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325B1 -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 Google Patents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325B1
KR101250325B1 KR1020100111934A KR20100111934A KR101250325B1 KR 101250325 B1 KR101250325 B1 KR 101250325B1 KR 1020100111934 A KR1020100111934 A KR 1020100111934A KR 20100111934 A KR20100111934 A KR 20100111934A KR 101250325 B1 KR101250325 B1 KR 10125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ater
outlet
distributor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600A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Priority to KR102010011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3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水路)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수로를 여러 경로로 분배하고 이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복수 개의 분출수단이 다양한 조합으로 물을 분출시킬 수 있는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 또는 핸들을 조작하여 여러 경로의 수로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를 제공한다.
그 결과, 조작수단을 간단히 조작하여 원하는 분출수단을 통해 외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배관과 밸브의 구성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생산 단가 및 고장률이 낮은 효과가 있다.
게다가, 모든 경로의 수로에 대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한 지점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디지털 방식의 조작수단 내지 콘트롤러를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밸브가 적게 구성되거나 생략 가능하여 미끈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디자인하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WATER DISTRIBUTOR APPARATUS AND SHOWE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로(水路)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수로를 여러 경로로 분배하고 이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복수 개의 분출수단이 다양한 조합으로 물을 분출시킬 수 있는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생활수준과 주거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집집마다 욕실 및 샤워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일반 가정의 샤워시설로는 벽면에 고정된 고정샤워헤드와 호스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는 핸드샤워헤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사용자의 전신(全身)으로 물을 분사하여 샤워를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강력한 물 분사로 전신 안마까지 병행할 수 있는 바디 샤워기(일명 전신안마 샤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디 샤워기는 통상적으로 고정 및 핸드샤워헤드와 복수 개의 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바디 샤워기(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바디 샤워기(1)는 일측에 상수도연결관(11)이 구비되고 내부에 상수도연결과(11)과 연결된 분배탱크(15)를 포함하는 샤워기본체(10), 샤워기본체(10)의 외부로 물을 분사하는 여러 개의 분사구(20,31,33,40), 분배탱크(15)와 분사구(20,31,33,40) 각각을 연결하는 분배관(50), 분배관(5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분사구(20,31,33,40)의 물 분사량을 각각 조절하는 조절밸브(60)를 포함한다.
이때, 분사구(20,31,33,40)는 고정샤워헤드(20)와 2개의 상하분사구(31)와 4개의 보조분사구(33)와 핸드샤워헤드(40)로 나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조절밸브(60)를 조절하여 고정샤워헤드(20)와 2개의 상하분사구(31)와 4개의 보조분사구(33)와 핸드샤워헤드(40) 중 원하는 것으로 물을 분사하여 원하는 신체부위 또는 전신(全身)을 쉽고 빠르게 씻어내거나 마사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바디 샤워기(1)는 분배탱크(15)와 여러 개의 분사구(20,31,33,40)가 각각 별도의 분배관(50)으로 연결되고 분배관(50)마다 조절밸브(60)가 장착되기 때문에 분사구(20,31,33,40)마다 물의 공급과 차단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장치된 조절밸브(60)를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분배관(50) 및 조절밸브(60)를 다수 포함하는 종래의 바디 샤워기(1)는 조립이 복잡하고 생산 단가 및 고장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조절밸브(60)를 각각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통합된 조작부를 구성하기 어렵고 조작부 내지 콘트롤러를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조절밸브(6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미끈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디자인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밸브 또는 핸들을 조작하여 여러 경로의 수로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배관과 밸브의 구성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생산 단가 및 고장률이 낮은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제 1, 2 유입구; 물이 배출되는 제 1, 2 배출구; 상기 제 1 유입구와 상기 제 1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수로; 상기 제 2 유입구와 상기 제 2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수로; 상기 제 1 수로와 상기 제 2 수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 1 수로와 상기 제 2 수로를 연결하는 제 3 수로; 및 상기 제 3 수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수로에서 상기 제 1 수로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유입구 중 어느 하나로만 물이 유입되는 수로 분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 3 유입구; 상기 제 3 유입구와 상기 제 2 수로 중 상기 제 3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2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수로; 및 상기 제 2 수로 중 상기 제 3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4 수로의 분지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입구에서 상기 제 2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3 유입구 중 어느 하나로만 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배출구; 