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799Y1 -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799Y1
KR200414799Y1 KR2020060004360U KR20060004360U KR200414799Y1 KR 200414799 Y1 KR200414799 Y1 KR 200414799Y1 KR 2020060004360 U KR2020060004360 U KR 2020060004360U KR 20060004360 U KR20060004360 U KR 20060004360U KR 200414799 Y1 KR200414799 Y1 KR 200414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support plate
pedestrian protection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규
Original Assignee
(주)천광밝은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광밝은세상 filed Critical (주)천광밝은세상
Priority to KR2020060004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7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08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 보도의 기존 시설물인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되, 횡단 보도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설치하여 도로의 양측에서 횡단 보도를 집중 조명토록 하여 도로 중앙까지 밝혀 줌으로써, 야간에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 조명장치, 지지플레이트, 지지브라켓, 반사차단판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The lighting system for a pedestrian crossing use of protection to pedestrians}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중 조명기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 단면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7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조명장치 3 : 조명기구 4 : 하우징 5 : 개방부
6 : 조명램프 7 : 반사판 9 : 반사차단판 10 : 지지브라켓
12,22 : 지지플레이트 13,13a,23,23a : 곡선장공 15 : 지지바
16 : 가압편 17,17a :"∪"형볼트 25 : 원형지지바
본 고안은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 보도의 기존 시설물인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되, 횡단 보도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설치하여 도로의 양측에서 횡단 보도를 집중 조명토록 하여 도로 중앙까지 밝혀 줌으로써, 야간에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비율은 선진국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기의 교통 사고중 횡단 보도의 보행자 사고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탔으며, 특히 야간에 운전자가 정지선 이전에서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여 일어나는 사고가 대부분이었는바, 이같이 야간 교통사고가 높은 이유는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되었어도 조도가 낮고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에서 기인 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가로등주에 2-4개의 나트륨 가로등을 부착하여 조도를 높이고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의 경우는 상기의 가로등이 보도 측과 도로의 가장자리만을 밝혀 주고 도로 중앙까지는 밝혀주지 못하여 운전자가 정지선에서 정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통과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그대로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횡단 보도의 기존 시설물인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에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되, 횡단 보도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설치하여 도로의 양측에서 횡단 보도를 집 중 조명토록 하여 도로 중앙까지 밝혀 줌으로써, 야간에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부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의 집중조명에 의한 빛이 분산되지 않고 횡단보도의 도로에만 집중 조사되게 하여 운전자의 눈부심 또한 방지시켜 횡단보도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중 조명기구의 일부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 단면구성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조명기구(3)는 전,후 단차를 갖는 사각통형상의 하우징(4)으로 외관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는 전면 개방부(5)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6)와, 상기 조명램프(6)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7)과, 조명램프(6) 바로 전면에 게재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유리(8)와, 하우징(4)의 전면 개방부(5) 앞으로 45°각도로 하향 돌출되어 조명램프(6)의 빛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차단판(9)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조명기구(3)는 상기 하우징(4)의 저부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과 일치하는 곡선 장공(13)(13a)을 통해 볼트(14)(14a)로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가 용접고정되면서 일측으로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의 원형 외경과 일치하는 고정플랜지(16)를 갖는 일정길이의 지지바(15)를 포함하여 본 고안 조명장치(1)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의 조명기구(3)는 상기 하우징(4)의 저부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과 일치하는 곡선 장공(23)(23a)을 갖는 지지플레이트(22)와, 일측으로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의 원형 외경과 일치하는 고정플랜지(26)를 갖는 일정길이의 원형지지바(25)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와 원형지지바(25)의 사이 전,후에 게재되는 가압편(16)과,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원형지지바(25)에 고정하기 위한 "∪"형 볼트(17)(17a)를 포함하여 본 고안 또 다른 조명장치(1a)가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8)은 체결너트, (29)는 신호등, (30)은 횡단 보도를 지칭하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명기구(3) 본체인 하우징(4)의 저부에 용착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에 지지플레이트(12) 상의 곡선 장공(13)(13a)을 일치시켜 볼트(14)(14a)로 고정한 후,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의 원형 외경에 고정플랜지(16)로 고정되는 일정길이 지지바(15)상의 적정 위치에 지지플레이트(12)를 용착 고정시키면 본 고안 조명장치(1)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인바, 이때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에 설치되는 지지바(15)의 방향은 도 7 에서와 같이 횡단 보도와 동일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설치된 상태에서는 조명기구(3)의 하우징(4) 전방으로 45°각도로 하향 돌출되는 반사차단판(9) 이 하우징(4) 내부의 조명램프(6)에서 개방부(5)로 직접 조사하는 빛만을 외부로 조사시켜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빛의 조사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것으로 