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643Y1 -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643Y1
KR200414643Y1 KR2020060003261U KR20060003261U KR200414643Y1 KR 200414643 Y1 KR200414643 Y1 KR 200414643Y1 KR 2020060003261 U KR2020060003261 U KR 2020060003261U KR 20060003261 U KR20060003261 U KR 20060003261U KR 200414643 Y1 KR200414643 Y1 KR 200414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lease agent
nozzle
injection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산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산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산공업
Priority to KR2020060003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형제 및 에어를 양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면에는 이형제유입구 및 제 1, 2에어유입구들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이형제유입구와 연통하는 주유로 및 상기 제 1, 2에어유입구들과 각각 연통하는 제 1, 2유로들이 형성된 노즐바디를 가지며, 상기 노즐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유로에서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 및 보조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제 1노즐캡이 체결되며, 상기 제 1노즐캡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에어유입구에서 분기 형성된 분기유로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바디의 주유로에서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제 1이형제분사관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2유로에서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 및 보조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제 2노즐캡이 체결되며, 상기 제 2노즐캡의 내부에는 상기 제 2에어유입구에서 분기 형성된 분기유로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바디의 주유로에서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제 2이형제분사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을 제시한다.
양방향, 이형제, 에어, 분사노즐

Description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air injection nozz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이형제 분사노즐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사노즐의 구성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노즐바디 12: 이형제유입구
14: 제 1에어유입구 16: 제 2에어유입구
18: 주유로 20: 제 1유로
22: 제 2유로 40: 제 1노즐캡
44: 챔버 50: 제 1이형제분사관
60: 제 2노즐캡 64: 챔버
70: 제 2이형제분사관 100: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본 고안은 이형제 및 에어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즐몸체 양단부에 이형제분사관과 노즐캡을 각각 설치하여 하나의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이형제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형제 분사노즐은 금형내부로 윤활제나 혹은 냉각액등을 분사시키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상기한 이형제 분사노즐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31603 호(명칭: 유체혼합용 분사노즐)(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노즐몸체 내부로 유체공급 연결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에어공급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분사되고 상기 노즐몸체의 전방과 에어캡 사이에는 분사부재를 삽입하되, 노즐몸체에 분사부재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에어캡이 고정된 노즐몸체의 후방에는 액체공급 조절부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구성된 유체혼합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의 일측에는 고정너트에 나사 결합된 밸브를 갖는 패턴조절구가 고정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분사분재는 노즐몸체의 제 2암나사에 결합되는 제 3나사를 후방에 형성한 원통형으로 전방은 깔대기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외주연부에는 다수개의 공기통로를 형성한 분사몸체로 형성하되, 상기 분사몸체는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 전방에 액체분사공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분사부재 및 에어캡이 노즐몸체의 일측에 하나만 구비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에어와 액체의 혼합물인 유체를 한방향으로 밖에 분사시킬 수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다수개의 금형들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각각의 금형마다 개별적으로 하나씩의 분사노즐을 반드시 장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노즐의 수량 증가에 따른 비경제적인 측면과 함께 설치된 각각의 분사노즐마다 액체와 에어공급을 위한 배관라인등의 부대설비들을 별도로 연결시켜야 함으로서 설치에 따른 작업성 및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의 구성품들중 하나인 분사부재에는 액체외에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공기통로들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공기통로는 매우 미세한 크기의 직경을 가짐에 따라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성형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노즐몸체내에 상기 공기통로와 에어공급 유입구를 연통시키기 위한 별도의 유로를 더 형성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형제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이형제 양방향 분사노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양방향 분사방식을 통해 분사노즐의 사용수량을 줄일 수있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형제 분사관에 공기통로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분사중인 이형제 주위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이형제 양방향 분사노즐을 제공함에 있 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이형제 및 에어를 양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면에는 이형제유입구 및 제 1, 2에어유입구들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이형제유입구와 연통하는 주유로 및 상기 제 1, 2에어유입구들과 각각 연통하는 제 1, 2유로들이 형성된 노즐바디를 가지며, 상기 노즐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유로에서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 및 보조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제 1노즐캡이 체결되며, 상기 제 1노즐캡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에어유입구에서 분기 형성된 분기유로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바디의 주유로에서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제 1이형제분사관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2유로에서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 및 보조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제 2노즐캡이 체결되며, 상기 제 2노즐캡의 내부에는 상기 제 2에어유입구에서 분기 형성된 분기유로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바디의 주유로에서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제 2이형제분사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을 제시한다.
