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348Y1 -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 Google Patents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348Y1
KR200414348Y1 KR2020060003684U KR20060003684U KR200414348Y1 KR 200414348 Y1 KR200414348 Y1 KR 200414348Y1 KR 2020060003684 U KR2020060003684 U KR 2020060003684U KR 20060003684 U KR20060003684 U KR 20060003684U KR 200414348 Y1 KR200414348 Y1 KR 200414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me
building
interi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춘
최영우
Original Assignee
김재춘
최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춘, 최영우 filed Critical 김재춘
Priority to KR2020060003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PVC하지나 폴리올레핀등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로 그라스화이버층을 부착하며 최상단인 상면에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형성시켜 입체감도 주고 고강도이며 방염의 효과가 있어 화재시에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의 가스의 배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염의 기능을 가진 건축물의 내장재이기에 만일 발생할지도 모르는 화재시에 유해한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피난해야만 하는 입주자들이 용이하게 피신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에 건축물의 내장재의 패널(바닥재, 천장재, 벽재 등)을 생산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기에 그 제작비용이 낮으며, 다양한 제품 형상구현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넓고, 건식시공방법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여 바닥재의 경우 시공 직후 통행이 가능하여 타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공사기간 단축으로 종합적인 원가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닥재, 벽재, 천장재 등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외관 및 물성을 제공하고, 시공 후 교체가 용이하여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인테리어 시공에 적합하며, 교체 시공이 용이하다.
석재뿜질재층, 무기질재료, 규사, 마그네슘, 칼슘 등

Description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The panel for resistance to flame in building}
도 1은 본 고안의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전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패널이 판재화된 석재뿜질재층을 접착한 방식의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의 패널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 2의 패널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합성수지층 20; 석재뿜질재층
25; 무기질재료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PVC하지나 폴리올레핀등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로 그라스화이버층을 부착하며 최상단인 상면에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형성시켜 입체감도 주고 고강도이며 방염의 효과가 있어 화재시에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의 가스의 배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경우 그 건축물을 지탱하는 콘크리트골조가 있고, 그 골조를 둘러쌓게 벽체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건축물의 모양을 꾸미기 위해 상기 벽체의 내부에 미장을 하거나, 별도의 내장재를 부착하는 형태로 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내장재의 경우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화재의 발생시 방염의 기능이 없어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등 거주자들에게 안전상의 많은 문제점을 주고 있다.
특히 근간에 발생된 지하철 등의 내장재들이 방염의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불시에 화재가 차량 전체의 전소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해 승객들이 피신도 하지 못하고 생명을 잃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요즘에는 일반숙박시설, 관광숙박시설, 종합병원, 정신병원, 방송국, 촬영소 및 전시장의 내장재에는 반드시 방염의 처리를 하도록 규제를 하고 있다.
또한 단란주점영업점, 유흥주점영업점, 아파트를 제외한 건축물로서 층수가 11층이상이 건축물, 청소년시설(숙박시설이 있는 시설에 한함), 노숙자시설, 안마시술소, 헬스클럽, 특수목욕장, 관람집회 및 운동시설에도 반드시 방염처리를 규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휴게음식점영업점, 일반음식점 으로서 영업장의 사용바닥면적의 합계가 지하층의 경우 66㎡ 이상인 영업장, 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한 비디오감상실업 게임제공업 등의 경우도 방염을 필수적으로 하여야 한다고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염 처리된 내장재의 수요는 점차 늘고 있지만 바람직한 내장재를 제작하고 있지 못한 추세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PVC하지나 폴리올레핀등의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로 그라스화이버층을 부착하며 최상단인 상면에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형성시켜 입체감도 주고 고강도이며 방염의 효과가 있어 화재시에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의 가스의 배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에 체결되는 내, 외장 패널에 있어서, 하단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합성수지층과; 상기 합성수지층 상부에 층을 이루는 그라스화이버층과; 상기 그라스화이버층 상단에 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으로;형성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방염의 효과를 가져오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합성수지층은 PVC 하지나 폴리올레핀으로 생산되고, 상기 석재뿜질재층은 무기질재료, 아크릴수지, 희석제와 점도저하제를 섞어 얇게 층을 이루게 굳혀서 형성되며, 상기 무기질재료는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 중 1종 이상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 고자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의 상기 석재뿜질재층은 액상의 석재뿜질재를 그라스화이버층의 표면에 도포한 상태로 경화되어 층을 이루거나 또는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의 상면에 난연접착제를 통해 결합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 벽면에 체결되는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내장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 및 천장에 부착하는 형태로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으며, 합성수지층, 그라스화이버층과 석재뿜질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방염의 효과가 있다는 점 및 그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다양한 색상과 자연 질감을 느낄 수 있게 제작할 수 있어 미감에도 훌륭하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처럼, 건축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에 체결되는 내, 외장 패널에 있어서, 하단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합성수지층(10)이 있고, 상기 합성수지층(10) 상부에 층을 이루는 그라스화이버층(30)이 있다.
