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19Y1 -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719Y1
KR200413719Y1 KR2020060002901U KR20060002901U KR200413719Y1 KR 200413719 Y1 KR200413719 Y1 KR 200413719Y1 KR 2020060002901 U KR2020060002901 U KR 2020060002901U KR 20060002901 U KR20060002901 U KR 20060002901U KR 200413719 Y1 KR200413719 Y1 KR 200413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ear
coupled
shaf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조
Original Assignee
김석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조 filed Critical 김석조
Priority to KR2020060002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7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42Spindles an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관통된 구멍인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굴곡되며 관통된 구멍인 굴곡관통공을 가지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굴곡부의 굴곡관통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결합되어 그 제1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몸체부의 몸체관통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어 그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축과,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관통된 구멍인 게이트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게이트관통공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설치공간에 비하여 부품의 간소화로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부품의 간소화로 인하여 제조단가 또한 절약되어 시장성이 향상되고, 작동의 중간 단계의 부품들이 간소화되어 장시간 사용시 오작동을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레임부재 밸브부재

Description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An Apparatus For Adjusting Fluid Flow}
도 1은 종래의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흐름이 차단된 모습을 보인 외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가 차단된 상태인 개략적인 내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흐름이 개방된 모습을 보인 외부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가 개방된 상태인 개략적인 내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부재 11 : 몸체부
13 : 굴곡부 20 : 제1축
30 : 제1기어 40 : 제2기어
50 : 제2축 60 : 밸브부재
61 : 하우징 63 : 입구
65 : 출구 67 : 회전뭉치
67a : 게이트관통공
본 고안은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량에 조절이 필요한 유체흐름관에 설치되어 그 밸브장치의 회전에 의하여 유체흐름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의 내부나 외부, 기타 다른 곳에서 액체나 기체가 흐르는 관에 자동식이든 수동식이든 그 양을 조절하여 알맞은 양을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종래에는 유체가 흐르는 관에 설치하여 그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과 개방할 뿐 아니라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체량 조절장치가 많이 사용되어왔다.
도 1은 종래의 유체량 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유체량 조절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평판(211)과 상기 수평판(211)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홀을 가지고 있는 수직판(213)으로 구성된 제1받침부(210)와, 상기 수직판(213)의 홀에 관통되는 수평축(220)과, 상기 수직판(213)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수평축(220)의 종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기어(230)와, 상기 수평판(211)과 힌지결합되고 그 일측 은 상기 수직기어(230)와 기어결합되는 수평기어이(241)가 형성되고 그 타측은 제1고정돌기(243)가 형성된 수평기어(240)와, 상기 제1받침부(210)와 일정거리만큼 거리를 두고 일선상에 위치되며 관통공(미도시)을 가지는 제2받침부(220)와, 그 중심부가 상기 제2받침부(220)의 관통공(미도시)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전하는 수직축(250)과, 상기 수직축(250)중 상기 제2받침부(220)의 상부로 돌출되는 종단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같이 회전하며 그 일단에는 제2고정돌기(261)가 돌출된 수평판(260)과, 상기 수평기어(240)의 제1고정돌기(243)와 상기 수평판(260)의 제2고정돌기(261)와 결합되어 상기 수평기어(24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수평판(260)을 회전시켜주는 케이블(270)과, 상기 수직축(250)중 상기 제2받침부(220)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종단에 결합되어 같이 회전하며 원통형상을 가지고 관통홀(미도시)이 수평으로 관통된 조절뭉치(미도시)와, 상기 조절뭉치가 안착되어 상기 제2받침부(22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조절뭉치의 외주에 대응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일측은 유입구(281)와 그 타측은 유출구(283)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받침부(220)에 접하는 상부측은 개방되어진 조절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보인 종래의 유체량 조절장치(2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조절뭉치의 관통홀의 방향이 상기 조절부(280)의 유입구(281)와 유출구(283)의 방향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부(280)의 내부를 통하여 많은 양의 유체가 흘러가고 있을때 상기 유체의 흐르는 양을 줄이거나 차단시킬 경우에는 먼저 상기 수평축(2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축(220)과 결합된 수직기어(2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직기어(230)와 기어결합된 수평기어(24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수평기어(240)와 상기 수평판(260)에 결합된 케이블(270)에 의하여 상기 수평판(26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축(250)에 의하여 상기 조절뭉치가 일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유입구(281)와 상기 유출구(283)에 동일선상으로 위치되어 있던 상기 조절뭉치의 관통홀이 상기 조절뭉치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유입구(281)와 유출구(283)의 방향과 수직선상으로 회전되어 엇갈리게 위치됨으로 상기 흐르던 유체의 양이 서서히 줄어들게 되고, 결국 차단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체량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첫째, 종래의 유체량 조절장치는 그 설치길이가 길어서 설치장소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설치에 애로사항이 발생하였다.
