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972A - 체크 콘넥터 - Google Patents

체크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972A
KR20100053972A KR1020080112875A KR20080112875A KR20100053972A KR 20100053972 A KR20100053972 A KR 20100053972A KR 1020080112875 A KR1020080112875 A KR 1020080112875A KR 20080112875 A KR20080112875 A KR 20080112875A KR 20100053972 A KR20100053972 A KR 20100053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nch pipe
nozzle
wat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심
Original Assignee
김양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심 filed Critical 김양심
Priority to KR102008011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972A/ko
Publication of KR2010005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를 통해 공급수의 배출을 차단했을 때, 분기관을 통해 공급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체크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는 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분기홀이 마련된 분기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분기관에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분기홀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 또는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물을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시키는 노즐팁을 구비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분기홀이 상기 유동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유동홀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80112875
체크 콘넥터

Description

체크 콘넥터 {check nozzle}
본 발명은 체크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를 통해 공급수의 배출을 차단했을 때, 분기관을 통해 공급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체크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하우스의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해 물을 뿌리거나 하우스의 바닥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수분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스프링클러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그 설치 높이를 달리해야 하며, 스프링클러의 배관 또는 분사부에 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재배되는 작물을 치워야 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를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우스의 천장에 설치하여 하방으로 물과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는 분사노즐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03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분사노즐은 하우스의 천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물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며, 물 공급관을 통해 이동하는 물이 분사노즐의 분기관을 통 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분사노즐은 분기관이 비닐 하우스의 천장을 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된 물이 비닐하우스의 천장에 부딪힌 후 바로 수직 낙하하게 되어 작물이 재배되는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물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분기관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반대로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메인 밸브를 잠가도 공급관을 통과하는 물이 분기관이 하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분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물에 작물에 살포하기 위한 농약이나 비료 성분이 혼합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물방울이 낙하하는 낙하지점의 작물들이 약물에 의한 피해를 입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메인밸브가 닫혀있을 때, 공급관을 통과하는 물이 중력에 의해 분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체크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는 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분기홀이 마련된 분기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분기관에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분기홀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 또는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물을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시키는 노즐팁을 구비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분기홀이 상기 유동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유동홀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분기관이 필요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모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본체를 지지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제2 홀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관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기관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나 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의 내부 또는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는 공급수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배출될 때에만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는 메인밸브를 닫았을 때, 공급수가 체크 콘넥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의 배출에 따른 여러가지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체크 콘넥터(100)는 하우스의 재배 작물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가 이동하는 공급관(1)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수를 지상으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와 노즐캡(20), 필터부재(30) 및 노즐팁(4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공급관(1)에 설치되는 메인바디(11)와, 상기 메인바디(11)로부터 분리되는 분기관(15)을 포함하는데, 메인바디(11)에는 공급관(1)을 통해 이동하는 공급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급관(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유동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바디(11)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상기 공급관(1)이 유동홀(12)에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관체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바디(11)의 상면과 하면에는 본체(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 제2 홀더부(18,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홀더부(18,19)는 각각 제1, 제2 와이어고정구(18a,19a)와, 제1, 제2 패드고정구(18b,19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와이어고정구(18a,19a)는 각각 메인바디(11)를 하우스의 천장측에 설치된 와이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제2 패드고정구(18b,19b)는 각각 하우스의 내부 상측에 공급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부재(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제1, 제2 패드고정구(18b,19b)가 삽입됨으로써 메인바디(11)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부재(2)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렇게 메인바디(11)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홀더부(18,19)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분기관(15)의 연장방향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체크 콘넥터(100)를 설치할 수 있는데, 분기관(15)이 상방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설치할 경우 즉, 제2 홀더부(19)가 상방을 향하도록 체크 콘넥터(100)가 설치될 때에는 제2 와이어고정구(19a)에 와이어가 체결되고, 제1 패드고정구(18b)가 고정부재(2)에 삽입 고정된다. 