상기 노즐바디의 전, 후면에는 상기 제 1, 2유로의 입구를 각각 개폐시키며 상기 제 1, 2유로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1, 2에어조절밸브를 각 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바디의 저면에는 상기 주유로의 양측 출구를 각기 개폐시키며 주유로를 통해 제 1, 2이형제분사관으로 공급되는 이형제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하는 제 1. 2이형제조절밸브를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100)은 노즐바디(10)와, 제 1, 2노즐캡(40, 60) 및 제 1, 2이형제분사관(50, 7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노즐바디(10)는 분사노즐(100)의 몸체로서, 상면에는 이형제유입구(12)와 제 1, 2에어유입구(14, 16)들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주유로(18) 및 제 1, 2유로(20, 22)들이 형성된다.
상기 주유로(18)는 이형제를 통과시키는 곳으로서, 상기 노즐바디(10)의 이형제유입구(12)와 연통하며, 또한 상기 주유로(18)의 양측 출구는 노즐바디(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2, 34)와 각각 연통하게 된다.
상기 제 1, 2유로(20)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곳으로서, 제 1유로(20)는 노즐바디(10)의 제 1에어유입구(14)와 연통하며, 제 2유로(22)는 노즐바디(10)의 제 2에어유입구(16)와 연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노즐바디(10)의 저면에는 제 1, 2이형제조절밸브(24, 26)가 각각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 1, 2이형제조절밸브(24, 26)들은 주유로(18)의 양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동작으로 승강하며 상기 주유로(18)의 양측 출구를 개폐시키며 주유로(18)를 통해 제 1, 2이형제분사관(50, 70)으로 공급되는 이형제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이형제조절밸브(24)는 제 1이형제분사관(50)으로 공급되는 이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고, 제 2이형제조절밸브(26)는 제 2이형제분사관(70)으로 공급되는 이형제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바디(10)의 전, 후면에는 제 1, 2에어조절밸브(28, 30)가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 1에어조절밸브(28)는 회전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며 제 1유로(20)의 입구를 개폐시키며 제 1유로(20)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 2에어조절밸브(30)는 회전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며 상기 제 2유로(22)의 입구를 개폐시키며 제 2유로(22)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2노즐캡(40, 60)은 노즐바디(10)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제 1, 2유로(20, 22)를 통해 공급된 에어를 양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단이다.
