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57B1 - 양방향 소방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소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57B1
KR101246057B1 KR1020110115578A KR20110115578A KR101246057B1 KR 101246057 B1 KR101246057 B1 KR 101246057B1 KR 1020110115578 A KR1020110115578 A KR 1020110115578A KR 20110115578 A KR20110115578 A KR 20110115578A KR 101246057 B1 KR101246057 B1 KR 101246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y
hinge
detection modu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6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thermally-expansible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양방향 소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방 장치는 천장 패널의 상부쪽 천장 공간과 상기 천장 패널의 하부쪽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도록 상기 천장 패널에 설치되는 양방향 화재탐지기와,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에 접속된 신호라인과, 화재 진압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라인을 갖는 소화설비 계통망과, 상기 물 공급라인에 배관되어 화재가 발생된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 쪽으로 물을 살포하는 양방향 스프링클러와, 상기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양방향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소방 장치{APPARATUS FOR BIDIRECTIONAL FIRE-FIGHTING}
본 발명은 양방향 소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부유식 구조물 등의 천장 안팎의 화재를 동시에 탐지 및 진압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부유식 구조물, 거주구 등에서는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를 통해 인명 및 재산상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박의 기관구역, 거주구 거주구역, 업무구역, 화물구역 등과 같이 당해 장소에 화재 발생시 선박 및 인명의 안전에 영향이 있다고 판단되는 곳에 소화 또는 화재 방지를 위한 장치 및 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특히, 선박의 거주구 구조물은 복수개의 층 또는 데크로 이루어져 있고, 각 데크 사이의 실내 공간에는 천장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천장 아래의 거주용 실내 공간(이하, '실내 공간'이라 칭함)과 천장과 데크 사이로 전기, 소방, 공기조화 등의 설비가 있는 공간(이하, '천장 공간'이라 칭함)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선내 거주구의 천장은 천장 패널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천장 패널의 저면에 화재탐지기,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예컨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화재탐지기(1)는 천장 패널(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천장 패널(2) 아래의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을 감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재탐지기(1)는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성능 검사 또는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여, 작동불능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화재탐지기(1)는 천장 패널(2)의 상면과 선내 거주구의 데크 사이의 천장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으로 화재 발생의 감지 및 대응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만일, 발상의 전환을 통해 별도의 화재탐지기를 천장 공간의 내부 또는 데크의 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천장 패널(2)에 의해 가려져 있는 상황이므로, 실내 공간에 서있는 성능 테스트 작업자가 천장 공간의 내부 또는 데크의 저면까지 화재탐지기 테스터용 장비를 진입하여 시험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성능 테스트 작업자는 천장 패널로 가려져 있어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천장 공간 내의 별도의 화재탐지기를 정기적으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스프링클러도 천장 패널(2)의 저면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역시 천장 패널(2)의 상면과 데크 사이의 천장 공간에서의 화재를 신속하게 제압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천장 공간에는 다수의 전선 케이블과 파이프 또는 공기조화용 덕트 및 단열재 등이 존재하므로, 전선 또는 케이블의 노후화, 합선 등에 의해 천장 공간 내에서도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실제로 선박의 화재 원인은 주로 노후 전선과 합선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눈에 보이지 않는 천장 공간에서의 화재 위험성에 대하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등록특허 제10-1019839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화재탐지기, 양방향 스프링클러, 화재수신기를 제공하여, 실내 공간과 천장 공간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가 감지된 방향으로 양방향 스프링클러의 해당 스프링클러헤드에서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됨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 눈에 보이는 실내 공간과 눈에 보이지 않는 천장 공간 모두에 대한 확실한 화재 방지 대책이 될 수 있는 양방향 소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 패널의 상부쪽 천장 공간과 상기 천장 패널의 하부쪽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도록 상기 천장 패널에 설치되는 양방향 화재탐지기와,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에 접속된 신호라인과, 화재 진압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라인을 