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820Y1 - 루프드레인 - Google Patents

루프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820Y1
KR200413820Y1 KR2020060001704U KR20060001704U KR200413820Y1 KR 200413820 Y1 KR200413820 Y1 KR 200413820Y1 KR 2020060001704 U KR2020060001704 U KR 2020060001704U KR 20060001704 U KR20060001704 U KR 20060001704U KR 200413820 Y1 KR200413820 Y1 KR 200413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lab
sewage
rainwater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의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riority to KR2020060001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프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상 슬래브 상면에 오수 및 우수가 잔수없이 원할히 배수되게 하며, 또한 슬래브층에 견고하게 설치가능한 루프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옥상 슬래브 상의 오수 및 우수등이 유입되는 배수관(P) 상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부(11)와 상기 슬래브층에 상면이 노출되게 매입되는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배수캡(20)으로 이루어진 루프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연결부(11) 상단 내주면 둘레에 상기 배수캡(20) 하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부(13)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캡(20)이 상기 함몰부(13)에 안착될 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 하단(21a)과 함몰부 상단(13a)이 상기 플랜지부 상면(12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되는 루프드레인에 있다.
옥상, 드레인, 루프드레인, 배수

Description

루프드레인{Roof Drains}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재 배수관용 루프드레인을 도시한 단면도.
도 2은 종래의 금속재 배수관용 루프드레인을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 플랜지부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는 본 고안이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 플랜지부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몸체 11: 연결부 12: 플랜지부
13: 함몰부 14: 결합부재
20: 배수캡 21: 배수공
30: 끼움링 31: 배수구
본 고안은 루프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상 슬래브 상면에 오수 및 우수가 잔수없이 원할히 배수되게 하며, 또한 슬래브층에 견고하게 설치가능한 루프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드레인은, 옥상 슬래브에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를 슬래브층에 매설되는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루프드레인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옥상 슬래브(S)에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등을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슬래브(S)에 매입되는 배수관(P)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슬래브 상의 오수 및 우수를 배수관으로 안내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배수공(210)이 형성되는 배수캡(20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체(100)는 도 1에서와 같이 결합부재(140)를 삽입하여 합성수지재 배수관(P)(PVC 파이프)과 연결되는 중공형의 연결부(110)와, 상기 중공형 연결부 상측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래브층에 매입되는 플랜지부(120)와, 상기 연결부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캡(200)이 삽입되는 결합턱부(130)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종래의 루프드레인은 금속재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는 연결부(110) 내주면에 나사산(110a)을 형성하여 배수관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P1)과 나사결합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110) 상측 내주에 연장형성된 내턱부(150)에 삽입되는 끼움링(300)의 내턱부(320)에 배수캡(200)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루프드레인은 슬래브 상면에 유입된 오수 및 우수가 플랜지부(120) 상면을 따라 배수공(210)을 통해 연결부(110)로 유도된 후 배수관(P)을 타고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3중식 루프드레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오수 및 우수가 플랜지부 상면(120a)을 따라 배수공을 통과할때, 상기 배수공 하단(210a) 높이가 상기 플랜지부 상면(120a) 및 슬래브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상기 오수 및 우수의 수면 높이가 상기 배수공 하단 위치보다 낮은 경우 연결부(110)로 유도되지 못하고 슬래브 상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슬래브층에 매입되는 플랜지부의 매설부분이 평평하여 상기 슬라브층에 견고하게 매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배수시 슬래브층에 잔수가 남지 않도록 배수관으로 원할한 유도가 가능하며, 또한, 상기 슬래브층에 견고하게 설치가능한 루프드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옥상 슬래브 상의 오수 및 우수등이 유입되는 배수관(P) 상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부(11)와 상기 슬래브층에 상면이 노출되게 매입되는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배수캡(20)으로 이루어진 루프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연결부(11) 상단 내주면 둘레에 상기 배수캡(20) 하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부(13)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캡(20)이 상기 함몰부(13)에 안착될 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 하단(21a)과 함몰부 상단(13a)은 상기 플랜지부 상면(12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되는 루프드레인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서 플랜지부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6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는 본 고안이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서 플랜지부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루프드레인의 구성은 옥상 슬래브(S) 상의 오수 및 우수등이 유입되는 배수관(P)(PVC 파이프)과, 상기 배수관(P)상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부(11)와, 상기 슬래브층에 상면(12a)이 노출되게 매입되는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배수캡(20);으로 이루어진 루프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연결부(11) 상단 내주면 둘레에 상기 배수캡(20) 하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부(13)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캡(20)이 상기 함몰부(13)에 안착될 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 하단 (21a)과 함몰부 상단(13a)이 플랜지부 상면(12a) 및 슬래브 상면(S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거나 그 이하로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슬래브 상에 유입된 오수 및 우수가 상기 플랜지부 상면(12a)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배수공(21)을 통과하여 바로 연결부(11)로 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슬래브 상에 잔류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1)와 배수관(P)의 연결은, 연결부(11) 외주에 결합부재(14)가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재(14)와 연결부(11) 사이에 배수관(P)이 삽입 고정되게 한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슬래브 매입부분 즉 플랜지부 하면에 다수 또는 단일의 요철(12b)을 형성하여, 상기 슬래브에 상기 몸체를 매입 설치시 상기 슬래브(S)와 플랜지부(12) 매입부분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보다 견고하게 매설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철(12b)의 단면형상은 다수의 사각형상 또는 삼각형상을 지니도록 하여 매입부분의 접촉면 증대와 더불어 슬래브층과 플랜지부가 보다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외측둘레에 상기 슬래브와 접촉면이 증대하도록, 플랜지부(12) 외주면에 경사진 형상 또는 오목한 각형상의 모따기(12c)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루프드레인은 옥상 슬래브 상면(S1)에 유입된 오수 및 우수가 플랜지부 상면(12a)을 따라 흐르면서 바로 배수공(21)을 지나 연결부(11)로 유도되어 배수관(P)을 타고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플랜지부 상면(12a)과 배수공 하단(21a)의 위치가 동일하거나 배수공 하단 위치(21a)가 플랜지부 상면(12a)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을 차단 및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으므로 상기 오수 및 우수가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유도되며, 또한 상기 플랜지부(12)의 매설부분이 요철 또는 모따기 형상을 지니므로 슬래브에 견고히 매설되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루프드레인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슬래브에 매설되는 배수관이 금속재파이프일 경우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 1실시예의 구성에서 배수관과 연결부(11)의 결합구성과, 상기 함몰부(13)와 배수캡(20) 결합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11)의 배수관(P)과의 연결은 연결부(11)의 내주면에 나사산(11a)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재 배수관(P)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P1)과 나사결합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캡(20)의 몸체(10)와의 결합은, 상기 배수캡(20)과 상기 함몰부(13) 사이에, 상면(32a)이 상기 플랜지부 상면(12a)과 배수공 하단(21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중앙에 배수구(31)가 형성된 끼움링(3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끼움링(30)은 내주면에 안착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캡(20) 하단이 삽입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 상단 즉, 끼움링 상면(32a)이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 상면(12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플랜지부 상면(12a)를 따라 흐르는 오수 및 우수가 바로 배수공(21)을 따라 연결부(11)로 유도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슬래브 매입부분에 요철(12b)을 형성하여, 상기 슬래브에 상기 몸체를 매입 설치시 상기 슬래브(S)와 플랜지부(12) 매입부분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보다 견고하게 매설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2)의 외측둘레에 상기 슬래브와 접촉면이 증대하도록 경사진 형상 또는 오목한 각 형상으로 모따기(12c)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루프드레인은 옥상 슬래브 상면(S1)에 유입된 오수 및 우수가 플랜지부 상면(12a)을 따라 흐르면서 끼움링 상면(32a)을 지나 배수공(21)을 통과하여 연결부(11)로 유도되어 배수관(P)을 타고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플랜지부 상면(12a)과 끼움링 상면(32a)과 배수공 하단(21a)의 위치가 동일하므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을 차단 및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으므로 상기 오수 및 우수가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루프드레인은 옥상의 슬래브에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 상기 슬래브 상에 잔수가 남지 않으며 원할한 배수가 가능하며 또한, 슬래브층에 견고히 설치되므로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옥상 슬래브 상의 오수 및 우수등이 유입되는 배수관(P) 상단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연결부(11)와 상기 슬래브층에 상면이 노출되게 매입되는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둘레에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배수캡(20)으로 이루어진 루프드레인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연결부(11) 상단 내주면 둘레에 상기 배수캡(20) 하단이 안착되도록 함몰부(13)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캡(20)이 상기 함몰부(13)에 안착될 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 하단(21a)과 함몰부 상단(13a)은 상기 플랜지부 상면(12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드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플랜지부(12)는, 슬래브 매입부분에 요철(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드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플랜지부(12)는, 외측둘레에 상기 슬래브와 접촉면이 증대하도록 모따기(12c)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드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캡(20)과 상기 함몰부(13) 사이에는 중앙에 배수구(31)가 형성된 끼움링(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드레인.
KR2020060001704U 2006-01-19 2006-01-19 루프드레인 KR200413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704U KR200413820Y1 (ko) 2006-01-19 2006-01-19 루프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704U KR200413820Y1 (ko) 2006-01-19 2006-01-19 루프드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820Y1 true KR200413820Y1 (ko) 2006-04-11