또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 상단에 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층간의 결합체로 형성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방염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염의 내장 패널이란 건축물의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바닥재, 천장재 및 내벽재에 모두 사용되는 패널이나 장판을 칭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패널은 상기 모든 용도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럼 여기서 본 고안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합성수지(10)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기 합성수지층(10)은, PVC 하지나 폴리올레핀으로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이 PVC하지와 폴리올레핀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PVC하지는 PVC로 만든 패널으로, 재질인 PVC는 염화비닐중합체의 약칭으로 사용된다.
이 PVC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4대 플라스틱의 하나이다.
제 2차세계대전 후 필름, 성형품, 섬유에 주로 쓰였고, 현재 폴리에틸렌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폴리염화비닐에는 가소제를 거의 첨가하지 않은 경질 폴리염화비닐과 가소제를 다량 첨가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이 있다.
이들은 난연성과 내수성이며 열이나 빛에 분해되어 염화수소를 발생시킨다.
연소할 때에도 자극성, 부식성, 염화수소가스를 발생하므로 건축재료로 쓰거나 폐기처리 때 문제가 된다.
경질 폴리염화비닐은 건축자재, 레코드판, 용기 등의 성형품으로 쓰이며, 연 질 폴리염화비닐은 전선피복, 구도, 농업용필름, 스트래치 필름 등으로 쓰인다.
그런데 이 본 고안의 PVC는 상기한 경질의 폴리염화비닐과 연질의 폴리염화비닐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불에 노출되지 않고 패널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하지로 사용된다.
즉, 불이 날 경우에는 불이 붙지는 않고 액화되어 흘러내리는 것이 일반적인 이 PVC는 그 염화수소가스를 발생시키기에 유해할 소지가 다소 있다.
그러나 패널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그 내구성이 뛰어나고 성형이 쉽기에 제작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패널이나 장판에 사용되어 프레임의 역할과 시공작업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폴리올레핀의 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자유롭게 중합할 수 있는 것은 끝에 이중결합이 있는 올레핀(또는 α-올레핀)뿐이므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이소부틸렌(합성고무로서 소량의 이소프렌과 혼성중합하여 제품으로 만든다)이 폴리올레핀에 속한다.
프로필렌으로부터 합성되는 4-메틸펜텐의 중합물은 폴리메틸펜텐·메틸펜텐수지로 뛰어난 성질을 나타낸다.
밀도 0.83으로 가장 가벼운 플라스틱이며, 녹는점 350℃, 하전하의 열변형온도가 200℃라는 내열성을 가지며 메타크릴수지와 같은 정도의 투명성[光透過性]을 가진다.
또한 물에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무게의 적어도 85% 정도를 차지하는 합성섬유를 나타낸다.
상품화된 이런 종류의 섬유로는 DLP·헤르쿨론·폴리크레스트·벡트라 등이 있다.
폴리올레핀은 원래 여러 가지 플라스틱 제품과 필름에 사용되었고, 1950년대 중반에 비로소 섬유로 개발되었다.
폴리에틸렌 섬유의 강도는 종류에 따라 다르나 나일론-6,6이 가장 강하고 다른 종류는 이보다 다소 작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폴리에필렌 섬유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무게를 견딜 수 있는데 이것도 종류에 따라 다르다.
폴리에틸렌은 원래 길이의 10~40% 이상 늘어나고 폴리프로필렌은 15~30% 정도 늘어나는데, 어떤 종류는 원래 길이보다 50% 정도까지 늘어난다.
섬유를 5% 정도 늘리면 원래 길이의 90~98%가 복원된다. 폴리올레핀은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의 녹는점은 110~140℃이고, 폴리프로필렌은 약 165~175℃이다. 대부분의 폴리올레핀은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되면 강도가 작아진다.
