112)을 통공한다.
그래서, 상기 전선(102)은 상판(110)의 둘레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정렬된다.
또한, 상기 제 1전극봉(130)과 전선(102)의 연결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으로 도포된 실리콘층(106)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은 제 1전극봉(130)과 접하기 때문에 접지(ground)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전극봉(140)은 하판(120)과만 연결되고,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02)과 접한다.
물론, 상기 제 2전극봉(140)의 하단부는 하판(120)과 너트(104)로써 체결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는 도체인 지지봉(170)이 연결된다.
상기 지지봉(170)은 제 1전극봉(130)과 동일한 성질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지 않으며, 상판(110)과 하판(120)에 각각 너트(104)로써 체결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금속판(150)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제 1전극봉(130), 제 2전극봉(140) 및 지지봉(170)에 동시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금속판(150)은 각 접하는 제 1전극봉(130), 제 2전극봉(140) 및 지지봉(170)에 한 쌍씩의 너트(104)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 1전극봉(130), 제 2전극봉(140) 및 지지봉(170)은 너트(104)와 결합되기 위해 나사산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전극봉(130)과 제 2전극봉(140)은 각각 외부 직류 전원을 인가받기 때문에 제 1금속판(150)은 두 가닥의 전선(102)을 통해 많은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금속판(160)은 제 1금속판(150)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제 2전극봉(140)에만 연결된다.
상기 제 2금속판(160)은 제 2전극봉(140)에 구비되는 한 쌍씩의 너트(104)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제 2금속판(160)은 한 가닥의 전선(102)을 통해서만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부(100)가 물이 저장된 용기(10)에 담기면 물 내부에서 극히 작은 물분자 발생 및 물의 표면에서 물안개가 발생된다.
더욱 상세히, 전선(102)과 연결된 제 1전극봉(130)이 외부의 직류 전류를 공급받게 되면 일정간격으로 접한 제 1금속판(150)에 일시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 후 상판(110) 및 하판(120)을 통해 접지된다.
그러면, 상기 제 1금속판(150)은 열에너지를 발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금속판(150)은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때문에 물로 충분한 열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함에 따라 물의 내·외부 온도차로 인해 물 표면에 서 물안개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금속판(150)은 도체인 제 1전극봉(130), 제 2전극봉(140) 및 지지봉(17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직류 전류는 모든 제 1금속판(150)에 골고루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전극봉(140)은 한 가닥의 전선(102)을 통해 직류 전류를 공급받게 되고, 순간적으로 제 2금속판(160)에 직류 전류를 공급한 후 상판(110) 및 하판(120)을 통해 접지된다.
이때, 상기 제 2금속판(160)은 제 2전극봉(140)에 가해진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며 물에 열기를 방출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전극봉(140)은 제 1금속판(15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금속판(160)에도 많은 전류가 공급된다.
그래서, 상기 제 1금속판(150)과 제 2금속판(160)은 물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많은 물안개를 형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물안개발생부(100)를 담은 용기(10)는 직류전류로서 충분한 가습력을 갖는 가습 기능을 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부(100)가 물이 담긴 용기(10) 속에 잠김에 따라 물안개가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발을 담굼으로써 피부 미용 및 느낌을 좋게 한다.
이때, 상기 물안개발생부(100)의 제 1전극봉(130)과 제 2전극봉(140)이 상판 (110) 및 하판(120)에 의해 접지되기 때문에 뜨거울 정도로 물이 가열되지 않고 감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없게 된다.
상기 물안개발생부(100)가 물 속에서 물안개를 발생하는 원리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고, 미설명된 도면부호도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서 휴대하기 간편하고, 용기 속에 넣어 충분한 가습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발생장치는 세족을 위한 용기에 넣고 물안개를 일으킨 후 세족을 위해 발을 담글 경우 피부 미용에 좋고, 혈액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물안개발생부를 물이 담긴 용기에 넣고 나서 상기 용기 상부로 물안개를 발생하도록 하는 물안개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안개발생부는 상호 대향하게 한 쌍 구비되며, 절연재질인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에 동시에 연결되며, 전선을 통해 외부의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상판과 하판으로 접지되는 제 1전극봉과;
    상기 하판에만 연결되며, 전선을 통해 외부의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하판으로 접지되는 제 2전극봉과;
    상기 제 1전극봉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전극봉에 연결되고,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각각의 직류전원의 공급으로 인해 물을 증발시켜 물안개를 발생하는 제 1금속판과;
    상기 제 1금속판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 2전극봉에만 고정 설치되며, 물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해서 물안개의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 2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하판 및 제 1금속판은 도체인 지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호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전극봉은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상판, 하판, 제 1,2금속판 각각을 한 쌍의 너트로 위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봉 및 제 2전극봉과 전선의 연결부위는 실리콘으로 도포된 실리콘층을 형성하여 방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발생장치.
KR2020060004845U 2006-02-22 2006-02-22 물안개발생장치 KR200415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45U KR200415484Y1 (ko) 2006-02-22 2006-02-22 물안개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845U KR200415484Y1 (ko) 2006-02-22 2006-02-22 물안개발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146A Division KR100771705B1 (ko) 2006-05-12 2006-05-12 물안개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484Y1 true KR200415484Y1 (ko) 2006-05-03

Family

ID=4176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845U KR200415484Y1 (ko) 2006-02-22 2006-02-22 물안개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4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484Y1 (ko) 물안개발생장치
KR100771705B1 (ko) 물안개발생장치
US20060051259A1 (en) Ozone generator
JP6550167B2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US7618583B2 (en) Air purifying process
KR20140093439A (ko)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스팀 분사 피부 미용 기기
JP3116053U (ja) マイナスイオンドライヤー
CN111371000A (zh) 一种富含水分的负离子产生装置
CN206595612U (zh) 一种箱式变压器
KR200410243Y1 (ko)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가습기
CN209596407U (zh) 一种可嵌入温度传感器的电极片
JP2015115159A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212438431U (zh) 多功能烘脚机
TW201221225A (en) Electrostatic atomization apparatus
CN218770555U (zh) 纳米水离子发生器
JP4150259B2 (ja) 植物体用マイナスイオン及び揮発成分拡散装置
CN211772203U (zh) 具有除菌功能的晾衣系统
CN211432655U (zh) 发热均匀的电发热毛巾架
KR200294193Y1 (ko) 발열 기능을 갖는 신발 깔창
CN212118394U (zh) 电热脚踏单元及理疗仪
JP3123093U (ja) 小型脱臭器
KR20190000116U (ko) 습식 겸용 건식 사우나 장치
JP3213827U (ja) ファンを有しないマイナスイオン芳香発生装置
CN101644473B (zh) 一种单相加湿电极结构
JP3138157U (ja) ポータブル岩盤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