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062B1 -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062B1
KR101954062B1 KR1020180079212A KR20180079212A KR101954062B1 KR 101954062 B1 KR101954062 B1 KR 101954062B1 KR 1020180079212 A KR1020180079212 A KR 1020180079212A KR 20180079212 A KR20180079212 A KR 20180079212A KR 101954062 B1 KR101954062 B1 KR 10195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at insulating
construction
presen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심
Original Assignee
이성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심 filed Critical 이성심
Priority to KR102018007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6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air or gas pockets included in the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2001/742Use of special materials; Materials having special structures or shape
    • E04B2001/746Recycled materials, e.g. made of used tires, bumpers or news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의 경량화 및 방음, 방염, 단열효율을 극대화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패널은, 폐지 50~70중량%, 밀가루풀 10~30중량%, 천연고무수지 10~20중량%, 벤조산 나트륨 1~10중량%의 혼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 제작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INSULATION PANEL STRUCTUR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장 재료로 사용되는 단열 패널의 경량 및 방음, 방염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생산 및 작업효율을 개선시키는 건축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경우 그 건축물을 지탱하는 콘크리트골조가 있고, 그 골조를 둘러쌓게 벽체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건축물의 모양을 꾸미기 위해 상기 벽체의 내부에 미장을 하거나, 별도의 내장재를 부착하는 형태로 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내장재의 경우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화재의 발생시 방염의 기능이 없어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등 거주자들에게 안전상의 많은 문제점을 주고 있다.
특히 근간에 발생된 지하철 등의 내장재들이 방염의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불시에 화재가 차량 전체의 전소를 발생 시키는 것은 물론,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해 승객들이 피신도 하지 못하고 생명을 잃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요즘에는 일반숙박시설, 관광숙박시설, 종합병원, 정신병원, 방송국, 촬영소 및 전시장의 내,외장재에는 반드시 방염의 처리를 하도록 규제를 하고 있다.
또한 단란주점영업점, 유흥주점영업점, 아파트를 제외한 건축물로서 층수가 11층이상이 건축물, 청소년시설(숙박시설이 있는 시설에 한함), 노숙자시설, 안마시술소, 헬스클럽, 특수목욕장, 관람집회 및 운동시설에도 반드시 방염처리를 규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휴게음식점영업점, 일반음식점 으로서 영업장의 사용바닥면적의 합계가 지하층의 경우 66㎡ 이상인 영업장, 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규정에 의한 비디오감상실업 게임제공업등의 경우도 방염을 필수적으로 하여야 한다고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건축물 내,외장 패널에 방염처리를 실시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염처리 기술은 건축용 패널의 제조단가를 증가시킴과 함께 패널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생산 및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95624호(2017.01.06 등록)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14348호(2006.04.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의 방음, 방염, 경량화 및 단열성이 개선되어질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단열패널의 생산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패널은, 폐지 50~70중량%, 밀가루풀 10~30중량%, 천연고무수지 10~20중량%, 벤조산 나트륨(Sodium benzoate) 1~10중량%의 혼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 제작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패널은, 파쇄 폐지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 제작이 이루어짐으로서 패널의 경량화 및 방음, 방염, 단열효율을 극대화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의 외관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단열패널의 부분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의 기술특징을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단열패널(10)은, 폐지 50~70중량%, 밀가루풀 10~30중량%, 천연고무수지 10~20중량%, 벤조산 나트륨 1~10중량%의 혼합 조성물을 믹싱한 후 성형틀을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가압시킴으로서 프레스 성형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폐지는 분리수거되어진 폐지를 파쇄시켜서 사용함으로서 패널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되며, 밀가루풀은 폐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단열성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벤조산 나트륨은 폐지의 결합력을 강화시킴과 함께 방염 및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천연고무수지는 패널의 완충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단열패널(10)에는 단열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중공부(10a)가 내부에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특징을 갖는 본 발명 건축용 단열패널(10)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단열패널(10)은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칸막이 형태로 성형 제작되어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파쇄폐지를 주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 이동 및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공 후에는 우수한 단열성 및 방염, 단열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단열패널(10)의 기능성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파쇄폐지는 천연고무수지로 인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를 이룸으로서 안정적인 단열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벤조산 나트륨은 폐지에 대한 방염기능을 수행함으로서 화재발생에 따른 화염 및 유독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내부 중공부(10a)의 구성으로 인해 경량화 및 단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나타내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열패널(10)은 건축용 내,외장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건축재료로 활용되어짐으로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중공부(10a) 내벽면에는 형상 유지를 위한 보강 코팅층(S)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보강 코팅층(21)은 실리콘수지 40~60중량%, 점토 10~30중량%, 파라핀왁스 10~30중량%, 유리섬유 10~2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단열패널(10)의 혼합 조성물에는 테프론 및 붕소가 추가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때에는 폐지 40~60중량%, 밀가루풀 10~30중량%, 천연고무수지 10~20중량%, 소듐 1~10중량%, 벤조산염 1~5중량%, 테프론 1~10중량%, 붕소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을 일정 압력으로 프레스 성형제작하여 단열패널(10)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보강 코팅층(S)으로 인해 중공부(10a)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단열패널(10)의 내구성 저하 및 형상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리섬유는 점토입자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파라핀왁스는 점토의 산화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단열패널(10)의 혼합 조성에 테프론 및 붕소가 추가로 첨가되어지게 되면, 테프론 성분으로 인해 방염효율이 증대되어짐과 함께 붕소는 밀가루풀의 고형화를 방지하여 성형 제작 후 패널 표면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패널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단열패널이 건축용 내,외장재로 활용되는 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건축 재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단열패널 20 : 중공부
21 : 보강 코팅층