즉, 상기 반사차단판(9)의 양 측판 및 45°하향경사진 상판이 빛을 개방부(5)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횡단 보도를 집중 조명토록 하여 도로 중앙까지 밝혀주게 되는 것이고, 이 같은 조명장치(1)를 횡단 보도(30)의 도로의 양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지지플레이트(12) 상에 장착된 조명기구(3)는 볼트(14)(14a)로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을 통해 지지플레이트(12)의 곡선장공(13)(13a)에 결합되어 지므로 볼트(14)(14a)를 약간 이완시키면 곡선장공(13)(13a)의 스트로크 만큼 조명기구(3)의 조사각도가 조절가능한 것이고 조절된 상태에서는 이완된 볼트(14)(14a)를 다시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에 견고하게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또 다른 조명장치(1a)인 도 4 의 경우는 조명기구(3) 본체인 하우징(4)의 저부에 용착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에 지지플레이트(22) 상의 곡선장공(23)(23a)을 일치시켜 볼트(14)(14a)로 고정한 후,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의 원형 외경에 고정플랜지(26)로 고정되는 일정길이 원형지지바(25)상의 적정 위치에 지지플레이트(22)의 저부 전,후에 게재된 가압편(16)을 밀착시킨 후, 지지플레이트(22) 전,후에서 "∪"형 볼트(17)(17a)를 원형지지바(25)에 감합하여 지지플레이트(22) 상으로 노출시켜 노출된 단부에 체결너트(28)를 채워 조이게 되면 상기의 지지플레이트(22)와 원형지지바(25) 사이에 게재 된 가압편(16)이 원형지지바(25) 외주면 상에 압착되어 그 고정상태가 견고해 지는 것이고, 체결너트(28)를 이완시키게 되면 상기 원형지지바(25)를 기점으로 360°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곡선장공(23)(23a) 스트로크 만큼 조명기구(3)의 조사각도가 조절가능한 것과 더불어서 상기 회전에 의한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조명장치(1a)의 경우도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그 작용역시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횡단 보도의 기존 시설물인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되, 횡단 보도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설치하여 도로의 양측에서 횡단 보도를 집중 조명토록 하여 도로 중앙까지 밝혀 줌으로써, 야간에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부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의 집중조명에 의한 빛이 분산되지 않고 횡단 보도의 도로에만 집중 조사되게 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함은 물론 시인성을 향상시켜 횡단 보도 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본 고안의 조명장치(1)(1a)를 구성하는 조명기구(3)는 전,후 단차를 갖는 사각통형상의 하우징(4)으로 외관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는 전면 개방부(5)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6)와, 상기 조명램프(6)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7)과, 조명램프(6) 바로 전면에 게재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유리(8)와, 하우징(4)의 전면 개방부(5) 앞으로 45°각도로 하향 돌출되어 조명램프(6)의 빛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차단판(9)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명장치(1)는 상기 하우징(4)의 저부에 용착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과 일치하는 곡선의 장공(13)(13a)을 통해 볼트(14)(14a)로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가 용접고정되면서 일측으로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의 원형 외경과 일치하는 고정플랜지(16)를 갖는 일정길이의 지지바(1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조명장치(1a)는 상기 하우징(4)의 저부에 용착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0)과,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볼트구멍(11)(11a)과 일치하는 곡선 장공(23)(23a)을 갖는 지지플레이트(22)와, 일측으로 기존 신호등주 및 가로등주(20)의 원형 외경과 일치하는 고정플랜지(26)를 갖는 일정길이의 원형지지바(25)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와 원형지지바(25)의 사이 전,후에 게재되는 가압편(16)과,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원형지지바(25)에 고정하기 위한 "∪"형 볼트(17)(17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2020060004360U 2006-02-16 2006-02-16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200414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60U KR200414799Y1 (ko) 2006-02-16 2006-02-16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60U KR200414799Y1 (ko) 2006-02-16 2006-02-16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128A Division KR100796233B1 (ko) 2006-02-16 2006-02-16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799Y1 true KR200414799Y1 (ko) 2006-04-26

Family

ID=4176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360U KR200414799Y1 (ko) 2006-02-16 2006-02-16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17B1 (ko) * 2006-06-28 2008-03-13 주식회사 삼삼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17B1 (ko) * 2006-06-28 2008-03-13 주식회사 삼삼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154B1 (ko) 열발산 구조를 갖춘 엘이디 가로등장치
KR20080109433A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용 조사각 조정장치
KR100648381B1 (ko) 도로용 조명장치
JP2012038504A (ja) 屋外用照明器具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0796233B1 (ko)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100900815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200393562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414799Y1 (ko)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100992857B1 (ko) 램프의 조사각도 조절용 가로등기구
KR101730810B1 (ko) 각도조절형 편향 반사판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200251754Y1 (ko)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용 조명등
KR200377499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110005012A (ko) 횡단보도용 조명등
KR200324435Y1 (ko) 도로난간부착용 야광표지판
KR200367375Y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2120953B1 (ko) 보행신호등용 신호확인 보조기구
JP5558457B2 (ja) 道路用照明装置
KR200367225Y1 (ko) 보행자신호등
KR100817570B1 (ko) 차량방호책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KR100462153B1 (ko) 도로의 가드레일 유도구
KR20021804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101748164B1 (ko) 조명장치
KR200410444Y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KR100337669B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