폴리올레핀으로 만든 섬유는 적당한 온도가 유지되면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내화학성이 있어 강알칼리 용액으로 세척이 가능하고 보통 사용하는 세척용매로 드라이클리닝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곤충이나 미생물의 공격에 잘 견디는 좋은 전기절연체이다.
폴리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섬유를 만들며 양말·메리야스류, 운 동복, 내의, 파일 직물(pile fabric) 등에 사용한다.
또한 실내장식품, 옥외용 가구, 융단과 카펫, 주거용과 공공용으로 사용되는 실내외용 가구 같은 가정용 가구에도 사용된다.
공업적으로는 거르개, 선박용 밧줄, 자동차 시트 커버, 전기절연, 카펫 안감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물성으로 제작된 본 고안의 폴리올레핀층은 패널의 형태를 유지하고 그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다양한 형태로 형태변경이 용이하여 제작을 쉽게 한다.
결국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합성수지층이란 패널 즉 장판이나 패널의 형태를 형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완성된 패널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은 상기 합성수지층(10)의 상부에 그라스화이버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 여기서 본 고안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그라스화이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이 그라스화이버는 특수 가공을 거쳐 생산되며 야금, 기계, 석유, 화공 등 분야의 고온 내화 단열재로서 사용되며 내화성이 좋아 석면(asbestus) 등 내화제품의 대체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이다.
또한 그라스화이버는 중량이 가볍고, 고온에 잘 견디며 열량이 작고 보온 및 고온 내화성(insulating)이 좋으며 독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사용온도가 650-1260℃에 달하여 각각의 성능들이 동종의 내연, 내화제로 사용되는 석면제품보다 월등히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은 본 고안의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장 패널에 적용되어 그 불연과 내화성능을 북돋음과 동시에 만일 상기 합성수지층(10)과 석재뿜질층(20)이 충격이나 온도변화에 따라 깨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할지라도, 그 내부에서 철근처럼 견고하게 잡고 있는 결과를 가져와 패널이나 장판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그라스화이버(10)의 상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은, 건축물의 내벽에서 그 표면이 되는 부위로 이 층도 역시 불연과 난연의 효과가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럼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의 제조형태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무기질재료, 아크릴수지, 희석제와 점도저하제를 섞어 교반한 후에 얇게 층을 이루게 굳혀서 형성되는 형태의 것이 하나의 실시예이다.
즉, 상기 혼합물이 용융된 상태에서 경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무기질재료(25)가 함침된 상태로 돌출되어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무기질재료(25)의 천연질 질감은 물론 환경변화에 따른 변형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내장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천연 무기질재료(25)의 경우 온도 변화나 풍화에 따른 침식의 변화에 내구성이 강하며,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을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의 상부에 형성시키는 방법을 도 1과 함께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용융된 상태의 아크릴수지와, 희석제 및 점도저하제에 무기질재료를 섞은 상태에서 그라스화이버층(30)에 도포를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융물이 경화되면서 상기 무기질재료(25)는 일부가 함침되고, 일부는 표면으로 돌출되어 천연 질감이 살아남과 동시에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태의 판재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의 하단에 부착된 그라스화이버층(30) 역시 불연과 난연의 소재이기에 본 고안의 목적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된 무기질재료(25)는 불연과 난연의 효과를 가져오는 다양한 형태의 무기질재료(25)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것을 찾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즉, 상기 무기질재료(25)는,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 중 1종 이상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모두 무기질재료(25)인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의 덩어리들을 교반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형태인 용융된 상태로 그라스화이버층(30)에 도포하여 형성시키는 석재뿜질재층(20)과는 달리 일단 석재뿜질재층(20)이 될 수 있게 판재나 장판의 형태로 제작한 후에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에 결합시키는 실시예이다.
