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418Y1 -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 Google Patents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418Y1
KR200415418Y1 KR2020060003356U KR20060003356U KR200415418Y1 KR 200415418 Y1 KR200415418 Y1 KR 200415418Y1 KR 2020060003356 U KR2020060003356 U KR 2020060003356U KR 20060003356 U KR20060003356 U KR 20060003356U KR 200415418 Y1 KR200415418 Y1 KR 200415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mal
sensor
measuring surface
power
de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이순우
Original Assignee
이동훈
이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이순우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2020060003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제품을 자동화로 생산하는 제품공정에 있어 제품이 완성된 상태에서 정확한 치수로 생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검사하는 게이지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품이 생산됨과 동시에 하나하나씩 검사함과 동시에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전자화한 것으로 센서의 작동에 의해 불량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한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판(1)의 일측에 대칭되는 슬라이드축(2)(3)을 고정하며 슬라이드축(2)(3)에는 정상 측정면(11)과 불량 측정면(12)을 단턱(10)으로 계단을 두어 구분한 상판(20)과, 정상 측정면(11)과 불량 측정면(12)의 중앙에 각각 관통공(13)(14)을 뚫고 전원선(30)(31)과 연결되는 정상 감지용 감지센서(21)와 불량 감지용 감지센서(22)를 매입하여서 된 센스 게이지(A)와,
생산확인 감지센서(23)를 연결하는 전원선(32)을 전원 컨트롤부(B)의 컨트롤 상자(40)의 장치에 연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판 슬라이드축 단턱 정상 측정면 불량 측정면 관통공 상판 정상 감지용 감지센서 불량 감지용 감지센서 생산확인 감지센서 전원선 컨트롤 상자 전면 덮개 전원램프 정상램프 불량램프 생산갯수문자판 이상부져 전원 스위치 측정시작버튼 측정정지버튼 너트 센스 게이지 전원 컨트롤부

Description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단면도로서 정상 제품이 측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단면도로서 불량 제품이 측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 설명
1: 몸체판 2, 3: 슬라이드축
10: 단턱 11: 정상 측정면
12: 불량 측정면 13, 14: 관통공
20: 상판 21: 정상 감지용 감지센서
22: 불량 감지용 감지센서 23: 생산확인 감지센서
30, 31, 32: 전원선 40: 컨트롤 상자
41: 전면 덮개 42: 전원램프
43: 정상램프 44: 불량램프
45: 생산갯수문자판 46: 이상부져
47: 전원 스위치 48: 측정시작버튼
49: 측정정지버튼 50: 너트
A: 센스 게이지 B: 전원 컨트롤부
본 고안은 각종 제품을 자동화로 생산하는 제품공정에 있어 제품이 완성된 상태에서 정확한 치수로 생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검사하는 게이지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품이 생산됨과 동시에 하나하나씩 검사함과 동시에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전자화한 것으로 센서의 작동에 의해 불량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한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의 산업현장에서 많이 생산하고 있는 각종 부품 중에는 동일함 물품이 연속 반복하여 생산되는 제품이 많다.
이러한 제품들은 통상적으로 자동화 기계에서 생산하는 관계로 대량생산이 되며 이로 인해 자동화 기계에만 의존함으로 대부분 불량 유무를 확인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간간히 확인작업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렇게 자동화로 생산되는 제품에 있어서도 정밀을 요하는 부품이 많으며 또한, 불량품이 발생할 경우 완제품을 생산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고장 원인이 되며 하나의 부품으로 인해 제품 전체가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완성된 제품에서도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하나의 부품도 소홀히 취급할 수 없는 것이다.