상기 제 3 배출구와 상기 제 4 수로를 연결하는 제 5 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배출구; 상기 제 4 배출구와 상기 제 4 수로 중 상기 제 3 유입구와 상기 제 5 수로의 분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제 6 수로; 및 상기 제 4 수로 중 상기 제 5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6 수로의 분지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유입구에서 상기 제 3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3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 수로 중 상기 제 5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2 수로와의 교차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유입구에서 상기 제 2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4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수로 분배기;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1 배출구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 및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2 배출구와 연결된 제 2 분출수단를 포함하는 샤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로 분배기;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1 배출구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2 배출구와 연결된 제 2 분출수단; 및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3 배출구와 연결된 제 3 분출수단을 포함하는 샤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로 분배기;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1 배출구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2 배출구와 연결된 제 2 분출수단;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3 배출구와 연결된 제 3 분출수단; 및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4 배출구와 연결된 제 4 분출수단을 포함하는 샤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는 하나의 밸브 또는 조작수단을 간단히 조작하여 원하는 분출수단을 통해 외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샤워장치는 간단한 배관과 밸브의 구성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생산 단가 및 고장률이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경로의 수로에 대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한 지점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디지털 방식의 조작수단 내지 콘트롤러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밸브가 적게 구성되거나 생략 가능하여 미끈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디자인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바디 샤워기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의 체크밸브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의 수로 및 체크밸브 배치에 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의 수로 및 체크밸브 배치에 대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샤워장치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샤워장치의 수로 분배기와 조작부의 결합에 대한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수로를 여러 경로로 분배하고 물을 분배된 경로 중 선택된 경로로만 이동시켜 복수 개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도 2와 같이, 물(W)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110), 물(W)이 배출되는 복수 개의 배출구(130), 이를 다양한 경로로 상호 연결하는 여러 갈래의 수로 및 기(旣) 설계된 물(W)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여러 갈래의 수로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장착되는 체크밸브(15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바람직하게는 속이 꽉 찬 블럭(101) 내부를 천공하여 상기 여러 갈래의 수로를 형성하고, 이때 블럭(101) 외부로 노출된 수로의 말단이 복수 개의 유입구(110) 및 복수 개의 배출구(130)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가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럭(101)을 생략하고 상기 여러 갈래의 수로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의 배관인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150)는 물이 일방향으로만 진행되게 그 흐름을 단속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내부를 일렬로 관통하는 제 1, 2 체크밸브수로(150a, 150b)와 양단이 제 1, 2 체크밸브수로(150a, 150b)와 연결되고 제 1, 2 체크밸브수로(150a, 150b)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구동공간(150c)을 포함하는 체크밸브하우징(150d), 구동공간(150c)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구(150e)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수로(150a)와 연결된 구동공간(150c)의 일측면에는 이동구(150e)와 맞닿아 제 1 체크밸브수로(150a)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단(150f)이 이동구(150e) 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긴밀한 밀착을 위해 이동구(150e)에는 패킹(150g)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체크밸브수로(150b)와 연결된 구동공간(150c)의 타측면은 이동구(150e)와 항시 이격되어 제 2 체크밸브수로(150b)를 차단하지 않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 2 체크밸브수로(150b)를 대향하는 이동구(150e)의 말단에는 연통로(미도시)가 타공되어 이동구(150e)와 구동공간(150c)이 맞닿은 경우에도 상기 연통로(미도시)를 통해 물(W)이 제 2 체크밸브수로(150b)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동구(150e)와 구동공간(150c)의 타측면 사이에는 이동구(150e)를 개폐단(150f) 쪽으로 미는 탄성수단(150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공간(150c)에서 제 1 체크밸브수로(150a) 쪽으로 진행하려는 물의 수압과는 별도로 이동구(150e)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폐단(150f)에 밀착시킨다.
이때, 탄성수단(150h)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의 수압으로 이동구(150e)를 충분히 밀어낼 수 있을 정도로만 탄성력을 발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150)의 제 1 체크밸브수로(150a)로 유입된 물(W)은 수압으로 이동구(150e)를 개폐단(150f)과 이격되게 밀어내고 그 틈을 통과하여 구동공간(150c)을 거쳐 제 2 체크밸브수로(150b) 쪽으로 진행한다.