갖는 소화설비 계통망과, 상기 물 공급라인에 배관되어 화재가 발생된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 쪽으로 물을 살포하는 양방향 스프링클러와, 상기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양방향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는, 상기 천장 패널에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볼트구멍이 링형상의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밀폐 유지를 위한 오링(o-ring)이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주부의 내주면에 마련된 힌지 브래킷과, 상기 힌지 브래킷에 회전 및 임시 구속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의 내경을 밀폐하여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힌지 격판과, 상기 힌지 격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 패널의 상부쪽 천장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는 제 1 탐지모듈과, 상기 힌지 격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 패널의 하부쪽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는 제 2 탐지모듈과, 상기 제 1 탐지모듈 및 상기 제 2 탐지모듈에 마련된 제어회로를 상기 소화설비 계통의 상기 신호라인에 접속시키는 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브래킷 및 상기 힌지 격판에는 힌지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의 반대쪽으로 상기 힌지 브래킷 및 상기 힌지 격판에는 걸림턱과 탄성 레버를 이용한 록킹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격판에는, 상기 제 2 탐지모듈에 마련된 제어회로의 전선이 기밀하게 통과하여 상기 접속포트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전선 씰링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탐지모듈과 상기 제 2 탐지모듈은, 연기에 의해 야기되는 산란 광을 측정하는 광전식 감지센서,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 감지센서와, 이종합금이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 원리를 이용한 정온식 감지센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스프링클러는, 상기 소화설비 계통의 물 공급라인과 배관되어 물을 공급 및 분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라인연결부와, 상기 라인연결부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천장 패널에 개재되게 설치되도록 외부에 돌출 단턱을 갖는 분배부와,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도록, 상기 분배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관된 스프링클러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 발생시의 열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의 휴즈메탈이 용해되어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는 폐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헤드는, 상기 화재수신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의 전자밸브가 작동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는 개방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와 상기 화재수신기의 사이로 상기 소화설비 계통망의 상기 신호라인에는 중계기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장 패널 상부의 천장 공간과 천장 패널 하부의 실내 공간 중에서 화재 감지 방향으로 양방향 스프링클러의 제 1 스프링클러헤드 또는 제 2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해당 스프링클러헤드로부터 살포되게 함으로써, 천장 패널에 가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천장 공간의 화재까지도 신속하게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링형상의 힌지 브래킷과, 그 힌지 브래킷에 회전 및 임시 구속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격판을 제공하고, 힌지 격판의 상부와 하부에 제 1 탐지모듈과 제 2 탐지모듈을 장착하고 있음에 따라, 힌지 브래킷으로부터 힌지 격판을 회전시킬 경우, 제 1 탐지모듈과 제 2 탐지모듈 모두가 실내 공간 상에 노출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재탐지기 테스터용 장비를 용이하게 제 1 탐지모듈과 제 2 탐지모듈에 접촉하여 성능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전선 케이블과 파이프 또는 공기조화용 덕트 및 단열재 등이 존재하는 천장 공간의 화재와, 천장 패널 아래의 실내 공간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 격판과 힌지 브래킷 사이의 오링을 이용하여 천장 공간의 연기와 실내 공간의 연기가 서로 섞이지 기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기 발생 위치가 혼동되는 탐지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탐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화재탐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화재탐지기가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소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박,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비롯하여 화재 예방이 필요한 어떠한 설비 또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양방향 화재탐지기(100), 소화설비 계통망(200), 양방향 스프링클러(300), 화재수신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화재탐지기(100)는 천장 패널(20)의 상부쪽 천장 공간(30)과 천장 패널(20)의 하부쪽 실내 공간(40)의 화재를 감시하도록 천장 패널(20)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박의 경우에는, 천장 공간(30)이 천장 패널(20)과 선체의 데크(1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고, 실내 공간(40)이 거주구의 사용자 생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소화설비 계통망(200)은 양방향 화재탐지기(100)에 접속된 신호라인(210)과, 화재 진압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라인(220)을 가질 수 있다.
