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17B1 -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 Google Patents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17B1
KR100812817B1 KR1020060058513A KR20060058513A KR100812817B1 KR 100812817 B1 KR100812817 B1 KR 100812817B1 KR 1020060058513 A KR1020060058513 A KR 1020060058513A KR 20060058513 A KR20060058513 A KR 20060058513A KR 100812817 B1 KR100812817 B1 KR 10081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pport
light emitting
bracke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755A (ko
Inventor
정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삼
Priority to KR102006005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817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등은 지주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신호등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의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들과 대응되는 본체에 설치되어 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투광렌즈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은 단부측에 지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제 1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된 신호등장착부를 구비한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부의 장공과 이 장공의 회전궤적 내에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결합부의 회동위치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브라켓의 구조는 신호등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신호등, 브라켓, 발광다이오드, 장공, 힌지축

Description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bracket and signal lamp having a bracket}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브라켓을 가진 신호등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호등의 단면도,
도 3은 브라켓의 단면도,
도 4는 투사렌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5는 투사렌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신호등 13; 발광다이오드
15;투사렌즈
20; 브라켓
40;힌지수단
본 발명은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호등을 현가시키기 위한 브라켓과, 이 브라켓에 의해 지지된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신호등은 주행하는 자동차를 안전하게 안내하거나, 철도 선로에서 철도건널목 경보등으로서 통행자의 안전한 안내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안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쉽게 인지 할 수 있는 휘도 및 색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신호등은 지주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 신호등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 광원으로 백열전구 또는 발광다이오드가 이용된다. 백열전등을 신호등의 광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인지할 수 있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투사렌즈, 반사판 등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조도)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가 높고, 전구의 수명이 길지 않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력소비가 낮고,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발광다이오드가 신호등 또는 시인성이 요구되는 광원으로 이용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58353호에는 엘이디 타입신호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264887호에는 삼각과 격자 배열을 갖는 엘이디 교통 신호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0364100호에는 엘이디 신호등의 엘이디 모듈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신호등에 이용되는 모듈은 기판에 다수개의 엘이디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엘이디의 배열은 엘이디들의 사이에 휘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엘이디 모듈의 전면에 볼록렌즈부를 가지는 집광렌즈를 설치한다 하여도 신호등의 발광영역에서 휘도차이를 줄일 수 없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등록 실용신안 0195913호에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 교통신호등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교통신호등은 발광당오드를 광원을 사용하고, 일측에 상기 광원인 발광다이오드들이 수용되는 광가이드가 마련되고, 타측에 볼록렌즈부가 포함된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 교통신호등은 광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하여도 볼록렌즈의 경계부위에서 상대적으로 회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어 발광다이오드들에 의해 점광원화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시된 교통신호등들의 대부분은 지주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브라켓은 교통신호등의 본체에 단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운전자에 의한 시인성 확보를 위해 교통신호등을 임으로 각도를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등록 실용신안 제 0364213호에는 신호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틸팅장치는 지주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된 제1조인트와, 신호등의 몸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제1조인트가 삽입되는 요홈을 갖는 제2조인트와, 상기 제1조인트의 요홈 내에 제1조인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중심의 축공에 관통되어 체결하는 조임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틸팅장치는 제1,2조인트가 결합되고 이 제 ,2조인트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회동각도의 조정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이 틸팅장치는 제 1,2 조인트의 상호대향 되는 면에 치합되는 톱니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조임축을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호등의 각도조정과 지주에 고정이 용이하며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신호등 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들에 의해 발광 시 발광영역 내에서 휘도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신호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라켓은
단부측에 지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제 1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신호등과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부의 장공과 이 장공의 회전궤적 내에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결합부의 회동위치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결합부의 장공을 통하여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 1헤드부를 가지며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체결부를 가지는 제1부재와, 상기 제 2헤드부를 가지며 타측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제 2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 되는 신호등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들과 대응되는 본체에 설치되어 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투광렌즈를 구비한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투광렌즈는 렌즈본체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측의 렌즈본체부 외측에 형성되며 양 또는 음의 파워를 분할렌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분할렌즈부의 경계부는 인접하는 분할렌즈부들의 경계부를 공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할렌즈부는 경계부는 육각형, 사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호등은