반대로, 제 2 체크밸브수로(150b)로 유입된 물(W)은 탄성력 내지 수압(위에서 언급된 제 1 체크밸브수로(150a)에서 제 2 체크밸브수로(150b) 방향으로 진행하는 물의 수압과 반대되는 방향의 수압이다.)으로 밀려 개폐단(150f)에 밀착된 이동구(150e)에 의해 제 1 체크밸브수로(150a) 쪽으로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체크밸브(150)를 이용하면 물(W)은 일방향 즉, 제 1 체크밸브수로(150a)에서 제 2 체크밸브수로(150b)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진행한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유입구(110), 복수 개의 배출구(130) 및 하나 이상의 체크밸브(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이들의 배치 및 구성 여부를 변경하여 다양한 경로로 수로를 분배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 2와 함께 도 4 또는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는 수로 분배기(100)가 유입된 물을 4 개의 배출구(130) 중 어느 하나, 상기 어느 하나를 포함한 셋, 상기 어느 하나를 제외한 셋으로 나누어 배출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도 4와 같이,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3, 4 배출구(131, 133, 135, 137), 제 1, 2, 3 체크밸브(151, 153, 15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유입구(111)와 제 1 배출구(131)는 제 1 수로(Ⅰ)로 연결되고, 제 2 유입구(113)와 제 2 배출구(133)는 제 2 수로(Ⅱ)로 연결되며, 제 1 수로(Ⅰ)와 제 2 수로(Ⅱ)는 제 3 수로(Ⅲ)로 연결되고, 제 3 수로(Ⅲ)에는 제 1 체크밸브(151)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제 3 수로(Ⅲ)에서 제 1 수로(Ⅰ)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유입구(115)와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2 배출구(133) 사이는 제 4 수로(Ⅳ)가 연결되고,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4 수로(Ⅳ)의 분지점 사이에는 제 2 체크밸브(153)가 설치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유입구(113)에서 제 2 배출구(133)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배출구(135)와 제 4 수로(Ⅳ)는 제 5 수로(Ⅴ)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4 배출구(137)와 제 4 수로(Ⅳ) 중 제 5 수로(Ⅴ)의 분지점과 제 3 유입구(115) 사이는 제 6 수로(Ⅵ)로 연결되고, 제 4 수로(Ⅳ) 중 제 5 수로(Ⅴ)의 분지점과 제 6 수로(Ⅵ)의 분지점 사이에는 제 3 체크밸브(155)가 설치된다.
이때, 제 3 체크밸브(155)는 제 3 유입구(115)에서 제 3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물은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만 유입되고 이러한 유입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조작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 물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흐름을 보인다.
첫째로,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만 이동한다.
즉,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하지만, 제 1 수로(Ⅰ)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는 제 1 체크밸브(151)에 의해 통과하지 못한다.
둘째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로 이동한다.
즉,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체크밸브(153)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3 수로(Ⅲ)를 지나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이와 같이 제 3 수로(Ⅲ)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4 수로(Ⅳ)를 지나 제 5 수로(Ⅴ)를 타고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한다. 이때, 제 3 체크밸브(155)는 제 4 수로(Ⅳ)로 진입된 물이 제 6 수로(Ⅵ)를 타고 제 4 배출구(137)로 이동하지 않게 차단한다.
셋째로,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2, 3, 4 배출구(133, 135, 137)로 이동한다.
즉,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4 수로(Ⅳ)를 타고 제 3, 4 배출구(135, 137)로 이동하고 제 3 체크밸브(155)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물은 제 4 수로(Ⅳ)에 연결된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수로(Ⅱ)로 진입된 물이 제 3 수로(Ⅲ)로 이동하지 않게 차단하여 제 1 배출구(131)로는 배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샤워헤드를 통해, 또는 고정샤워헤드와 2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또는 3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별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수로 분배기가 유입된 물을 3 개의 배출구(130) 중 어느 하나, 상기 어느 하나를 포함한 셋, 상기 어느 하나를 제외한 둘로 나누어 배출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 및 제 1, 2 체크밸브(151, 15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에서 제 4 배출구(137)와 제 3 체크밸브(155)가 생략된 것으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 및 제 1, 2 체크밸브(151, 153)의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 1 유입구(111)와 제 1 배출구(131)는 제 1 수로(Ⅰ)로 연결되고, 제 2 유입구(113)와 제 2 배출구(133)는 제 2 수로(Ⅱ)로 연결되며, 제 1 수로(Ⅰ)와 제 2 수로(Ⅱ)는 제 3 수로(Ⅲ)로 연결되고, 제 3 수로(Ⅲ)에는 제 1 체크밸브(151)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제 3 수로(Ⅲ)에서 제 1 수로(Ⅰ)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유입구(115)와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2 배출구(133) 사이는 제 4 수로(Ⅳ)로 연결되고,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4 수로(Ⅳ)의 분지점 사이에는 제 2 체크밸브(153)가 설치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유입구(113)에서 제 2 배출구(133)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배출구(135)와 제 4 수로(Ⅳ)는 제 5 수로(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물은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만 유입되고 이러한 유입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조작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 물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흐름을 보인다.
첫째로,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만 이동한다.
즉,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하지만, 제 1 수로(Ⅰ)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는 제 1 체크밸브(151)에 의해 통과하지 못한다.
둘째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로 이동한다.
즉,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체크밸브(153)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3 수로(Ⅲ)를 지나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이와 같이 제 3 수로(Ⅲ)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4 수로(Ⅳ)를 지나 제 5 수로(Ⅴ)를 타고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한다.
셋째로,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2, 3 배출구(133, 135)로 이동한다.