소화설비 계통망(200)이 통상의 화재 설비 계통 구성 요소 및 연결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양방향 스프링클러(300)는 물 공급라인(220)에 배관되어 화재가 발생된 천장 공간(30)과 실내 공간(40) 쪽으로 물을 살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양방향 스프링클러(300)는 천장 공간(30)과 실내 공간(40) 중 어느 한 곳으로만 물을 살포하거나, 두 곳 동시에 살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화재수신기(400)는 신호라인(210)을 통해 양방향 화재탐지기(100)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양방향 스프링클러(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화재수신기(400)는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로부터 수신받은 감지신호에 포함된 모듈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방향 화재탐지기(100)와 화재수신기(400)의 사이로 소화설비 계통망(200)의 신호라인(210)에는 중계기(410)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화재탐지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성능 테스트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화재탐지기가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방향 화재탐지기(100)는 힌지 브래킷(110), 힌지 격판(120), 제 1 탐지모듈(130), 제 2 탐지모듈(140), 접속포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브래킷(110)은 천장 패널(20)에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링형상의 플랜지부(111)와, 플랜지부(1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플랜지부(111)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원주부(112)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힌지 브래킷(110)은 원주부(112)의 내주면에 밀폐 유지를 위한 오링(113)(o-ring)을 더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오링(113)은 안착홈부(114)에 끼워진 상태로 원주부(112)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홈부(114)의 반대쪽으로 오링(113)의 표면은 힌지 격판(120)의 표면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오링(113)의 역할은 화재에 따른 천장 공간(30)의 연기와 실내 공간(40)의 연기가 서로 섞이지 않게 밀폐 또는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연기 발생 위치가 혼동되는 탐지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힌지 격판(120)은 힌지 브래킷(110)에 회전 및 임시 구속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오링(113)과 함께 힌지 브래킷(110)의 내경을 밀폐하여 천장 공간(30)과 실내 공간(40)을 구획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힌지 브래킷(110) 및 힌지 격판(120)에는 힌지(125)가 마련될 수 있고, 힌지(125)의 반대쪽으로 힌지 브래킷(110) 및 힌지 격판(120)에는 걸림턱(121)과 탄성 레버를 이용한 록킹 장치(1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탐지모듈(130)은 힌지 격판(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천장 패널(20)의 상부쪽 천장 공간(30)의 화재를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2 탐지모듈(140)은 힌지 격판(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천장 패널(20)의 하부쪽 실내 공간(40)의 화재를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은 모듈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화재의 감시 또는 탐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회로구성가 마련된 제어회로(131, 141)와, 제어회로(131, 141)에 장착된 각종 감지센서와, 이들을 탑재하기 위한 하우징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은 연기에 의해 야기되는 산란 광을 측정하는 광전식 감지센서,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 감지센서와, 이종합금이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 원리를 이용한 정온식 감지센서를 가질 수 있다.
감지센서는 제 1 탐지모듈(130) 및 제 2 탐지모듈(140)의 제어회로(131, 141)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힌지 격판(120)에 의해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센서는 제 1 탐지모듈(130)이 배치된 천장 공간(30)의 연기와 제 2 탐지모듈(140)이 배치된 실내 공간(40)의 연기를 오작동 없이 정확하게 구분하여 감시 또는 탐지할 수 있다.
접속포트(150)는 제 1 탐지모듈(130) 및 제 2 탐지모듈(140)의 제어회로(131, 141)를 소화설비 계통망의 신호라인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접속포트(150)는 제 1 탐지모듈(130)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탐지모듈(130)의 제어회로(131)로부터 인출된 전선은 접속포트(15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탐지모듈(140)은 힌지 격판(120)에 의해 제 1 탐지모듈(130) 쪽 접속포트(150)로부터 구획 또는 격리되어 있으므로, 연기를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제 2 탐지모듈(140)의 제어회로(141)로부터 인출된 전선만을 접속포트(150)에 접속시킬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런 요구 수단으로서, 제 2 탐지모듈(140)에 마련된 제어회로의 전선이 기밀하게 통과하여 접속포트(150)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 사이의 힌지 격판(120)에는 전선 씰링(122)을 갖는 관통구멍(1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선 씰링(122)을 갖는 관통구멍(123)이란, 관통구멍(123)의 내주면에 전선 씰링(122)이 충진되어 있고, 전선 씰링(122)의 내경을 따라 전선이 기밀하게 관통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성능 테스트 작업자는 록킹 장치(115)를 해제함으로써, 록킹 장치(115)의 반대쪽 힌지(125)에 의해, 힌지 격판(120)이 힌지 브래킷(110)으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런 회전에 따라, 실내 공간(40)의 성능 테스트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던 