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667B1 -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667B1
KR101148667B1 KR1020090094255A KR20090094255A KR101148667B1 KR 101148667 B1 KR101148667 B1 KR 101148667B1 KR 1020090094255 A KR1020090094255 A KR 1020090094255A KR 20090094255 A KR20090094255 A KR 20090094255A KR 101148667 B1 KR101148667 B1 KR 10114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water meter
prese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284A (ko
Inventor
조광열
Original Assignee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381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486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66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유입관 및 타측에 상기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본체부-상기 배출관 측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설치관부가 형성됨-; 상기 설치관부의 대향 내주면에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U자형 홈을 갖는 밸브 지지부; 및 상기 용수의 흐름 및 차단을 위해, 두께가 상기 밸브 지지부의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축수부 및 상기 축수부의 양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U자형 홈에 끼워지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류방지밸브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역류방지밸브, 수도계량기, 힌지, 역류, 차단, 힌지

Description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Water meter for preventing a countercurrent}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체를 통해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수돗물)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는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 설치된 수도계량기는 용수의 흐름을 계측하여 그 사용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계량기는 본체부(1), 유입관(2), 배출관(3) 및 계측 유닛(4)으로 구성된다.
본체부(1)의 양측에는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과 계측 모듈(4)을 통과한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3)이 대향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계측 모듈(4)의 내부에는 용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익차가 제공되며, 익차의 회전은 용수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계기판의 수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유입관(2)에서 배출관(3)으로의 용수의 정흐름에 따라 계기판의 수치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역류에 의해 배출관(3)에서 유입관(2) 측으로 용수가 흐르게 되는 경우, 계측 유닛(4)의 익차가 역회전을 하게 되면서 계기판 수치가 거꾸로 낮아지게 된다.
이는 정확한 수도 요금을 산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무단으로 용수를 사용하는 도수 행위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배출관(3) 측에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되는 수도계량기가 제공되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는 수도계량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도계량기 배출관(3) 측에는 역류방지밸브(5)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되는 설치관부(6)와 함께 그 상부에는 마개(7)가 설치된다.
설치관부(6)의 내부에는 축수부(8)가 형성되고, 이 축수부(8)는 외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나사체결부(9)를 통해 힌지핀(P)의 삽입과 그 외측에서 힌지핀(P)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볼트(10)가 체결 설치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5)에는 본체부(1) 측의 축수부(8)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핀(P)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측에 힌지부(11)가 형성된다. 힌지부(11)로부터는 본체부(1) 내에 형성되는 밸브시드(12)를 차단하기 위한 원형의 밸브판체(13)가 형성되며, 밸브판체(13)의 일측으로부터는 밸브시드(12)와 접촉 하여 고무판(14)이 중앙으로부터 관통 설치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나사(15)에 의해 조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도계량기에 있어, 역류방지밸브(5)는 용수의 정흐름 시에는 밸브시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용수가 흐를 수 있게 하며, 용수가 역류하는 경우 상기한 축수부를 기준으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밸브시드를 막아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역류방지밸브는 본체부(1)의 외부에 힌지핀(P) 삽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물로 형성하는 본체부(1)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힌지핀(p) 삽입을 위한 구멍의 밀봉의 부실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힌지핀(P)이 구멍을 통해 정확하게 역류방지밸브(5)의 축수부(8)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하며, 이후 고정 볼트(10)가 사용되기 때문에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도계량기의 본체부(1)를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구리 재질로 제작하며, 특히 도 2와 같이 본체부(1)의 일측에 역류방지밸브(5)를 회동 결합하기 위한 구멍 등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리 재질로 제작하였으나, 용수에 직접 노출되는 수도계량기를 구리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역류방지밸브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식이 적은 재질로 수도계량기를 제조하면서도 역류방지밸브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수의 정흐름 후에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 역류방지밸브가 본래 위치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유입관 및 타측에 상기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본체부-상기 배출관 측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설치관부가 형성됨-; 상기 설치관부의 대향 내주면에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소정 깊이의 U자형 홈을 갖는 밸브 지지부; 및 상기 용수의 흐름 및 차단을 위해, 두께가 상기 밸브 지지부의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축수부 및 상기 축수부의 양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U자형 홈에 끼워지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도계량기의 내부에 역류방지밸브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역류방지밸브의 설치를 위한 구조가 수도계량기의 내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와의 기밀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의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는 대향 측면에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2)과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관(34)이 형성된 본체부(30)를 포함하며, 본체부(30)의 배출관(34) 측에는 역류방지밸브(40)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설치관부(36)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30)는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 본체부(30) 내부에는 역류방지밸브(40)가 제공되나, 본체부(30) 외부에는 역류방지밸브(40)를 회동 결합하기 위한 구조, 예를 들어, 힌지핀(P), 힌지핀 삽입 구멍 및 고정 볼트와 같은 구성이 제공되지 않아 본체부(30) 전체면은 외부와 기밀성이 유지된다.
설치관부(36)의 내주면에는 마개(37)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수도계량기의 사용 시 마개(37)는 나사결합을 통해 설치관부(36)를 덮어 용수가 설치관부(36) 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마개(37)와 설치관부(36)의 개방 단부 사이에는 소정 두께의 실링재(38)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기의 역류방지밸브(40)의 이탈을 방지하여 본체부(30) 전체의 기밀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 4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40)의 구조 및 역류방지밸브(4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 측, 즉, 설치관부(36)의 대향 내면에는 U자형 홈(42)을 갖는 밸브 지지부(44)가 형성된다.
여기서, 밸브 지지부(44)는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관부(36)의 원통형 내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개(37)가 결합되는 나사산의 아 래측면에서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지지부(44)에는 소정 형상의 홈부(42)가 형성되며, 이때 홈부(4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의 역류방지밸브(4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U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회동에 의해 홈부(42) 밖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40)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40)에는 축수부(50)의 양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한 홈부(42)에 끼워지는 힌지부(5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밸브 지지부(44)는 설치관부(36)의 대향 내주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때, 이격된 거리는 축수부(50)의 두께보다 크게 결정된다.
이에 따라 역류방지밸브(40)의 설치 시, 작업자는 마개(37)를 개방하고, 역류방지밸브(40)의 양 힌지부(52)를 홈부(42)에 걸어주는 작업만 수행하면 된다. 이에 따라 구멍을 통한 힌지핀의 삽입, 별도의 고정 볼트를 통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40)는 축수부(50)에서 연장되며, 용수의 역류 시 밸브시드(48)를 차단하는 원형의 밸브판체(54)가 형성된다.
밸브시드(48)에 접촉하는 밸브판체(54)의 일면은 역류에 의한 차단 시 밸브시드(48)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판(56)이 제공되며, 상기한 고무판(56)은 중앙으로부터 관통 설치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 나사(58)에 의해 조립 설 치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40)는 용수의 정흐름 시는 용수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용수의 역류 시에는 밸브시드(48)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용수가 정흐름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계측 유닛(4)의 익차가 회전하게 되며, 역류 시에는 역류방지밸브(40)가 밸브시드(48)을 차단하여 익차의 반대 방향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역류방지밸브(40)의 힌지부(52)는 회동 가능하도록 원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역류방지밸브(4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52)가 원주에서 일부가 절개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개되는 호의 길이는 홈부(42)의 폭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나, 90 내지 180°에 상응하는 호의 길이일 수 있다.
이때, 힌지부(52)가 홈부(4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 중심각에 상응하는 호의 길이만큼을 절개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힌지부(52) 끝단의 일부만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역류방지밸브(4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힌지부(52)의 호의 길이 일부를 절개하는 것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수도계량기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 원주 형상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고르지 못한 면에 의해 홈부(42)와 힌지부(52)의 마찰로 인해 개방된 역류방지밸브(40)가 원위치, 즉 밸브시드(48)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설치관부(36)의 내면에 홈을 갖는 밸브 지지부가 형성되고, 역류방지밸브(40)가 돌출된 힌지부(52)를 갖는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밸브 지지부가 설치관부(36)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힌지부를 갖고, 역류방지밸브(40)의 축수부 측에 상기한 힌지부가 맞물리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일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절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밸브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0: 본체부 32: 유입관
34: 배출관 36: 설치관부
37: 마개 38: 실링재
40: 역류방지밸브 42: 홈부
44: 밸브 지지부 50: 축수부
52: 힌지부 54: 밸브판체