Claims (4)

  1. 폐지 50~70중량%, 밀가루풀 10~30중량%, 천연고무수지 10~20중량%, 벤조산 나트륨 1~10중량%, 테프론 1~10중량%, 붕소 1~10중량%의 혼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 제작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에는 단열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 내벽면에는 형상 유지를 위한 보강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보강 코팅층은 점토, 실리콘수지, 파라핀왁스, 유리섬유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KR1020180079212A 2018-07-09 2018-07-09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KR10195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12A KR101954062B1 (ko) 2018-07-09 2018-07-09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12A KR101954062B1 (ko) 2018-07-09 2018-07-09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062B1 true KR101954062B1 (ko) 2019-03-05

Family

ID=6576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212A KR101954062B1 (ko) 2018-07-09 2018-07-09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0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568A (ko) * 2004-02-14 2005-08-19 임기태 무기계 흡음체, 흡음보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414348Y1 (ko) 2006-02-09 2006-04-20 김재춘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060100522A (ko) * 2005-03-17 2006-09-21 (주)두원씨앤씨 중공의 단열합판,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를 위한 금형과성형장치 및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방법
KR20100128754A (ko) * 2009-05-29 2010-12-08 전재형 한지의 질감이 표출되는 건축내장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5624B1 (ko) 2015-09-25 2017-01-13 김현재 가구 및 건축재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준불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568A (ko) * 2004-02-14 2005-08-19 임기태 무기계 흡음체, 흡음보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60100522A (ko) * 2005-03-17 2006-09-21 (주)두원씨앤씨 중공의 단열합판,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를 위한 금형과성형장치 및 중공의 단열합판의 제조방법
KR200414348Y1 (ko) 2006-02-09 2006-04-20 김재춘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KR20100128754A (ko) * 2009-05-29 2010-12-08 전재형 한지의 질감이 표출되는 건축내장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5624B1 (ko) 2015-09-25 2017-01-13 김현재 가구 및 건축재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준불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3741B1 (en) Multiple dwelling house
KR100975644B1 (ko)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Orhon et al. Utilization of alternative building materials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EP2281093A1 (en) Structural wall
CN106830812A (zh) 一种轻质隔热人造板材
WO2009129839A1 (de) Wandkonstruktion aus platten
US20080236086A1 (en) Cavity Wall
KR101954062B1 (ko) 방염 및 경량화 효율이 개선된 건축용 단열패널
ZA202203873B (en)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said panels
KR100813152B1 (ko) 단열 및 내화성능이 향상된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26205A1 (en) Hempcrete wall block panel
KR100458059B1 (ko) 건축용 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N205955063U (zh) 一种pvc低发泡装饰衬板
CN205822500U (zh) 一种新型建筑墙体
DE102020002272A1 (de) Hybridgebäude
KR200414347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DE202019000008U1 (de) Wandkonstruktion aus Platten mit hohem Kohlenstoffanteil
KR100387162B1 (ko) C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1850139U (zh) 一种复合保温墙体
CN204001398U (zh) 保温隔声墙体
CN201386372Y (zh) 加筋复合卷材地板
CN201424766Y (zh) 复合吸音吊顶板
KR200414346Y1 (ko) 방염처리된 건축물 내장 패널
CN213539385U (zh) 一种轻钢房屋的墙体
CN208168125U (zh) 装配式轻钢房屋外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