지주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신호등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들과 대응되는 본체에 설치되어 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투광렌즈를 구비한 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단부측에 지지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제 1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의 장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된 신호등장착부를 구비한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부의 장공과 이 장공의 회전궤적 내에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결합부의 회동위치를 고 정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투광렌즈는 렌즈본체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측의 렌즈본체부 외측에 형성되며 양 또는 음의 파워를 분할렌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분할렌즈부의 경계부는 인접하는 분할렌즈부들의 경계부와 연접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은 주행하는 자동차의 차로, 철도 선로, 횡단보도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등(10)은 지주(미도시)에 브라켓(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20)은 지주에 설치되어 신호등(10)의 본체(11)를 지지함과 아울러 소정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지주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1)와, 이 연결부재(21)의 지지부(22)에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신호등의 본체와 결합되는 고정부재(2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22)에 대한 고정부재(25)의 결합은 본체(11)와 결합되는 고정부재(25)의 장착부(26)로부터 지지부(22)의 대응되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7)(28)와 제1힌지핀(29)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2)와 결합부(27)(28)에는 연결부재(21)에 대해 고정부재(25)를 각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수단(30)이 구비된다. 이 각도조절수단(30)은 상기 결합부(27)(28)에 상기 지지부(22)와 결합부(27)(28)이 힌지 결합하는 제1힌지핀(29)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의 장공(31)(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궤적 내의 지지부(22)내에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장공(31)(32)과 관통공(33)에 삽입되어 지지부에 대해 결합부(27)(28)의 회동위치를 고정하는 체결수단(40)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수단(40)은 일측 결합부(27)의 장공(31)(32)을 통하여 관통공(33)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 1헤드부(41)를 가지며, 이 제 1헤드부(41)로부터 연장되는 제 1체결부(42)를 가진 제 1부재(43)와, 제 2헤드부(44)를 가지며 타측의 결합부(28)를 통하여 관통공(33)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나사결합되는 제 2체결부(45)를 가진 제 2부재(46)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헤드부(41)(44)의 내측 즉, 결합부(27)(28)와 대응되는 내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조임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공(31)(32)의 주변외측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제1,2부재(43)(46)의 나사 결합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2부재(43)(46)에는 풀림방지를 위한 와셔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2)와 이와 대응되는 결합부(27)(28)의 내측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신호등(10)은 상기 고정부재(25)의 장착부(26)에 설치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3)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13)들과 대응되는 본체(11)에 설치되어 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투광렌즈(15)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에는 투광렌즈(15)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13)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휀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측 가장자리에는 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창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광렌즈(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본체부(15a)와, 상기 발광다이오드(13)와 대응되는 측의 렌즈본체부(15a) 외측에 형성되며 양 또는 음의 파워을 갖는 분할렌즈부(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분할렌즈부(16)의 경계부(17)는 인접하는 분할렌즈부(16')들의 경계부의 일부를 이룬다. 즉, 분할렌즈부(16)(16')들의 경계부들은 경계부(17)의 모든 영역에서 상호 공유(연접)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할렌즈부의 경계부(17)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허니콤 형상을 이루거나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할렌즈부(16)(16')들은 상기 각 발광다이오드(13)와 대응되는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투광렌즈(15)의 본체(15a)의 내측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3)가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 삽입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광렌즈는 풀라이 아이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단위 렌즈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렌즈부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표면에는 광을 난반사 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10)은 지주에 고정된 브라켓(20)의 장착부(26)와 본체(11)가 결합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는데, 도로 또는 철로 변에 설치 시 시인성의 확보를 위하여 브라켓(20)의 지지부(22)에 대해 고정부재(25)를 회동시켜 신호 등(10)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신호등(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주에 설치된 브라켓(20)에 의해 신호등(20)의 본체(11)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결합된 체결수단(40)의 제 1,2부재(43)(46)는 느슨해지도록 분리한다. 그리고 연결부재(21)의 지지부(22)에 대해 고정부재(25)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킨다. 이때에 상기 지지부(22)에 지지된 제 1,2부재(43)(46)는 결합부(27)(28)에 형성된 장공(31)(32)을 따라 가이드 된다.그리고 신호등(10)의 설치 각도가 완료되면 상기 제 1,2부재를 조여 지지부(22)에 대한 결합부(27)(28)를 고정한다. 이러한 각도조절은 제 1,2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제1,2부재의 나사결합 상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각도 조절에 따른 작업공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20)에 지지된 신호등은 발광다이오드(13)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투사렌즈(15)를 통하여 조사되는데, 상기 발광다이오드(13)와 대응되는 측에는 분할렌즈부(16)(16')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13)들로부터 발생되는 광들이 점광원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분할렌즈부(16)들의 경계부 인접하는 분할렌즈부(16')의 경계부와 상호 공유(연접)된 상태이므로 분할렌즈부(16) 사이의 휘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검게 보이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3)의 광조사 특성은 직진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광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3)와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며 경계부가 육각, 사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분할렌드부(16)(16')에 의해 집속 및 발산되는데, 상기 투사렌즈는 분할렌즈부(16)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특정부위에서 급격히 휘도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발광다이오드(13)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점광원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은 지주와 브라켓을 이용한 설치 시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각도 조절에 따른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주에 대해 신호등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은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조작이 간편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의 투사렌즈는 경계부를 공유하는 복수개의 분할렌즈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광이 점광원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단일광원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단부측에 지지부(22)가 형성된 연결부재(21)와;
    상기 지지부(22)에 제 1힌지핀(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힌지핀(29)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의 장공(31)(32)이 형성된 결합부(27)(28)와, 이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된 신호등 장착부(26)를 구비한 고정부재(25)와;
    상기 결합부의 장공과 이 장공의 회전궤적 내에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2)에 대해 상기 결합부의 회동위치를 고정하는 체결수단(4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은 결합부의 장공을 통하여 관통공(33)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 1헤드부(41)를 가지며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된 제 1체결부(42)를 가지는 제1부재(43)와, 제 2헤드부(44)를 가지며 타측의 관통공(33)에 삽입되어 상기 제1체결부(42)와 나사결합되는 제 2체결부(45)를 가지는 제 2부재(46)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용 브라켓.