천장 공간(30)의 제 1 탐지모듈(130)이 제 2 탐지모듈(140)과 함께 실내 공간(40) 쪽에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실내 공간(40)에 서있는 성능 테스트 작업자는 화재탐지기 테스터용 장비(T)를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에 접촉시켜 편리하고 간편하게 성능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성능 테스트 작업자는 힌지 격판(120)을 힌지 브래킷(110) 쪽으로 회전시킨 후, 록킹 장치(115)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양방향 스프링클러(300)는 소화설비 계통망(200)의 물 공급라인(220)과 배관되어 물을 공급 및 분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라인연결부(310, 311)와, 이런 라인연결부(310, 311)가 양측에 마련되고, 천장 패널(20)에 개재되게 설치되도록 외부에 돌출 단턱(321)을 갖는 분배부(320)와, 천장 공간(30)과 실내 공간(40)을 향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도록, 분배부(3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관된 스프링클러헤드(330,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클러헤드(330, 331)는 화재 발생시의 열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330, 331)의 휴즈메탈(미 도시)이 용해되어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는 폐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헤드(330, 331)는, 화재수신기(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프링클러헤드(330, 331)의 전자밸브(미 도시)가 작동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는 개방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분배부(320)는 전자밸브의 개폐 동작 제어용 제어회로와, 접속포트(322) 및 다른 신호라인(323)을 구비하고 있어서, 소화설비 계통망(200)을 통해 화재수신기(40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통상의 개방형 구조에 대응한 기술 규격으로 스프링클러헤드(330, 331)의 전자밸브, 분배부(320)의 제어회로, 접속포트(322) 등이 구성될 수 있고, 이런 경우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대한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와 같이 설치된 양방향 화재탐지기(100)는 힌지 격판(120)에 의해 연기가 섞이지 않도록 구획된 제 1 탐지모듈(130)과 제 2 탐지모듈(140)을 구비하되, 제 1 탐지모듈(130)의 감지센서가 천장 공간(30)의 화재를 감시하고, 제 2 탐지모듈(140)의 감지센서가 실내 공간(40)의 화재를 감시한다.
이런 감시 과정 중 천장 공간(30) 쪽에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런 경우, 천장 공간(30) 쪽 화재로 인한 연기는 힌지 격판(120)에 의해 막혀 실내 공간(40) 쪽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탐지모듈(130)에서만 감지신호가 발생되고, 감지신호는 신호라인(210) 및 중계기(410)를 통해 화재수신기(400)에 입력될 수 있다.
화재수신기(400)는 수신받은 감지신호에 포함된 모듈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탐지모듈(130)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수신기(400)는 제 1 탐지모듈(130)이 위치한 쪽의 스프링클러헤드(330) 만을 개방시켜서, 물 또는 소화액이 천장 공간(30) 쪽으로 살수 또는 살포될 수 있게 한다.
실내 공간(40) 쪽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바와 같은 반대의 경우에는, 해당 제 2 탐지모듈(140)의 감지신호로 말미암아, 물 또는 소화액이 실내 공간(40) 쪽으로만 살수 또는 살포될 수 있다.
아울러, 천장 공간(30) 및 실내 공간(40)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물 또는 소화액이 동시에 살수 또는 살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천장 패널 100 : 양방향 화재탐지기
200 : 소화설비 계통망 300 : 양방향 스프링클러
400 : 화재수신기 410 : 중계기

Claims (9)

  1. 천장 패널의 상부쪽 천장 공간과 상기 천장 패널의 하부쪽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도록 상기 천장 패널에 설치되는 양방향 화재탐지기와,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에 접속된 신호라인과, 화재 진압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라인을 갖는 소화설비 계통망과,
    상기 물 공급라인에 배관되어 화재가 발생된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 쪽으로 물을 살포하는 양방향 스프링클러와,
    상기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양방향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는,
    상기 천장 패널에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볼트구멍이 링형상의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밀폐 유지를 위한 오링(o-ring)이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주부의 내주면에 마련된 힌지 브래킷과,
    상기 힌지 브래킷에 회전 및 임시 구속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의 내경을 밀폐하여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힌지 격판과,
    상기 힌지 격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 패널의 상부쪽 천장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는 제 1 탐지모듈과,
    상기 힌지 격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 패널의 하부쪽 실내 공간의 화재를 감시하는 제 2 탐지모듈과,
    상기 제 1 탐지모듈 및 상기 제 2 탐지모듈에 마련된 제어회로를 상기 소화설비 계통의 상기 신호라인에 접속시키는 접속포트를 포함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래킷 및 상기 힌지 격판에는 힌지가 마련되고, 상기 힌지의 반대쪽으로 상기 힌지 브래킷 및 상기 힌지 격판에는 걸림턱과 탄성 레버를 이용한 록킹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격판에는,
    상기 제 2 탐지모듈에 마련된 제어회로의 전선이 기밀하게 통과하여 상기 접속포트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전선 씰링을 갖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탐지모듈과 상기 제 2 탐지모듈은,