반대로 분기관(15)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와이어 고정구(18a)에 와이어가 체결되고, 제2 패드고정구(19b)가 고정부재(2)에 삽입 고정된다.
분기관(15)은 메인바디(11)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내부에 메인바디(11)의 유동홀(12)과 연통되는 분기홀(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바디(11)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홀(17)은 유동홀(12)을 통과하는 공급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노즐캡(20)의 분사구(22)까지 이동하는 이동로를 제공하게 된다. 분기홀(17)은 유동홀(12)의 상단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분기관(15)과 마찬가지로 유동홀(12)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분기홀(17)이 유동홀(12)의 상단과 연통되어 유동홀(12)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은 공급수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밸브(미도시)의 차단시 공급관(1) 및 유동홀(12)에 잔류하는 공급수가 분기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홀더부(18)가 상방을 향하도록 체크 콘넥터(100)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분기관(15)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이에 따라 공급수의 분사방향 역시 하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분기홀(17)이 유동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는 경우에는 공급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메인밸브를 닫더라도, 공급관(1)이나 유동홀(12)에 잔류하는 공급수들이 분기홀(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특히 메인밸브를 닫은 상태에서는 공급수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분기관(15)과 노즐팁(40)을 통해 배출될 때, 무화(霧化)되지 못하고 물방울 상태로 수직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체크 콘넥터(100) 하부의 일정 영역에 지속적으로 물방울 상태의 공급수가 낙하하게 되는데, 공급수에는 작물에 필요한 농약 성분이나 비료 성분 등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약재성분의 과다 공급으로 인해 여분의 공급수가 낙하하는 영역의 작물들은 약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기홀(17)의 시작부분이 유동홀(12)의 상단과 연통되게하여 유동홀(12)에 잔류하는 공급수가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분기홀(17)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관(15)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노즐캡(20)과의 결합을 위해 제1 나사산(16)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캡(20)은 분기관(15)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나사산(16)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제2 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공급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분사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캡(20)은 분기관(15)과의 결합시 내부에 필터부재(30)와 노즐팁(40)이 설치될 수 있는 소정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30)는 공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분기홀(17)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수는 후술하는 노즐팁(40)을 통과하면서 무화되어 작물에 분사된다. 상기 노즐팁(40)의 노즐공(41)은 직경이 작기 때문에 공급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노즐공(41)에 인입될 경우 노즐공(41)이 막혀 공급수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30)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여과망(32)을 포함한다.
원통부(31)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차단판(33)에 의해 막혀있다. 원통부(31)의 개방된 일단에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망(32)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판(33)은 후술하는 노즐팁(4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34)이 원통부(31)의 내측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단판(33)에는 노즐팁(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여과된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홀(35)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노즐팁(40)은 후면이 상기 차단판(33)의 안착홈(34)에 안착되게 설치되며, 전면은 노즐캡(20)의 분사구(22)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노즐팁(40)에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노즐공(41)이 마련되어 있어서, 필터부재(30)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공급수는 노즐팁(40)의 노즐공(41)을 통해 외부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노즐팁(40)의 후면에는 상기 배수홀(35)을 통해 배출되는 공급수가 노즐공(4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유동을 유도하는 유도홈(42)이 노즐공(41)으로부터 노즐팁(40)의 후면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32)이 형성된 필터부재(30)의 단부에는 오링(50)이 끼워지게 되는데, 오링(50)은 필터부재(30)와 분기관(15)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노즐캡(20)과 분기관(15)의 결합에 의해 필터부재(30)가 고정될 때, 필터부재(30)와 분기관(15)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게 되며, 공급수가 필터부재(30)를 통과하지 않고 노즐팁(4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분기관(15)과 필터부재(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크 콘넥터(100)는 필요에 따라 분기관(15) 의 연장방향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부(18)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분기홀(17)의 시작부분이 유동홀(12)의 상단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유동홀(12)에 잔류하는 공급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홀더부(19)가 상방을 향하도록 체크 콘넥터(10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분기홀(17) 전체가 유동홀(12)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유동홀(12)에 잔류하는 공급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체크 콘넥터(200)은 공급수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체크밸브(120)를 더 구비한다.