즉,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4 수로(Ⅳ)를 타고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하고 제 3 체크밸브(155)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물은 제 4 수로(Ⅳ)에 연결된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수로(Ⅱ)로 진입된 물이 제 3 수로(Ⅲ)로 이동하지 않게 차단하여 제 1 배출구(131)로는 배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샤워헤드를 통해, 또는 고정샤워헤드와 2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또는 2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별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는 수로 분배기가 유입된 물을 3 개의 배출구(130) 중 어느 하나, 상기 어느 하나를 포함한 둘, 상기 어느 하나를 제외한 둘로 나누어 배출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도 5와 같이,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 및 제 1, 2, 4 체크밸브(151, 153, 157)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에서 제 4 체크밸브(157)를 추가한 것으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 및 제 1, 2 체크밸브(151, 153)의 배치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 1 유입구(111)와 제 1 배출구(131)는 제 1 수로(Ⅰ)로 연결되고, 제 2 유입구(113)와 제 2 배출구(133)는 제 2 수로(Ⅱ)로 연결되며, 제 1 수로(Ⅰ)와 제 2 수로(Ⅱ)는 제 3 수로(Ⅲ)로 연결되고, 제 3 수로(Ⅲ)에는 제 1 체크밸브(151)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제 3 수로(Ⅲ)에서 제 1 수로(Ⅰ)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유입구(115)와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2 배출구(133) 사이는 제 4 수로(Ⅳ)로 연결되고,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4 수로(Ⅳ)의 분지점 사이에는 제 2 체크밸브(153)가 설치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유입구(113)에서 제 2 배출구(133)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배출구(135)와 제 4 수로(Ⅳ)는 제 5 수로(Ⅴ)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4 수로 중 제 5 수로(Ⅴ)의 분지점과 제 2 수로(Ⅱ)와의 교차점 사이에는 제 4 체크밸브(157)가 설치된다.
이때, 제 4 체크밸브(157)는 제 3 유입구(115)에서 제 2 배출구(133)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물은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만 유입되고 이러한 유입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조작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 물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흐름을 보인다.
첫째로,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만 이동한다.
즉,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하지만, 제 1 수로(Ⅰ)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는 제 1 체크밸브(151)에 의해 통과하지 못한다.
둘째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1, 2 배출구(131, 133)로 이동한다.
즉,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체크밸브(153)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때, 제 4 체크밸브(157)는 제 2 수로(Ⅱ)에서 분지된 제 4 수로(Ⅳ)로 진입된 물이 제 5 수로(Ⅴ)를 타고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하지 않게 차단한다.
또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3 수로(Ⅲ)를 지나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이와 같이 제 3 수로(Ⅲ)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셋째로,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2, 3 배출구(133, 135)로 이동한다.
즉,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4 수로(Ⅳ)를 타고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한다.
또한, 물은 제 4 수로(Ⅳ)에 연결된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4 체크밸브(157)는 이러한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그러나,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수로(Ⅱ)로 진입된 물이 제 3 수로(Ⅲ)로 이동하지 않게 차단하여 제 1 배출구(131)로는 배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샤워헤드를 통해, 또는 고정샤워헤드와 1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또는 2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별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는 수로 분배기가 유입된 물을 2 개의 배출구(130) 중 어느 하나, 둘 모두, 다른 어느 하나로 나누어 배출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배출구(131, 133) 및 제 1, 2 체크밸브(151, 15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에서 제 3 배출구(135)와 제 4 체크밸브(157)가 생략된 것으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제 1, 2 배출구(131, 133) 및 제 1, 2 체크밸브(151, 153)의 배치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 1 유입구(111)와 제 1 배출구(131)는 제 1 수로(Ⅰ)로 연결되고, 제 2 유입구(113)와 제 2 배출구(133)는 제 2 수로(Ⅱ)로 연결되며, 제 1 수로(Ⅰ)와 제 2 수로(Ⅱ)는 제 3 수로(Ⅲ)로 연결되고, 제 3 수로(Ⅲ)에는 제 1 체크밸브(151)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제 3 수로(Ⅲ)에서 제 1 수로(Ⅰ)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3 유입구(115)와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2 배출구(133) 사이는 제 4 수로(Ⅳ)로 연결되고, 제 2 수로(Ⅱ) 중 제 3 수로(Ⅲ)의 분지점과 제 4 수로(Ⅳ)의 분지점 사이에는 제 2 체크밸브(153)가 설치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유입구(113)에서 제 2 배출구(133)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물은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만 유입되고 이러한 유입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조작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 물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흐름을 보인다.
첫째로,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만 이동한다.
즉,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하지만, 제 1 수로(Ⅰ)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는 제 1 체크밸브(151)에 의해 통과하지 못한다.
둘째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1, 2 배출구(131, 133)로 이동한다.
즉,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체크밸브(153)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3 수로(Ⅲ)를 지나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이와 같이 제 3 수로(Ⅲ)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셋째로,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한다.