    연기에 의해 야기되는 산란 광을 측정하는 광전식 감지센서,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 감지센서와, 이종합금이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 원리를 이용한 정온식 감지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프링클러는,
    상기 소화설비 계통의 물 공급라인과 배관되어 물을 공급 및 분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라인연결부와,
    상기 라인연결부가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천장 패널에 개재되게 설치되도록 외부에 돌출 단턱을 갖는 분배부와,
    상기 천장 공간과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도록, 상기 분배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관된 스프링클러헤드를 포함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 발생시의 열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의 휴즈메탈이 용해되어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는 폐쇄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헤드는,
    상기 화재수신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의 전자밸브가 작동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살포되는 개방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화재탐지기와 상기 화재수신기의 사이로 상기 소화설비 계통망의 상기 신호라인에는 중계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소방 장치.
KR1020110115578A 2011-11-08 2011-11-08 양방향 소방 장치 KR101246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578A KR101246057B1 (ko) 2011-11-08 2011-11-08 양방향 소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578A KR101246057B1 (ko) 2011-11-08 2011-11-08 양방향 소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057B1 true KR101246057B1 (ko) 2013-03-26

Family

ID=4818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578A KR101246057B1 (ko) 2011-11-08 2011-11-08 양방향 소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77B1 (ko) * 2013-04-18 2014-08-01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씨테크 분기형 스프링클러
KR101753119B1 (ko) * 2016-12-07 2017-07-03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용 살수장치
KR101753116B1 (ko) *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854747B1 (ko) * 2016-09-30 2018-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클러 시스템
KR101895975B1 (ko) *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500A (ja) 2002-03-27 2003-10-02 Tokyo Bosai Setsubi Kk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200371051Y1 (ko) 2004-08-31 2004-12-23 이영순 천장 매입형 복합 화재감지기
KR200414643Y1 (ko) 2006-02-06 2006-04-21 주식회사 동산공업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KR101063857B1 (ko) 2008-08-13 2011-09-08 (주)화이로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500A (ja) 2002-03-27 2003-10-02 Tokyo Bosai Setsubi Kk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200371051Y1 (ko) 2004-08-31 2004-12-23 이영순 천장 매입형 복합 화재감지기
KR200414643Y1 (ko) 2006-02-06 2006-04-21 주식회사 동산공업 이형제 및 에어 양방향 분사노즐
KR101063857B1 (ko) 2008-08-13 2011-09-08 (주)화이로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77B1 (ko) * 2013-04-18 2014-08-01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씨테크 분기형 스프링클러
KR101854747B1 (ko) * 2016-09-30 2018-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클러 시스템
KR101753119B1 (ko) * 2016-12-07 2017-07-03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용 살수장치
KR101753116B1 (ko) * 2016-12-07 2017-07-04 (주)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895975B1 (ko) * 2018-03-14 2018-09-06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057B1 (ko) 양방향 소방 장치
JP5559199B2 (ja) バルブ一体式スプリンクラー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の早期鎮圧システム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US5864287A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CN204275343U (zh) 一种扑救电缆竖井火灾的消防系统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CN110339503A (zh) 一种电站硐室大空间用分级预警快速灭火系统
KR20240122369A (ko) 복원 탄성력을 갖는 정온식 감지선을 구비한 화재감지기
JP2008500871A (ja) 防火装置
KR102441268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KR20220011197A (ko) 시험 배관 및 시험 밸브가 결합된 알람 밸브 시스템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KR102008618B1 (ko) 소방설비의 선로저항측정기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292974B1 (ko)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KR10228586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스프링클러 고장 감지 시스템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JP6181490B2 (ja) 消火設備
KR101034077B1 (ko) 밸브일체식 스프링클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시스템
CN204208233U (zh) 一种扑救密闭抗震电缆沟火灾的消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