즉,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판재나 장판의 형태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 (30)의 상면에 난연접착제(K)를 통해 결합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석재뿜질재로 형성된 판재를 제작하고 그 판재를 난연접착제(K)를 통해 그라스화이버층(30)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물론 이 건축물 내장 패널이나 장판도 방염의 효과가 있기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의 상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은, 건축물의 내벽에서 그 표면이 되는 부위로 이 층도 역시 방염의 효과가 있음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고안의 전술된 패널이나 장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장재 즉, 천정판, 바닥판, 벽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즉, 도 1과 2에서 보이듯 본 고안은 하단에 합성수지층(10)이 있고, 그 상부로 그라스화이버층(30)을 난연접착제(K)를 통해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의 상부로 석재뿜질층(20)을 함침시켜 결합하거나 난연접착체(K)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시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의 사태에 발생될 화재시 그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층(20)과 그라스화이버층(30)은 난연과 방염의 효과를 수행하며, 최하단의 합성수지층(10)은 패널을 형성하고, 패널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제작된 본 고안의 패널이나 장판은 건축물의 인테리어 공사시 그 내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에 직접 부착되어 시공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방염의 기능을 가진 건축물의 내장재이기에 만일 발생할지도 모르는 화재시에 유해한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피난해야만 하는 입주자들이 용이하게 피신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에 건축물의 내장재의 패널(바닥재, 천장재, 벽재 등)을 생산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기에 그 제작비용이 낮으며, 다양한 제품 형상구현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넓고, 건식시공방법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며, 바닥재의 경우 시공 직후 통행이 가능하여 타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아 공사기간 단축으로 종합적인 원가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닥재, 벽재, 천장재 등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외관 및 물성을 제공하고, 시공 후 교체가 용이하여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인테리어 시공에 적합하며, 교체 시공이 용이하다.

Claims (6)

  1. 건축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에 체결되는 내, 외장 패널에 있어서,
    하단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합성수지층(10)과;
    상기 합성수지층(10) 상부에 층을 이루는 그라스화이버층(30)과;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 상단에 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으로;형성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방염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10)은,
    PVC 하지 또는 폴리올레핀으로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무기질재료(25), 아크릴수지, 희석제와 점도저하제를 섞어 얇게 층을 이루게 굳혀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재료(25)는,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 중 1종 이상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액상의 석재뿜질재를 그라스화이버층(30)의 표면에 도포한 상태로 경화되어 층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30)의 상면에 난연접착제(K)를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20060003684U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414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84U KR200414348Y1 (ko)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84U KR200414348Y1 (ko)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348Y1 true KR200414348Y1 (ko) 2006-04-20

Family

ID=4929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84U KR200414348Y1 (ko)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34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422A3 (en) * 2009-05-13 2011-03-24 Hunter Douglas N.V.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453983B1 (ko) 2013-06-26 2014-10-28 중앙화학공업(주) 건축용 탄성 스톤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9097015B2 (en) 2011-10-12 2015-08-04 3Form, Llc Resin panels with embedded structured-co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80067240A (ko) * 2016-12-12 2018-06-20 한형우 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1954062B1 (ko) 2018-07-09 2019-03-05 이성심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KR20200072152A (ko) 2018-12-12 2020-06-22 안동윤 Pvc 방염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방염 도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422A3 (en) * 2009-05-13 2011-03-24 Hunter Douglas N.V.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091067B2 (en) 2009-05-13 2015-07-28 3Form, Llc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091066B2 (en) 2009-05-13 2015-07-28 3Form, Llc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D810961S1 (en) 2009-05-13 2018-02-20 3Form, Llc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
US9097015B2 (en) 2011-10-12 2015-08-04 3Form, Llc Resin panels with embedded structured-co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453983B1 (ko) 2013-06-26 2014-10-28 중앙화학공업(주) 건축용 탄성 스톤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7240A (ko) * 2016-12-12 2018-06-20 한형우 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1954062B1 (ko) 2018-07-09 2019-03-05 이성심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KR20200072152A (ko) 2018-12-12 2020-06-22 안동윤 Pvc 방염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방염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4348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CN104080373B (zh) 阻燃性面状体和使用了所述阻燃性面状体的不易产生有害气体的垫子以及该不易产生有害气体的垫子的制造方法
CN107108936A (zh) 覆盖面板以及制造覆盖面板的方法
EP2060389A1 (en) Laminate panels for flooring, wall and ceiling systems
US20110070410A1 (en) Fire-resistant board
KR102259775B1 (ko) 준불연 우레탄계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JP2021509642A (ja) 難燃性および騒音低減性を提供する複合物品
US20100304111A1 (en) Sound reducing and fire resistant su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5860504A (zh) 一种聚氨酯保温复合板
JP6153220B2 (ja) 難燃性吸音材の製造方法
JP3183180U (ja) 積層部材
CN104989074B (zh) 一种具有防火阻燃结构的pvc复合地板及其制造工艺
KR20040091885A (ko)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80115579A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KR200414346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414347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412103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14345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100810502B1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412102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12104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100706630B1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CN202164768U (zh) 无衬基装饰性墙革材料
KR200414303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100025799A (ko)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