즉,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4 수로(Ⅳ)를 지나 제 4 수로(Ⅳ)에 연결된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체크밸브(153)는 제 2 수로(Ⅱ)로 진입된 물이 제 3 수로(Ⅲ)로 이동하지 않게 차단하여 제 1 배출구(131)로는 배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샤워헤드를 통해, 또는 고정샤워헤드와 1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또는 1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별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실시예는 수로 분배기가 유입된 물을 2 개의 배출구(130) 중 어느 하나, 둘 모두로 나누어 배출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제 1, 2 유입구(111, 113), 제 1, 2 배출구(131, 133) 및 제 1 체크밸브(151)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는 상기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에서 제 3 유입구(115)와 제 2 체크밸브(153)가 생략된 것으로, 제 1, 2 유입구(111, 113), 제 1, 2 배출구(131, 133) 및 제 1 체크밸브(151)의 배치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 1 유입구(111)와 제 1 배출구(131)는 제 1 수로(Ⅰ)로 연결되고, 제 2 유입구(113)와 제 2 배출구(133)는 제 2 수로(Ⅱ)로 연결되며, 제 1 수로(Ⅰ)와 제 2 수로(Ⅱ)는 제 3 수로(Ⅲ)로 연결되고, 제 3 수로(Ⅲ)에는 제 1 체크밸브(151)가 설치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제 3 수로(Ⅲ)에서 제 1 수로(Ⅰ)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이 허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5 실시예에서 물은 제 1, 2 유입구(111, 113) 중 어느 하나로만 유입되고 이러한 유입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조작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2 유입구(111, 113)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 물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의 흐름을 보인다.
첫째로,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만 이동한다.
즉,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하지만, 제 1 수로(Ⅰ)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는 제 1 체크밸브(151)에 의해 통과하지 못한다.
둘째로,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1, 2 배출구(131, 133)로 이동한다.
즉,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타고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체크밸브(153)는 이와 같은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물은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3 수로(Ⅲ)를 지나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체크밸브(151)는 이와 같이 제 3 수로(Ⅲ)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샤워헤드를 통해, 또는 고정샤워헤드와 1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별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샤워장치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장치(200)는 하나의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사용자의 전신 또는 원하는 신체 부위별로 물을 분사하고 빠르고 쉽게 샤워를 진행하거나 마사지까지 병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샤워장치(200)는 도 6과 같이, 수로 분배기(100),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수로 분배기(100)에 제공하는 공급수단(210), 수로 분배기(100)로부터 제공된 물을 소정의 수압으로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분출수단(281, 283, 285, 287)을 포함한다.
이때, 공급수단(210)과 수로 분배기(100)의 사이에는 수로 분배기(100)의 유입구(110) 중 어느 하나로만 물을 공급하는 조작수단(230)이 설치된다.
우선, 공급수단(210)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수 또는 온수를 조작수단(230)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양단에 각각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받는 냉,온수유입단(211, 212)과 이로부터 공급된 냉온수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냉온수조절밸브(213)와 개폐밸브(215)를 포함한다.
이때 냉온수조절밸브(213)는 통상적인 다이얼식 밸브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외에 양단으로부터 공급된 냉,온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섞을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어떠한 것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개폐밸브(215)는 냉온수조절밸브(213)를 통해 제공된 냉수 또는 온수를 조작수단(230)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이는 도시된 바와 달리 냉온수조절밸브(213)가 ON/OFF 기능까지 겸할 시 생략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작수단(230)은 공급수단(2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로 분배기(100)의 복수 개 유입구(110)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공(231)이 타공된 회전체(233), 회전체(233)의 회전으로 연통공(231)과 교대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류관(234, 235, 236, 237)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수단(230)은 회전체(233)의 회전으로 연통공(231)과 복수 개의 분류관(234, 235, 236, 237)을 교대로 연결하고 공급수단(210)에서 제공된 물은 조작수단(230)의 내부와 회전체(233)의 연통공(231)을 거쳐 연통공(231)과 연결된 복수 개의 분류관(234, 235, 236, 237) 중 어느 하나로 진행한다. 이때, 회전체(233)는 후술하는 본체(201) 외부로 노출된 조작핸들(238)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로 분배기(100)는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에 각각 연결된 제 1, 2, 3 분류관(234, 235, 236) 중 어느 하나로만 물을 공급 받는다.
그리고 복수 개의 분류관(234, 235, 236, 237) 중 나머지 제 4 분류관(237)은 핸드샤워기(250)가 연결된 핸드샤워기연결단(25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수단(230)은 위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로 분배기(100)의 복수 개 유입구(110) 중 교대로 어느 하나에 물을 유입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변형도 무방할 것이고 이에 대한 응용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다음으로, 분출수단(281, 283, 285, 287)은 이미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의 실시예 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제 1, 2, 3, 4 배출구(131, 133, 135, 137)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와 대응되는 제 1, 2, 3, 4 분출수단(281, 283, 285, 287)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출구(131)는 제 1 분출수단(281)과, 제 2 배출구(133)는 제 2 분출수단(283)과, 제 3 배출구(135)는 제 3 분출수단(285)과, 제 4 배출구(137)는 제 4 분출수단(287)과 연결된다.