둘재, 종래의 유체량 조절장치는 그 작용되는 구성요소가 많아 제조단가의 상승 원인이 되었다.
셋째, 상기 둘째와 같은 구성요소가 많아 장기간 사용시 오작동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의 설치공간에 비하여 부품의 간소화로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부품의 간소화로 인하여 제조단가 또한 절약되어 시장성이 향상되고, 작동의 중간 단계 의 부품들이 간소화되어 장시간 사용시 오작동을 줄여 사용기간은 연장할 수 있는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는 관통된 구멍인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굴곡되며 관통된 구멍인 굴곡관통공을 가지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굴곡부의 굴곡관통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결합되어 그 제1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몸체부의 몸체관통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어 그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축과,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관통된 구멍인 게이트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게이트관통공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출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관통된 구멍인 게이트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축과 결합되어 그 제2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 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흐름이 차단된 모습을 보인 외부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가 차단된 상태인 개략적인 내부단면도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흐름이 개방된 모습을 보인 외부사시도를,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의 유체가 개방된 상태인 개략적인 내부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100)는 프레임부재(10)와, 제1축(20)과, 제1기어(30)와, 제2기어(40)와, 제2축(50)과, 밸브부재(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0)는 관통된 구멍인 몸체관통공(11a)을 가지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로부터 굴곡되며 관통된 구멍인 굴곡관통공(13a)을 가지는 굴곡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의 크기는 상기 밸브부재(60)와 결합됨으로 상기 밸브부재(60)보다 크기만 하면 가능할 것이고, 상기 굴곡부(13)는 상기 몸체부(11)의 일측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어져 있다.
상기 제1축(20)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굴곡부(13)의 굴곡관통공(13a)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축(20)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이 원통형상을 가지는게 올바르고, 상기 제1축(20)중 상기 프레임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은 상기 제1축(20)의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곳으로 상기 제1축(20)의 외주면에 홈이나 면을 형성하여 회전시키는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것이 올바를 것이다.
상기 제1기어(30)는 상기 제1축(20)에 결합되어 그 제1축(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상기 제1기어(3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굴곡부(13)를 관통하여 안쪽으로 돌출된 상기 제1축의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30)의 형상은 종래의 기어의 형상이면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기어(40)는 상기 제1기어(30)와 기어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40)의 기어이는 둘레에 전부 형성시켜도 무방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30)의 회전 방향의 외주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제2기어(40)의 외주면의 부분에만 기어이(41)를 형성함으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축(50)은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몸체부(11)의 몸체관통공(11a)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2기어(40)와 결합되어 상기 제2기어(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상기 밸브부재(60)는 상기 프레임부재(10)의 몸체부(1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63)와, 상기 하우징(61)에 결합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출구(65)와, 상기 하우징(61)에 내장되고 관통된 구멍인 게이트관통공(67a)을 가지며 상기 제2축(50)과 결합되어 상기 제2축 (5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뭉치(67)를 포함하여 상기 게이트관통공(67a)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61)에 통과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의 상부측은 개방되어져 있어 상기 제2축과 결합된 상기 회전뭉치(67)를 상기 하우징(61)의 상부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몸체부(11)의 하부면과 상기 하우징(61)의 상부측과의 결합은 유체의 누수가 없이 결합되면 어느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61)에 결합된 상기 입구(63)와 상기 출구(65)는 상기 회전뭉치(67)에 구비된 게이트관통공(67a)과의 일직선상에 대칭되도록 각각 상기 하우징(61)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63)와 상기 게이트관통공(67a)과 상기 출구(65)가 일직선상에 위치할때 상기 하우징(61)내에 흐르는 유체가 아무런 장애없이 흐를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뭉치(67)의 외주형상은 회전에 용이한 원통형이 올바르고, 상기 회전뭉치(67)가 안착되는 상기 하우징(61)의 내부도 상기 회전뭉치(67)의 외주연의 크기에 대응하는 내주연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뭉치(67)가 상기 하우징(61)의 내부에서 회전할때 용이하게 하는 