노즐캡(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10)는 원통부(112)와 원통부(112)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물을 여과하는 여과망(111)과, 원통부(112)의 타단에 결합되며 중앙에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부(1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재(110) 역시 노틀팁의 노즐공(4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노즐공(4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과망(111)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113)에는 통공(114)의 외측으로 원통부(11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배수공(115)이 마련되어 있다.
체크밸브(120)는 상기 원통부(1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밸브시트(121)와, 원통부(112)의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123)와, 개폐부재(123)를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126)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시트(121)는 중앙에 여과된 공급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수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시트(121)는 상기 원통부(112)의 제조시 원통부(112)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으며, 원통부(112)와 별도로 제작한 후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밸브시트(121)가 원통부(112)의 내부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망(111)을 통과한 공급수는 밸브시트(121)의 통수공(122)을 통해서만 원통부(112)의 후방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개폐부재(123)는 상기 밸브시트(121)의 통수공(1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수공(122)을 차단할 수 있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된 헤드부(124)와, 헤드부(124)의 단부로부터 원통부(112)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로드(125)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24)는 꼭지점이 통수공(122)으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통수공(122)과 접촉하여 공급수가 통수공(122)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125)는 후단이 상기 커버부(113)의 통공(114)으로 소정길이 삽입되어 있다.
탄성부재(126)는 헤드부(124)가 통수공(122)을 통한 공급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개폐부재(123)를 밸브시트(121)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126)는 스프링이 적용되었는데, 탄성부재(126)는 상기 연결로드(125)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커버부(113)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헤드부(124)에 지지되어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헤드부(124)가 통수공(122)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23)를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체크밸브(120)는 메인밸브의 차단시 분기관(15)을 통해 공급수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밸브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공급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23)가 후퇴하면서 공급수가 개방된 통수공(122)을 통해 원통부(11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커버부(113)의 배수공(115)을 통과하여 노즐팁(4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메인밸브가 차단되면 공급관(1) 및 유동홀(12)에 잔류하는 공급수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탄성부재(126)에 의해 개폐부재(123)가 통수공(122)을 차단하게 되어 공급수가 체크밸브(12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체크 콘넥터(200)은 상기 필터부재(110)의 구조와 필터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는 체크 콘넥터(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체크 콘넥터(300) 역시 분기관(15)과 노즐캡(20)의 내부에 공급수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유니트(3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유니트(310)는 단부에 노즐팁(40)이 체결되는 제1 부재(311)와, 제1 부재(311)와 연결되며, 상기 분기관(15)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삽입되는 제2 부재(321)와, 제1, 제2 부재(311,3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44)와, 차단 부재(341)를 포함한다.
제1 부재(311)는 일단에 노즐팁(40)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팁(40)으로 공급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31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312)의 내주면에는 제1 부재(311)의 내측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체결돌기(31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부재(311)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321)는 상기 분기관(15)의 단부로부터 분기관(15)의 내부로 소정길이 삽입되는데, 분기관(15)에 삽입된 일측 단부에는 여과망(322)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제2 플랜지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321)의 내부에는 여과망(322)을 통과해 유입된 공급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3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공(324)의 직경은 여과망(322)이 설치된 제2 부재(321)의 단부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부재(321)의 제2 플랜지부(323)는 분기관(15)의 단부와 인접하게 되는데, 제2 플랜지부(323)와 분기관(15)의 단부 사이에 제1 오링(33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314)와 제2 플랜지부(323) 사이에 제2 오링(332)이 설치된다. 제1, 제2 오링(331,332)은 설치지점에서의 기밀을 유지시켜 공급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재(341)는 상기 배출공(32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된 헤드부(342)와, 헤드부(342)의 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연장돌출부(343)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체결돌기(315)를 감싸도록 제1 부재(311)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돌출부(343)를 감싸도록 차단부재(341)에 지지되어, 상기 차단부재(341)의 헤드부(342)가 배출공(324)을 차단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차단부재(341)를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메인밸브가 개방되어 공급수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차단부재(341)에 공급수의 압력에 의해 후퇴하여 배출공(324)이 개방됨으로써 공급수가 외부로 분사되며, 메인밸브가 닫히면 공급수의 압력이 낮아져 탄성부재(344)에 의해 차단부재(341)가 배출공(324)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공급수의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구성요소들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콘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분기관과 노즐캡, 필터부재를 도시한 부분발췌 분리사시도,
도 4는 체크밸브를 갖는 체크 콘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체크밸브를 갖는 체크 콘넥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체크 콘넥터
10; 본체
11; 메인바디
12; 유동홀
15; 분기관
20; 노즐캡
30; 필터부재
40; 노즐팁
120; 체크밸브