이때, 제 1 분출수단(281)은 샤워실 천장 내지 샤워실 벽면의 상단 또는 후술하는 본체(201)의 상단에 설치된 통상의 고정샤워헤드,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은 사용자가 섰을 때 바람직하게는 가슴, 배, 다리 정도의 높이로 샤워실 벽면 또는 후술하는 본체(201)에 분사노즐이 측방을 향하게 설치된 통상의 측방분출구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을 이용해 머리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을 이용해 가슴, 배, 다리를 향해 수평 내지 이와 유사한 측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와 대응되는 제 1, 2, 3 분출수단(281, 283, 285)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출구(131)는 제 1 분출수단(281)과, 제 2 배출구(133)는 제 2 분출수단(283)과, 제 3 배출구(135)는 제 3 분출수단(285)과 연결된다.
이때, 제 1 분출수단(281)은 샤워실 천장 내지 샤워실 벽면의 상단 또는 후술하는 본체(201)의 상단에 설치된 통상의 고정샤워헤드,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은 사용자가 섰을 때 바람직하게는 배, 다리 정도의 높이로 샤워실 벽면 또는 후술하는 본체(201)에 분사노즐이 측방을 향하게 설치된 통상의 측방분출구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을 이용해 머리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을 이용해 배, 다리를 향해 수평 내지 이와 유사한 측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는 제 1, 2 배출구(131, 133)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와 대응되는 제 1, 2 분출수단(281, 283)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출구(131)는 제 1 분출수단(281)과, 제 2 배출구(133)는 제 2 분출수단(283)과 연결된다.
이때, 제 1 분출수단(281)은 샤워실 천장 내지 샤워실 벽면의 상단 또는 후술하는 본체(201)의 상단에 설치된 통상의 고정샤워헤드, 제 2 분출수단(283)은 사용자가 섰을 때 바람직하게는 다리 정도의 높이로 샤워실 벽면 또는 후술하는 본체(201)에 분사노즐이 측방을 향하게 설치된 통상의 측방분출구일 수 있다.
따라서,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을 이용해 머리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 2 분출수단(283)을 이용해 다리를 향해 수평 내지 이와 유사한 측방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수단(210), 조작수단(230) 및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은 별개의 독립체로 샤워실의 벽면에 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로 분배기(100)가 내장된 하나의 본체(201)에 장착된다.
이러한 본체(201)는 샤워실 등의 벽면에 매립되거나 걸치게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공급수단(210), 조작수단(230), 수로 분배기(100)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게 측면이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이 상하 일렬로 배치될 수 있게 정면이 상하로 길게 마련된 직사각형 형태이다.(도 6 참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샤워장치(200)는 하나의 조작수단(230)을 조작하여 모든 경로의 수로에 대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디지털 방식의 조작수단 내지 콘트롤러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밸브가 적게 구성되거나 생략 가능하여 미끈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디자인하기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의 작동 및 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7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의 실시예 별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우선,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에서 물은 제 1, 2, 3, 4 분출수단(281, 283, 285, 287)을 통해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분사된다.
첫째로, 조작수단(230)의 조작으로 수로 분배기(100)의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수로(Ⅰ)를 타고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하고, 제 1 수로(Ⅰ)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로 진입한 물은 제 1 체크밸브(151)에 의해 제 3 수로(Ⅲ)를 통과하지 못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 물은 이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28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1 분출수단(281)을 구성하는 고정샤워헤드를 통해서만 물이 분사된다.
둘째로, 조작수단(230)의 조작으로 수로 분배기(100)의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제 2 유입구(113)로 전달된 물은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지나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수로(Ⅱ)에 연결된 제 3 수로(Ⅲ) 및 제 4 수로(Ⅳ)를 지나 제 1 배출구(131) 및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한다. 이때, 제 4 수로(Ⅳ)로 진입된 물은 제 3 체크밸브(155)에 의해 제 6 수로(Ⅵ)의 진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2, 3 배출구(131, 133, 135)로 이동한 물은 이와 연결된 제 1, 2, 3 분출수단(281, 283, 28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1 분출수단(281)을 구성하는 고정샤워헤드를 포함하여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을 구성하는 2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물이 분사된다.
셋째로, 조작수단(230)의 조작으로 수로 분배기(100)의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제 3 유입구(115)로 전달된 물은 제 2, 3, 4 배출구(133, 135, 137)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4 수로(Ⅳ)를 지나 제 3, 4 배출구(135, 137)로 이동하고, 제 4 수로(Ⅳ)에 연결된 제 2 수로(Ⅱ)를 지나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수로(Ⅱ)로 진입된 물은 제 2 체크밸브(153)에 의해 제 3 수로(Ⅲ)의 진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2, 3, 4 배출구(133, 135, 137)로 전달된 물은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을 구성하는 3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서만 물이 분사된다.