먼저, 상기 제 1노즐캡(40)은 노즐바디(10)의 일측면에 캡너트(40a)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 1노즐캡(40)에는 두개의 에어분사구(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분사구(42)는 제 1노즐캡(40)이 노즐바디(10)에 체결될 때, 상기 노즐바디(10)의 제 1유로(20)와 연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바디(10)의 일측면에는 "V"형태의 순환통로(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통로(21)는 제 1유로(20)에서 공급된 에어가 상기 제 1노즐캡(40)에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에어분사구(42)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제 1노즐캡(40)의 내부에는 챔버(44)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44)는 전술한 제 1에어유입구(14)에서 분기 형성되어 있는 분기유로(14a)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챔버(44)로 공급된 에어는 제 1노즐캡(40)의 일측 중앙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에어분사구(4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진다. 즉, 본 고안은 이형제를 분사시키는 제 1이형제분사관(50)에 공기통로를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챔버(44)가 에어를 별도로 저장하고, 저장된 에어는 제 1노즐캡(40)의 보조에어분사구(4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분사중인 이형제 주위로 에어를 함께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챔버(44)내에는 제 1이형제분사관(50)이 설치된다. 상기 제 1이형제분사관(5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로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주유로(18)를 통해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 1이형제분사관(50)은 상기 챔버(44)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제 1이형제분사관의 입구)(50a)은 전술한 노즐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32)에 나사식으로 체결 고정되고, 타단(제 1이형제분사관의 출구)(50b)은 제 1노즐캡(4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8)에 관통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이형제분사관(50)의 출구(50b)와 체결구멍(48) 사이에는 틈새(K1)가 발생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챔버(44)내로 유입된 에어가 보조에어분사구(46)외에 상기 틈새(K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노즐캡(60)은 노즐바디(10)의 타측면에 캡너트(60a)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제 2노즐캡(60)에는 두개의 에어분사구(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 어분사구(62)는 제 2노즐캡(60)이 노즐바디(10)에 체결될 때, 상기 노즐바디(10)의 제 2유로(22)와 연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바디(10)의 타측면에는 "V"형태의 순환통로(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통로(23)는 제 2유로(22)에서 공급된 에어가 상기 제 2노즐캡(60)에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에어분사구(62)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제 2노즐캡(60)의 내부에는 챔버(64)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64)는 전술한 제 2에어유입구(16)에서 분기 형성되어 있는 제 2분기유로(16a)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챔버(64)로 공급된 에어는 제 2노즐캡(60)의 일측 중앙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보조에어분사구(6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진다.
상기 챔버(64)내에는 제 2이형제분사관(7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이형제분사관(70)은 전술한 제 1이형제분사관(50)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주유로(18)를 통해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게 된다. 상기 제 2이형제분사관(70)은 상기 챔버(64)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제 2이형제분사관의 입구)(70a)은 전술한 노즐바디(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34)에 나사식으로 체결 고정되고, 타단(제 2이형제분사관의 출구)(70b)은 제 2노즐캡(6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68)에 관통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이형제분사관(70)의 출구(70a)와 체결구멍(68) 사이에도 틈새(K2)가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챔버(64)내로 유입된 에어를 보조에어분사구(66)와 함께 외부로 분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노즐바디(10)의 이형제유입구(14)와 제 1, 2에어유입구(16, 18)로 이형제 및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 이형제유입구(14)로 공급된 이형제는 주유로(18)로 유입된 후, 노즐바디(10)의 양측에 체결된 제 1, 2이형제분사관(50, 70)을 통해 외부로 각각 분사되어 진다.
한편, 제 1에어유입구(16)로 공급된 에어는 제 1유로(20)로 유입된 후, 제 1노즐캡(40)의 에어분사구(4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 1에어유입구(14)로 공급된 에어는 분기유로(14a)를 통해 제 1노즐캡(40)의 챔버(44)로 일부 유입되어 지며, 챔버(44)로 유입된 에어는 제 1노즐캡(40)의 보조에어분사구(4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제 2에어유입구(16)로 공급된 에어는 제 2유로(22)로 유입된 후, 제 2노즐캡(60)의 에어분사구(6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 2에어유입구(16)로 공급된 에어는 분기유로(16a)를 통해 제 2노즐캡(60)의 챔버(64)로 일부 유입되어 지며, 챔버(64)로 유입된 에어는 제 2노즐캡(60)의 보조에어분사구(6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즉, 상기한 작용을 통해 본 고안의 분사노즐(100)은 이형제 및 에어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 다.