Claims (4)

  1. 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급관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는 분기홀이 마련된 분기관을 갖는 본체와;
    상기 분기관에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분기홀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 또는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물을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시키는 노즐팁;을 구비하며,
    상기 분기관은 상기 분기홀이 상기 유동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유동홀로부터 점점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콘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이 필요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모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본체를 지지부재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제2 홀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콘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분기관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의 내부 또는 상기 노즐캡의 내부에는 공급수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배출될 때에만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콘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 상기 노즐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개방된 중공을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부재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중공을 가지며, 내부 중앙에 소정 직경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 부재와;
    상기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출공을 차단할 수 있게 원추형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단부재와;
    일단이 상기 차단판의 내추면으로부터 상기 제2 부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를 감싸도록 상기 차단판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연장돌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헤드부에 지지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배출공을 차단하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콘넥터.
KR1020080112875A 2008-11-13 2008-11-13 체크 콘넥터 KR20100053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875A KR20100053972A (ko) 2008-11-13 2008-11-13 체크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875A KR20100053972A (ko) 2008-11-13 2008-11-13 체크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972A true KR20100053972A (ko) 2010-05-24

Family

ID=4227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875A KR20100053972A (ko) 2008-11-13 2008-11-13 체크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9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78B1 (ko) * 2012-08-24 2014-04-07 주식회사경농 인삼밭의 상향식 유체 살포 시스템
KR101381182B1 (ko) * 2012-08-24 2014-04-07 주식회사경농 살포기구 고정용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78B1 (ko) * 2012-08-24 2014-04-07 주식회사경농 인삼밭의 상향식 유체 살포 시스템
KR101381182B1 (ko) * 2012-08-24 2014-04-07 주식회사경농 살포기구 고정용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RU2434686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ыления жидкости и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варианты)
US9055718B2 (en) Root watering device
KR101041168B1 (ko) 저압분무장치
KR20170005003A (ko) 식물 재배 장치
US20090294341A1 (en) Filtration and cleaning system for sprinkler irrigation drop nozzles
KR102608410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무 시스템
KR101693260B1 (ko) 다기능 스프링클러
RU2605962C2 (ru) Узел для распрыс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распрыскивающая форсунка и способ опрыскивания
US20070241214A1 (en) Filtration and cleaning system for sprinkler irrigation drop nozzles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20100053972A (ko) 체크 콘넥터
KR101917984B1 (ko)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AU2016240761B2 (en) Filtering apparatus, sprinkling apparatus incuding the filtering apparatus, and filtering method
KR20120104674A (ko) 농업용 액체분사장치의 막힘방지장치
KR101145170B1 (ko) 분사노즐
KR101271515B1 (ko) 비닐하우스의 다중화시스템
KR101730789B1 (ko) 노즐의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농작물용 스프링클러
CN113557931B (zh) 一种用于农业节水灌溉的雾化灌溉装置
KR200195036Y1 (ko) 비닐하우스용 액체 분사노즐
CN205868598U (zh) 地插倒悬微喷头
KR200414643Y1 (ko)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US4477026A (en) Bubbler head structure
KR200289164Y1 (ko)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101024597B1 (ko) 스프링클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