하나의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너트와 같은 부품은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치 수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너무 많은 량이 생산되는 관계로 작업자가 일일이 불량 검사를 하지 않고 생산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자동화로 생산되는 부품에 있어서도 자동화 기계의 상태에 따라 불량품이 생산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화로 생산되는 제품에 있어서도 대부분 하나를 생산하고 다은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 있어 대부분 일정한 시간대를 유지하면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작업자는 자동화 기계에서 제품이 만들어지는 시간대에 생산된 제품의 불량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시간을 그냥 보내고 있는 실정으로 제품이 완성되어 수량이 많게 되면 불량 검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냥 납품하거나 판매함으로 인해 완제품 생산자들이 어려움을 경우가 많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제품이 완성되어 나오는 과정에서 제품의 생산 숫자가 표시되며 생산된 제품은 센서 게이지를 통해 불량유무를 불빛이나 소리로서 확인할 수 있어 육안이나 청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특별한 기술 없이도 누구나 쉽게 정상제품과 불량제품을 확인하여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몸체판(1)의 일측에 대칭되는 슬라이드축(2)(3)을 고정하며 슬라이드축(2)(3)에는 정상 측정면(11)과 불량 측정면(12)을 단턱(10)으로 계단을 두어 구분한 상판(20)과, 정상 측정면(11)과 불량 측정면(12)의 중앙에 각각 관통공 (13)(14)을 뚫고 전원선(30)(31)과 연결되는 정상 감지용 감지센서(21)와 불량 감지용 감지센서(22)를 매입하여서 된 센스 게이지(A)와,
생산확인 감지센서(23)를 연결하는 전원선(32)을 컨트롤 상자(40)의 장치에 연결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 상자(40)는 전면 덮개(41)부분에 전원램프(42), 정상램프(43), 불량램프(44), 생산갯수문자판(45), 이상부져(46), 전원 스위치(47), 측정시작버튼(48), 측정정지버튼(49)을 결합한 전원 컨트롤부(B) 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센서 게이지(A)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제품을 검수하고자 하면 도 3내지 도 4에서 표현한 바와 같은 너트(50)를 검수하는 일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컨트롤 상자(40)에 전원선(32)과 연결하고 있는 생산확인 감지센서(23)를 자동화된 생산기계(도시하지 않음)의 제품 배출문에 부착한다.
상기의 준비상태에서 센서 게이지(A)의 상판(20) 배면에 결합한 고정 볼트(25)를 풀은 상태에서 검수하고자 하는 제품의 높이에 맞춰 상판(20)을 상하로 조절한 상태에서 배면의 고정 볼트(25)를 다시 조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준비가 된 상태에서 전원 컨트롤부(B)의 컨트롤 상자(40) 전면 덮개(41)의 전원 스위치(47)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준다.
상기처럼 전원 스위치(47)를 ON 상태로 전환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주면 컨트롤 상자(40) 전면 덮개(41)의 전원램프(42)에 불이 켜지면서 전원이 인가됨을 알 수 있는 상태에서 측정시작버튼(48)을 눌러준다.
이러한 준비과정을 거치면 검수 준비 상태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화기계를 작동시켜주면 일정한 제조시간을 지나게 되면 제조가 완성된 제품이 배출문을 밀면서 통과함과 동시에 생산확인 감지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 컨트롤부(B)의 생산갯수문자판(45)을 반 작동하여 숫자가 약 2/1정도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되면 배출문을 통과한 제품(60)을 작업자가 집어내어 센서 게이지(A)의 몸체판(1)에 얹은 상태에서 상판(20)의 아래로 밀어준다.
상기처럼 검수하고자 하는 제품(60)을 상판(20) 아래로 밀어주면 정상 측정면(11) 아래로 밀려들어 가면 정상 측정면(11)의 관통공(13)에 삽입 고정한 정상 감지용 감지센서(21)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에 감지된 신호는 전원선(30)을 따라 전원 컨트롤부(B)에 전달되면 컨트롤 상자(40) 전면 덮개(41)에 설치한 정상램프(43)가 한번 점멸되면서 정상상태를 알려준다.
이와 동시에 생산갯수문자판(45)의 숫자는 완전히 회전하여 하나의 숫자로 올려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하는 단계에서 정상적인 제품(60)은 상판(20)의 정상 측정면(11)에 밀착되어 진입되어지다 불량 측정면(12)전면의 단턱(10)에 받쳐 더 이상 진행하지 않아 정상제품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하는 과정에 있어 도 3처럼 불량 제품이 발생할 경우 정상 측정면(11)을 지나 불량 측정면(12)의 단턱(10)을 지나 중앙 관통공(14)에 내입한 불량 감지용 감지센서(22)에 도달하면 이의 신호가 전원선(31)을 따라 전원 컨트롤부(B)에 전달되면 컨트롤 상자(40) 전면 덮개(41)에 설치한 불량램프(44)에 불이 켜짐과 동시에 이상부져(46)에서 경고음이 울려지면 불량처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불량품이 발생할 때 울리는 부져 소리는 측정정지버튼(49)을 눌러줌으로 정지된다.
