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346Y1 -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 Google Patents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346Y1
KR200414346Y1 KR2020060003681U KR20060003681U KR200414346Y1 KR 200414346 Y1 KR200414346 Y1 KR 200414346Y1 KR 2020060003681 U KR2020060003681 U KR 2020060003681U KR 20060003681 U KR20060003681 U KR 20060003681U KR 200414346 Y1 KR200414346 Y1 KR 200414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ilding
interior
flam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춘
최영우
Original Assignee
김재춘
최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춘, 최영우 filed Critical 김재춘
Priority to KR2020060003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3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04F15/085The lower layer being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리스화이버층의 상면에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형성시켜 입체감도 주고 고강도이며 방염의 효과가 있어 화재시에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의 가스의 배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염의 기능을 가진 건축물의 내장재이기에 만일 발생할지도 모르는 화재시에 유해한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피난해야만 하는 입주자들이 용이하게 피신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에 건축물의 내장재의 패널(바닥재, 천장재, 벽재 등)을 생산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기에 그 제작비용이 낮으며, 다양한 제품 형상구현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넓고, 건식시공방법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며, 바닥재의 경우 시공 직후 통행이 가능하여 타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아 공사기간 단축으로 종합적인 원가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닥재, 벽재, 천장재 등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외관 및 물성을 제공하고, 시공 후 교체가 용이하여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인테리어 시공에 적합하며, 교체 시공이 용이하다.
그리스화이버층, 석재뿜질재층, 무기질재료, 규사, 마그네슘, 칼슘 등

Description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The panel for resistance to flame in building}
도 1은 본 고안의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전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패널이 판재화된 석재뿜질재층을 접착한 방식의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의 패널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 2의 패널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그라스화이버층 20; 석재뿜질재층
25; 무기질재료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라스화이버층의 상면에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형성시켜 입체감도 주고 고강도이며 방염의 효과가 있어 화재시에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의 가스의 배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경우 그 건축물을 지탱하는 콘크리트골조가 있고, 그 골조를 둘러쌓게 벽체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건축물의 모양을 꾸미기 위해 상기 벽체의 내부에 미장을 하거나, 별도의 내장재를 부착하는 형태로 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내장재의 경우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화재의 발생시 방염의 기능이 없어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등 거주자들에게 안전상의 많은 문제점을 주고 있다.
특히 근간에 발생된 지하철 등의 내장재들이 방염의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불시에 화재가 차량 전체의 전소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해 승객들이 피신도 하지 못하고 생명을 잃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요즘에는 일반숙박시설, 관광숙박시설, 종합병원, 정신병원, 방송국, 촬영소 및 전시장의 내장재에는 반드시 방염의 처리를 하도록 규제를 하고 있다.
또한 단란주점영업점, 유흥주점영업점, 아파트를 제외한 건축물로서 층수가 11층이상이 건축물, 청소년시설(숙박시설이 있는 시설에 한함), 노숙자시설, 안마시술소, 헬스클럽, 특수목욕장, 관람집회 및 운동시설에도 반드시 방염처리를 규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휴게음식점영업점, 일반음식점 으로서 영업장의 사용바닥면적의 합계가 지하층의 경우 66㎡ 이상인 영업장, 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규정에 의한 비디오감상실업 게임제공업등의 경우도 방염을 필수적으로 하여야 한 다고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염 처리된 내장재의 수요는 점차 늘고 있지만 바람직한 내장재를 제작하고 있지 못한 추세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인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는 내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라스화이버층의 상면에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형성시켜 입체감도 주고 고강도이며 방염의 효과가 있어 화재시에도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의 가스의 배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에 체결되는 내, 외장 패널에 있어서, 하단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그라스화이버층과; 상기 그라스화이버층 상단에 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으로;형성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방염의 효과를 가져오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석재뿜질재층은, 무기질재료, 아크릴수지, 희석제와 점도저하제를 섞어 얇게 층을 이루게 굳혀서 형성시키고, 그 무기질재료는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 중 1종 이상이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석재뿜질재층은 액상의 석재뿜질재를 그라스화이버층의 표면에 도포한 상태로 경화되어 층을 이룬 형태의 실시예나;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의 상면에 난연접착제 통해 결합된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 벽면에 체결되는 내장 패널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내장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 및 천장에 부착하는 형태로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으며, 그라스화이버층과 석재뿜질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방염의 효과가 있다는 점 및 그 표면이 되는 석재뿜질재층을 다양한 색상과 자연 질감을 느낄 수 있게 제작할 수 있어 미감에도 훌륭하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은 하단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그라스화이버층(10)이 있고,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 상단에 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과 석재뿜질재층(20)이 결합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방염의 효과를 가져오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방염의 내장 패널이란 건축물의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바닥재, 천장재 및 내벽재에 모두 사용되는 패널이나 장판을 칭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패널은 상기 모든 용도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럼 여기서 본 고안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그라스화이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이 그라스화이버는 특수 가공을 거쳐 생산되며 야금, 기계, 석유, 화공 등 분야의 고온 내화 단열재로서 사용되며 내화성이 좋아 석면(asbestus) 등 내화제품의 대체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이다.
또한 그라스화이버는 중량이 가볍고, 고온에 잘 견디며 열량이 작고 보온 및 고온 내화성(insulating)이 좋으며 독성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사용온도가 650-1260℃에 달하여 각각의 성능들이 동종의 내연, 내화제로 사용되는 석면제품보다 월등히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은 본 고안의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장 패널에 적용되어 그 불연과 내화성능을 북돋음과 동시에 만일 상기 석재뿜질층(20)이 충격이나 온도변화에 따라 깨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할지라도, 그 내부에서 철근처럼 견고하게 잡고 있는 결과를 가져와 패널이나 장판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그라스화이버(10)의 상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은, 건축물의 내벽에서 그 표면이 되는 부위로 이 층도 역시 불연과 난연의 효과가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럼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의 제조형태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무기질재료, 아크릴수지, 희석제와 점도저하제를 섞어 교반한 후에 얇게 층을 이루게 굳혀서 형성되는 형태의 것이 하나의 실시예이다.
즉, 상기 혼합물이 용융된 상태에서 경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무기질재료(25)가 함침된 상태로 돌출되어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무기질재료(25)의 천연질 질감은 물론 환경변화에 따른 변형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내장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천연 무기질재료(25)의 경우 온도 변화나 풍화에 따른 침식의 변화에 내구성이 강하며,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을 상기 그라스화이버(10)의 상부에 형성시키는 방법을 도 1과 함께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용융된 상태의 아크릴수지와, 희석제 및 점도저하제에 무기질재료를 섞은 상태에서 그라스화이버층(10)에 도포를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융물이 경화되면서 상기 무기질재료(25)는 일부가 함침되고, 일부는 표면으로 돌출되어 천연 질감이 살아남과 동시에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태의 판재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의 하단에 부착된 그라스화이버층(10) 역시 불연과 난연의 소재이기에 본 고안의 목적을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된 무기질재료(25)는 불연과 난연의 효과를 가져오는 다양한 형태의 무기질재료(25)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것을 찾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즉, 상기 무기질재료(25)는,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 중 1종 이상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모두 무기질재료(25)인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의 덩어리들을 교반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형태인 용융된 상태로 그라스화이버층(10)에 도포하여 형성시키는 석재뿜질재층(20)과는 달리 일단 석재뿜질재층(20)이 될 수 있게 판재나 장판의 형태로 제작한 후에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에 결합시키는 실시예이다.
즉,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판재나 장판의 형태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의 상면에 난연접착제(K)를 통해 결합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석재뿜질재로 형성된 판재를 제작하고 그 판재를 난연접착제(K)를 통해 그라스화이버층(10)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물론 이 건축물 내장 패널이나 장판도 방염의 효과가 있기에 동일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의 상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은, 건축물의 내벽에서 그 표면이 되는 부위로 이 층도 역시 방염의 효과가 있음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고안의 전술된 패널이나 장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장재 즉, 천정판, 바닥판, 벽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방염의 기능을 가진 건축물의 내장재이기에 만일 발생할지도 모르는 화재시에 유해한 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피난해야만 하는 입주자들이 용이하게 피신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에 건축물의 내장재의 패널(바닥재, 천장재, 벽재 등)을 생산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기에 그 제작비용이 낮으며, 다 양한 제품 형상구현이 가능하여 적용범위가 넓고, 건식시공방법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여 바닥재의 경우 시공 직후 통행이 가능하여 타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공사기간 단축으로 종합적인 원가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닥재, 벽재, 천장재 등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외관 및 물성을 제공하고, 시공 후 교체가 용이하여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인테리어 시공에 적합하며, 교체 시공이 용이하다.