그 결과,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 또는 제 1, 2, 3 분출수단(281, 283, 285) 또는 제 2, 3, 4 분출수단(283, 285, 287)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 또는 제 1, 2, 3 분출수단(281, 283, 285) 또는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및 방법은 구성상 제 1 실시예에서 제 3 체크밸브(155)와 제 4 배출구(137) 및 제 4 분출수단(287)이 생략되었을 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2, 3 분출수단(281, 283, 285)을 통해 다음의 3가지 유형으로 물을 분사한다.
첫째로, 조작수단(230)의 조작으로 수로 분배기(100)의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제 1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는 제 1 실시예의 작동 및 방법과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둘째로, 조작수단(230)의 조작으로 수로 분배기(100)의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제 2 유입구(113)로 전달된 물은 제 1, 2 배출구(131, 133)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 2 유입구(113)로 유입된 물은 제 2 수로(Ⅱ)를 지나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하고, 제 2 수로(Ⅱ)에서 분지된 제 3 수로(Ⅲ)를 지나 제 1 배출구(131)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수로(Ⅱ)와 연결된 제 4 수로(Ⅳ)에 진입한 물은 제 4 체크밸브(157)에 의해 제 5 수로(Ⅴ)의 진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2 배출구(131, 133)로 이동한 물은 이와 연결된 제 1, 2 분출수단(281, 28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1 분출수단(281)을 구성하는 고정샤워헤드를 포함하여 제 2 분출수단(283)을 구성하는 1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 물이 분사된다.
셋째로, 조작수단(230)의 조작으로 수로 분배기(100)의 제 1, 2, 3 유입구(111, 113, 115) 중 제 3 유입구(115)로 전달된 물은 제 2, 3 배출구(283, 285)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 3 유입구(115)로 유입된 물은 제 4 수로(Ⅳ)를 지나 제 3 배출구(135)로 이동하고, 제 4 수로(Ⅳ)에 연결된 제 2 수로(Ⅱ)를 지나 제 2 배출구(133)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수로(Ⅱ)로 진입된 물은 제 2 체크밸브(153)에 의해 제 3 수로(Ⅲ)의 진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2, 3 배출구(133, 135)로 전달된 물은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을 구성하는 2개의 측방분출구를 통해서만 물이 분사된다.
그 결과,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 또는 제 1, 2 분출수단(281, 283) 또는 제 2, 3 분출수단(283, 285)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 또는 제 1, 2 분출수단(281, 283) 또는 제 2 분출수단(283)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로 분배기(100)를 이용한 샤워장치(200)는 제 1 분출수단(281) 또는 제 1, 2 분출수단(281, 283)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및 방법은 제 3 실시예에서 구성상 순차적으로 제 4 체크밸브(157)와 제 3 배출구(135), 제 2 체크밸브(153)와 제 3 유입구(115)가 생략되었을 뿐,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 3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 바디 샤워기 10: 샤워기본체
11: 상수도연결관 15: 분배탱크
20: 고정샤워헤드 31: 상하분사구
33: 보조분사구 40: 핸드샤워헤드
50: 분배관 60: 조절밸브
100: 수로 분배기 101: 블럭
110: 유입구 111: 제 1 유입구
113: 제 2 유입구 115: 제 3 유입구
130: 배출구 131: 제 1 배출구
133: 제 2 배출구 135: 제 3 배출구
137: 제 4 배출구 150: 체크밸브
150a: 제 1 체크밸브수로 150b: 제 2 체크밸브수로
150c: 구동공간 150d: 체크밸브하우징
150e: 이동구 150f: 개폐단
150g: 패킹 150h: 탄성수단
151: 제 1 체크밸브 153: 제 2 체크밸브
155: 제 3 체크밸브 157: 제 4 체크밸브
200: 샤워장치 201: 본체
210: 공급수단 211: 냉수유입단
212: 온수유입단 213: 냉온수조절밸브
215: 개폐밸브 230: 조작수단
231: 연통공 233: 회전체
234: 제 1 분류관 235: 제 2 분류관
236: 제 3 분류관 237: 제 4 분류관
238: 조작핸들 250: 핸드샤워기
251: 핸드샤워기연결단 281: 제 1 분출수단
283: 제 2 분출수단 285: 제 3 분출수단
287: 제 4 분출수단 W: 물
Ⅰ: 제 1 수로 Ⅱ: 제 2 수로
Ⅲ: 제 3 수로 Ⅳ: 제 4 수로
Ⅴ: 제 5 수로 Ⅵ: 제 6 수로

Claims (8)

  1. 물이 유입되는 제 1, 2 유입구;
    물이 배출되는 제 1, 2 배출구;
    상기 제 1 유입구와 상기 제 1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1 수로;
    상기 제 2 유입구와 상기 제 2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2 수로;
    상기 제 1 수로와 상기 제 2 수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 1 수로와 상기 제 2 수로를 연결하는 제 3 수로; 및
    상기 제 3 수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수로에서 상기 제 1 수로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유입구 중 어느 하나로 물이 유입되는 수로 분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3 유입구;
    상기 제 3 유입구와 상기 제 2 수로 중 상기 제 3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2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수로; 및
    상기 제 2 수로 중 상기 제 3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4 수로의 분지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입구에서 상기 제 2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3 유입구 중 어느 하나로 물이 유입되는 수로 분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3 배출구;
    상기 제 3 배출구와 상기 제 4 수로를 연결하는 제 5 수로를 더 포함하는 수로 분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 4 배출구;
    상기 제 4 배출구와 상기 제 4 수로 중 상기 제 3 유입구와 상기 제 5 수로의 분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제 6 수로; 및
    상기 제 4 수로 중 상기 제 5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6 수로의 분지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유입구에서 상기 제 3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3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로 분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4 수로 중 상기 제 5 수로의 분지점과 상기 제 2 수로와의 교차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유입구에서 상기 제 2 배출구 방향으로만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 4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로 분배기.