것이 올바를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61)내의 상기 입구(63)와 상기 게이트관통공(67a)과 상기 출구(65)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유체가 아무런 장애없이 흐르고있어 그 유체의 흐르는 양이 많아 유체량을 줄여야될 경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제1축(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축(20)과 결합된 상기 제1기어(30)가 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기어(30)의 회전으로 기어결합된 상기 제2기어(40)가 그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기어(40)의 회전으로 인하여 그와 결합된 상기 제2축(50)과 상기 회전뭉치(67)가 같이 회전하게되어, 상기 회전뭉치(67)에 구비된 상기 게이트관통공(67a)도 상기 입구(63)와 상기 출구(65)와의 일직선상에서 수직선상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게이트관통공(67a)이 상기 밸브부재(60)의 하우징(61)의 내주면에 서서히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관통공(67a)의 내부로 흐르던 유체의 양도 상기 게이트관통공(67a)이 상기 하우징(61)의 내주면에 가려진 만큼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줄어든 유체의 양을 다시 그 양을 많게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축을 역방향으로 되돌려 놓으면 상술한 동작이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그 결과 다시 상기 입구(63)와 상기 게이트관통공(67a)과 상기 출구(65)가 일직선상에 놓여져 많은 양의 유체가 아무런 제약없이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설치공간에 비하여 부품의 간소화로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부품의 간소화로 인하여 제조단가 또한 절약되어 시장성이 향상되고, 작동의 중간 단계의 부품들이 간소화되어 장시간 사용시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관통된 구멍인 몸체관통공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굴곡되며 관통된 구멍인 굴곡관통공을 가지는 굴곡부를 구비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의 굴곡부의 굴곡관통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결합되어 그 제1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
    상기 프레임부재의 몸체부의 몸체관통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2기어와 결합되어 그 제2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축;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관통된 구멍인 게이트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게이트관통공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출구;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관통된 구멍인 게이트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축 과 결합되어 그 제2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KR2020060002901U 2006-02-02 2006-02-02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KR200413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01U KR200413719Y1 (ko) 2006-02-02 2006-02-02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901U KR200413719Y1 (ko) 2006-02-02 2006-02-02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719Y1 true KR200413719Y1 (ko) 2006-04-12

Family

ID=4176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901U KR200413719Y1 (ko) 2006-02-02 2006-02-02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7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046A (ko) *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회전 제한형 볼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046A (ko) *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회전 제한형 볼밸브
KR101602330B1 (ko) 2014-07-23 2016-03-10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회전 제한형 볼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0558B2 (ja) 弁装置
KR200413719Y1 (ko) 유체 통과량 조절장치
RU2209354C2 (ru) Вентиль, в частности вентиль радиатора отопления
CN108050298A (zh) 一种浮球阀
JP5243751B2 (ja) 立軸ポンプ及びポンプ点検方法
KR101248796B1 (ko)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JP4301255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0357645C (zh) 流体切换器
KR200431986Y1 (ko) 앵글 체크 밸브
KR100957132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CN112032068A (zh) 一种无堵塞自平衡旋转式阀门装置
JP5870592B2 (ja) 弁装置および追焚付き給湯装置
KR100493740B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및 물공급 제어용 제어밸브가 일체로장착된 익차형 수도 미터기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CN219809491U (zh) 一种田间放水阀结构
KR100780311B1 (ko) 수위조절장치
CN220623704U (zh) 一种带过滤机构的旋启式止回阀
JP4377149B2 (ja) バルブ一体型ポンプ及びポンプ機場
CN216692347U (zh) 一种面盆龙头
KR20020003769A (ko) 고무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42549Y1 (ko) 전자석 밸브
KR102660515B1 (ko) 개선된 니들밸브의 유량제어장치
KR101148667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KR200286086Y1 (ko) 역류 방지용 커넥터
KR102224605B1 (ko) 급수설비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823

Effective date: 20080609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