먼저, 본 고안은 노즐바디의 양측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캡 및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관을 각각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분사노즐로 이형제 및 에어를 양방향으로 동시에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한 효과를 통해 분사노즐의 사용수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부대설비(이형제와 에어공급배관등)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이형제 분사관에 공기통로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분사중인 이형제 주위로 에어를 함께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이형제 및 에어를 양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면에는 이형제유입구(12) 및 제 1, 2에어유입구(14, 16)들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이형제유입구(12)와 연통하는 주유로(18) 및 상기 제 1, 2에어유입구(14, 16)들과 각각 연통하는 제 1, 2유로(20, 22)들이 형성된 노즐바디(40)를 가지며;
    상기 노즐바디(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유로(20)에서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42) 및 보조에어분사구(46)가 형성된 제 1노즐캡(40)이 체결되며;
    상기 제 1노즐캡(4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에어유입구(14)에서 분기 형성된 분기유로(14a)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보조에어분사구(46)로 공급시키는 챔버(44)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44)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바디(10)의 주유로(18)에서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제 1이형제분사관(50)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바디(10)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 2유로(22)에서 공급된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62) 및 보조에어분사구(66)가 형성된 제 2노즐캡(60)이 체결되며;
    상기 제 2노즐캡(60)의 내부에는 상기 제 2에어유입구(16)에서 분기 형성된 분기유로(16a)와 연통하며 에어를 공급받이 상기 보조에어분사구(66)로 공급시키는 챔버(64)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64)의 내부에는 상기 노즐바디(10)의 주유로(18)에서 공급된 이형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제 2이형제분사관(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10)의 전, 후면에는 상기 제 1, 2유로(20, 22)의 입구를 각각 개폐시키며 상기 제 1, 2유로(20, 22)로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1, 2에어조절밸브(28, 30)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10)의 저면에는 상기 주유로(18)의 양측 출구를 각기 개폐시키며 주유로(18)를 통해 제 1, 2이형제분사관(50, 70)으로 공급되는 이형제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하는 제 1. 2이형제조절밸브(24, 26)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KR2020060003261U 2006-02-06 2006-02-06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KR200414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261U KR200414643Y1 (ko) 2006-02-06 2006-02-06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261U KR200414643Y1 (ko) 2006-02-06 2006-02-06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643Y1 true KR200414643Y1 (ko) 2006-04-21

Family

ID=4448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261U KR200414643Y1 (ko) 2006-02-06 2006-02-06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6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57B1 (ko) 2011-11-08 2013-03-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양방향 소방 장치
CN108672185A (zh) * 2018-07-18 2018-10-19 伊之密机器人自动化科技(苏州)有限公司 自动单控水性喷涂系统
KR20200049006A (ko) * 2018-10-31 2020-05-08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57B1 (ko) 2011-11-08 2013-03-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양방향 소방 장치
CN108672185A (zh) * 2018-07-18 2018-10-19 伊之密机器人自动化科技(苏州)有限公司 自动单控水性喷涂系统
KR20200049006A (ko) * 2018-10-31 2020-05-08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KR102622091B1 (ko) * 2018-10-31 2024-01-08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2802A1 (en) Pull-out faucet
WO2008051815A3 (en) Modular liquid injection mixing and delivery system
TWI265828B (en) One-piece fluid nozzle
KR200414643Y1 (ko)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CN101890400A (zh) 一种淋浴喷头
CN203711189U (zh) 一种气液混合高压喷射枪
CN103055455A (zh) 一种多功能压缩空气泡沫灭火装置
CN101811122A (zh) 压力清洗机的清洁剂注入器
NZ231348A (en) Shower rose assembly
KR101999302B1 (ko) 동결 방지 살포 막대
US6467104B1 (en) Faucet assembly having an attachable sprayer nozzle
KR101250325B1 (ko)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US8651137B2 (en) Gas manifold system for steady gas supply at outlet
CN100594108C (zh) 喷射头
GB2416764B (en) Improved fuel filling apparatus
KR100765259B1 (ko) 가스연료공급장치
CN219502994U (zh) 空气注入式花洒
KR101727710B1 (ko) 3단블록으로된 우레아 혼합 장치
CN217153174U (zh) 一种新型预埋恒温龙头
EP3480538A1 (en) A snow making devic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rtificial snow
CN215059722U (zh) 一种两功能分水淋浴主体
CN214717601U (zh) 直通阀芯式雾化器
CN204682302U (zh) 一种外接插管式防滴阀
KR20100053972A (ko) 체크 콘넥터
CN216789322U (zh) 一种浴缸龙头用水道主体及浴缸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