  6.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의 수로 분배기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 분배기;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1 배출구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 및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2 배출구와 연결된 제 2 분출수단를 포함하는 샤워장치.
  7. 청구항 3 또는 5 중 어느 하나의 수로 분배기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 분배기;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1 배출구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2 배출구와 연결된 제 2 분출수단; 및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3 배출구와 연결된 제 3 분출수단을 포함하는 샤워장치.
  8. 청구항 4의 수로 분배기를 이용한 샤워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 분배기;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1 배출구와 연결된 제 1 분출수단;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2 배출구와 연결된 제 2 분출수단;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3 배출구와 연결된 제 3 분출수단; 및
    상기 수로 분배기의 제 4 배출구와 연결된 제 4 분출수단을 포함하는 샤워장치.
KR1020100111934A 2010-11-11 2010-11-11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KR10125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34A KR101250325B1 (ko) 2010-11-11 2010-11-11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34A KR101250325B1 (ko) 2010-11-11 2010-11-11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00A KR20120050600A (ko) 2012-05-21
KR101250325B1 true KR101250325B1 (ko) 2013-04-03

Family

ID=4626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34A KR101250325B1 (ko) 2010-11-11 2010-11-11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112705Y (es) * 2014-03-14 2014-09-08 Griferias Grober S L Grifo mezclador
ES2517965B2 (es) 2014-03-14 2015-05-27 Griferías Grober, S.L.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apertura y cierre de griferí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1Y1 (ko) 2002-10-12 2003-01-14 주식회사 하나로샤워부스 바디샤워기의 절수장치
KR200328284Y1 (ko) 2003-07-10 2003-09-26 이후정 개폐수단이 구현된 바디 샤워기의 노즐
KR20050096614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물산 주식회사 마사지가 가능한 멀티 샤워 시스템
KR200431929Y1 (ko) 2006-09-11 2006-11-27 세비앙 주식회사 원수와 연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샤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1Y1 (ko) 2002-10-12 2003-01-14 주식회사 하나로샤워부스 바디샤워기의 절수장치
KR200328284Y1 (ko) 2003-07-10 2003-09-26 이후정 개폐수단이 구현된 바디 샤워기의 노즐
KR20050096614A (ko) * 2004-03-31 2005-10-06 삼성물산 주식회사 마사지가 가능한 멀티 샤워 시스템
KR200431929Y1 (ko) 2006-09-11 2006-11-27 세비앙 주식회사 원수와 연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00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0423B (zh) 淋浴头
CN101970120A (zh) 同时进行开/关控制和流动选择的喷射器组件
CN103706495A (zh) 淋浴设备
KR200446069Y1 (ko) 천장용 샤워기
CN104887163A (zh)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
KR101250325B1 (ko) 수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US5311621A (en) Shower unit
KR101585401B1 (ko) 물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분수장치
US8939175B2 (en) Fluid delivery systems
CN101451375B (zh) 坐便式喷液器及其用途
KR100936988B1 (ko) 분수 물높이 조절용 노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분수 물높이 제어장치
JP2007130614A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487067Y1 (ko) 에어혼합수 분사장치
CN110404697B (zh) 带有流体压力操纵的阀的喷水设备头
KR101250328B1 (ko) 샤워헤드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헤드
WO2020078035A1 (zh) 洗碗机
KR101307186B1 (ko) 샤워헤드
KR200328284Y1 (ko) 개폐수단이 구현된 바디 샤워기의 노즐
KR20100045810A (ko)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200355413Y1 (ko) 냉.온 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KR100700401B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KR200415455Y1 (ko) 고압공기를 이용한 고압수 공급장치
KR102543799B1 (ko) 비상 샤워 장치
KR200393344Y1 (ko) 발코니용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