Claims (5)

  1. 건축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에 체결되는 내, 외장 패널에 있어서,
    하단에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그라스화이버층(10)과;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 상단에 층을 이루는 석재뿜질재층(20)으로;형성된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방염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석재뿜질재층(20)은,
    무기질재료(25), 아크릴수지, 희석제와 점도저하제를 섞어 얇게 층을 이루게 굳혀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재료(25)는,
    규사, 마그네슘, 칼슘, 탄산칼슘 중 1종 이상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액상의 석재뿜질재를 그라스화이버층(10)의 표면에 도포한 상태로 경화되어 층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뿜질재층(20)은,
    패널이나 장판의 형태로 상기 그라스화이버층(10)의 상면에 난연접착제(K)를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20060003681U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414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81U KR200414346Y1 (ko)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81U KR200414346Y1 (ko)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346Y1 true KR200414346Y1 (ko) 2006-04-20

Family

ID=4929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81U KR200414346Y1 (ko) 2006-02-09 2006-02-09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976B1 (ko) * 2005-01-27 2007-03-15 (주)그라쎌 혼합물로 이루어진 전기 발광 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표시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976B1 (ko) * 2005-01-27 2007-03-15 (주)그라쎌 혼합물로 이루어진 전기 발광 재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표시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8467A1 (en) Moldable fire resistant composites
US20060070321A1 (en) Fire-resistant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209864B1 (ko) 화이어블록과 화재확산방지층에 의한 가연성 소재 건축물의 화재안전 성능강화 방법 및 그 건축물
KR200414348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JP4057361B2 (ja) 耐火断熱ボード
CN103669781A (zh) 隔音防火墙板
KR100696092B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20170059711A (ko) 건축용 단열재 및 골조 일체형 불연보드
KR200414346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414347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JP3183180U (ja) 積層部材
KR200412103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14345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412102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12104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14303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03892Y1 (ko) 건축용 경량 다층 흡음패널
JP2011026953A (ja) 防火区画壁
KR102193350B1 (ko) 글라스 울 복합패널
KR20060053658A (ko) 불연성 방화 구조체
KR200414302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KR200412082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CN103883097A (zh) 保温装饰板
CN203654656U (zh) 隔音防火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