  3. 지주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측에 지지부(22)가 형성된 연결부재(21)와, 상기 지지부(22)에 제 1힌지핀(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힌지핀(29)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의 장공(31)(32)이 형성된 결합부(27)(28)와, 이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된 신호등 장착부(26)를 구비한 고정부재(25)와, 상기 결합부 장공의 회전궤적 내에 지지부(22)에 형성된 관통공(33)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2)에 대해 상기 결합부의 회동위치를 고정하는 체결수단(40)을 구비한 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는 신호등 본체(11)와,
    상기 신호등 본체(11)의 내부의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3)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13)들과 대응되는 본체(11)에 설치되어 각 발광다이오드(13)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투광렌즈(15)를 구비하며,
    상기 투광렌즈(15)는 렌즈 본체부(15a)와, 상기 발광다이오드(13)와 대응되는 측의 렌즈 본체부 외측에 형성되며 양 또는 음의 파워을 갖는 분할 렌즈부(16)를 구비하며, 상기 각 분할 렌즈부(16)의 경계부(17)는 인접하는 분할 렌즈부(16')들의 경계부와 공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렌즈부(16)는 경계부(17)는 육각형, 사각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5. 삭제
KR1020060058513A 2006-06-28 2006-06-28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KR10081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513A KR100812817B1 (ko) 2006-06-28 2006-06-28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513A KR100812817B1 (ko) 2006-06-28 2006-06-28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55A KR20080000755A (ko) 2008-01-03
KR100812817B1 true KR100812817B1 (ko) 2008-03-13

Family

ID=3921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513A KR100812817B1 (ko) 2006-06-28 2006-06-28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94B1 (ko) * 2022-11-04 2023-08-08 (주)비전시그텍 철도건널목 열차 경보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51B1 (ko) * 2010-04-16 2012-03-22 김병철 엘이디 교통신호등
JP5600635B2 (ja) * 2011-04-11 2014-10-01 イワブチ株式会社 歩行者用信号灯器の腕金用取付け金具
KR101363117B1 (ko) * 2012-08-16 2014-02-19 주식회사 쎄미라이팅 횡단보도용 신호기 철주형 신호등 설치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587U (ko) * 1989-12-13 1991-08-22
KR200299602Y1 (ko) 2002-10-07 2002-12-31 주식회사 코리아시그널 철도 신호등 투광 프레즈널 렌즈
KR200360951Y1 (ko) 2004-06-01 2004-09-06 주식회사그린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호등 설치 구조물
JP2006048165A (ja) 2004-07-30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信号灯
KR200414799Y1 (ko) * 2006-02-16 2006-04-26 (주)천광밝은세상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587U (ko) * 1989-12-13 1991-08-22
KR200299602Y1 (ko) 2002-10-07 2002-12-31 주식회사 코리아시그널 철도 신호등 투광 프레즈널 렌즈
KR200360951Y1 (ko) 2004-06-01 2004-09-06 주식회사그린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호등 설치 구조물
JP2006048165A (ja) 2004-07-30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信号灯
KR200414799Y1 (ko) * 2006-02-16 2006-04-26 (주)천광밝은세상 보행자 보호용 횡단 보도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794B1 (ko) * 2022-11-04 2023-08-08 (주)비전시그텍 철도건널목 열차 경보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55A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142C1 (ru) Уличный фонарь на светодиодах
US20110249438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51650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20090027908A1 (en) Vehicular lamp unit
KR10110422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JP2011523170A (ja) Ledを用いた照明灯
KR100812817B1 (ko) 브라켓과 이 브라켓을 가지는 신호등
KR20080109433A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용 조사각 조정장치
KR101174492B1 (ko) 엘이디 일체형 차량용 안개등
KR101010234B1 (ko) 엘이디 가로등장치
KR101612865B1 (ko) 각도조절 및 차광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101578039B1 (ko) 조명타워의 엘이디 투광등
KR101007772B1 (ko) 엘이디가 장착된 시선유도표지
KR101004786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 장치
KR20180030799A (ko) 엘이디모듈의 전·후사광 차단장치
KR100665341B1 (ko) 교통신호등용 led 전구
KR101425516B1 (ko)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200408166Y1 (ko) 교통신호등용 led 전구
KR101730810B1 (ko) 각도조절형 편향 반사판 횡단 보도 조명장치
KR101059225B1 (ko) 조사각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가로등의 헤드 결합구조
KR20180099365A (ko) Led 램프 가로등 각도조절장치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KR200456453Y1 (ko) 엘이디 가로등장치의 연결부재
KR20110084037A (ko) 각도 조절과 모듈의 교체가 자유로운 반사판이 장착된 조명등
JP7274144B2 (ja) 横断歩道用照明装置及び横断歩道用照明装置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