Family

ID=4176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704U KR200413820Y1 (ko) 2006-01-19 2006-01-19 루프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8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02B1 (ko) * 2009-09-21 2012-04-02 주식회사 부일건화 옥상 배수용 드레인
KR101814707B1 (ko) * 2017-01-26 2018-01-04 유지씨 주식회사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KR101925205B1 (ko) * 2017-02-14 2018-12-04 심국진 옥상용 드레인 유닛
KR101925206B1 (ko) * 2017-02-14 2018-12-04 심국진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02B1 (ko) * 2009-09-21 2012-04-02 주식회사 부일건화 옥상 배수용 드레인
KR101814707B1 (ko) * 2017-01-26 2018-01-04 유지씨 주식회사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KR101925205B1 (ko) * 2017-02-14 2018-12-04 심국진 옥상용 드레인 유닛
KR101925206B1 (ko) * 2017-02-14 2018-12-04 심국진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820Y1 (ko) 루프드레인
KR200413816Y1 (ko) 3중식 루프드레인
KR20080108705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볼트풀림 방지구조
KR200396491Y1 (ko) 이탈 방지 및 안전성을 향상한 맨홀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0486752Y1 (ko) 조립식 루프드레인
JP2022100873A (ja) 雨水排水構造
KR20120000403U (ko) 상하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KR100834830B1 (ko) 분기관 연결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006132287A (ja) 竪樋用継手
JP2002266403A (ja) 洗面ボウルと排水器具の接続構造
JP4091210B2 (ja) ピット用排水管
KR200492266Y1 (ko) 오수 배수관
JP3929597B2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JP2016125248A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KR200394253Y1 (ko) 맨홀뚜껑 몸체의 받침판
JP4152667B2 (ja) 排水管継手
JP2016098582A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JP3708539B1 (ja) マンホール用底塊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JP2019132061A (ja) 排水部材
KR200405377Y1 (ko) 맨홀
JP7048978B2 (ja) 建屋排水装置
KR100720731B1 (ko) 건축용 배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