이렇게 불량품을 제거한 후 다시 검수하고자 하면 다시 측정시작버튼(48)을 눌러줌으로 다시 검수 시작이 되어 지속적으로 검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을 산업 생산 현장에 설치하여 치수 불량품을 검사하고자 하면 제품이 생산되어 나오는 시차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품을 검수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불량품을 가려낼 수 있어 하나의 불량품으로 인해 조립 완성된 제품이 불량으로 처리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도 일조를 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몸체판(1)의 일측에 대칭되는 슬라이드축(2)(3)을 고정하며 슬라이드축(2)(3)에는 정상 측정면(11)과 불량 측정면(12)을 단턱(10)으로 계단을 두어 구분한 상판(20)과, 정상 측정면(11)과 불량 측정면(12)의 중앙에 각각 관통공(13)(14)을 뚫고 전원선(30)(31)과 연결되는 정상 감지용 감지센서(21)와 불량 감지용 감지센서(22)를 매입하여서 된 센스 게이지(A)와,
    생산확인 감지센서(23)를 연결하는 전원선(32)을 전원 컨트롤부(B)의 컨트롤 상자(40)의 장치에 연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상자(40)는 전면 덮개(41)부분에 전원램프(42), 정상램프(43), 불량램프(44), 생산갯수문자판(45), 이상부져(46), 전원 스위치(47), 측정시작버튼(48), 측정정지버튼(49)을 결합한 전원 컨트롤부(B)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KR2020060003356U 2006-02-02 2006-02-02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KR200415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56U KR200415418Y1 (ko) 2006-02-02 2006-02-02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56U KR200415418Y1 (ko) 2006-02-02 2006-02-02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418Y1 true KR200415418Y1 (ko) 2006-05-03

Family

ID=4176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356U KR200415418Y1 (ko) 2006-02-02 2006-02-02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4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55B1 (ko) * 2015-10-19 2018-01-11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품 높이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755B1 (ko) * 2015-10-19 2018-01-11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품 높이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1195A (zh) 扭矩工具装置
KR200415418Y1 (ko) 치수 측정 센서 게이지
KR101257284B1 (ko) 오토 레버 쉬프트의 조립검사기
CN113406704B (zh) 一种零件漏装检测装置及方法
KR102363522B1 (ko) 탭홀 비전 검사장치
CN210441792U (zh) 通止检测装置
CN219162408U (zh) 一种可以有效快速检验漏装螺柱的检具
KR100666854B1 (ko) 커넥터 핀 검사장치
CN214842880U (zh) 一种装配过程中螺栓长度检测装置
KR20130118536A (ko) 너트 풀림 검사 장치
JPH079539U (ja) かしめ検査装置
KR0140931B1 (ko)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CN109557053A (zh) 一种基于红外反射原理的电路板过孔质量的检测方法
KR200475025Y1 (ko) 타이어 가황용 블래더의 편게이지 측정장치
JP4283886B2 (ja) 検査装置
KR101868967B1 (ko) 전조 가공용 품질검사장치
KR0140932B1 (ko) 슬랫 컨베이어상의 제품 내전압 검사 장치
CN206832170U (zh) 产品外形自动检测治具
JP3135877U (ja) 雄ねじ類の異常検出装置
JP2012189496A (ja) 自動導通検査機能付き配線箇所表示装置
JPH01121200A (ja) 打ち抜き不良検査装置
KR100520005B1 (ko) 그리퍼 불량 검사 장치및 검사 방법
KR20120007543U (ko) 치형단조품 불량검출장치
KR20000003150U (ko) 피어싱 홀 검사장치
KR20220041515A (ko) 타이어의 접지형상을 이용한 차량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점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