Claims (2)

  1.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일측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유입관 및 타측에 상기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본체부;
    원통 형상으로 상기 배출관 측에 제공되며, 나사산을 가지는 마개와 나사결합되는 설치관부;
    상기 마개와 상기 설치관부의 개방 단부 사이에 제공되는 실링재;
    상기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설치관부의 대향 내주면에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마개가 결합되는 나사산의 아래측면에서 소정 깊이의 U자형 홈부를 갖는 밸브 지지부; 및
    상기 용수의 흐름 및 차단을 위해, 두께가 상기 밸브 지지부의 이격된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축수부 및 상기 축수부의 양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U자형 홈부에 끼워지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를 포함하는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원주에서 미리 설정된 중심각에 상응하는 호의 길이가 절개된 형상을 갖는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KR1020090094255A 2009-10-05 2009-10-05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KR10114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55A KR101148667B1 (ko) 2009-10-05 2009-10-05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255A KR101148667B1 (ko) 2009-10-05 2009-10-05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399A Division KR100957132B1 (ko) 2007-10-11 2007-10-11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84A KR20090110284A (ko) 2009-10-21
KR101148667B1 true KR101148667B1 (ko) 2012-05-23

Family

ID=4153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255A KR101148667B1 (ko) 2009-10-05 2009-10-05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796B1 (ko) * 2010-12-21 2013-04-03 우명배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190U (ko) * 1984-10-04 1986-05-10
KR100700933B1 (ko) * 2006-12-15 2007-03-28 (주)대한계기정밀 역류방지용 수도미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190U (ko) * 1984-10-04 1986-05-10
KR100700933B1 (ko) * 2006-12-15 2007-03-28 (주)대한계기정밀 역류방지용 수도미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84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132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KR102172570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1148667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KR101248796B1 (ko)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0700933B1 (ko) 역류방지용 수도미터기
JP2008224646A (ja) 水道メータの逆流防止部品
KR101472259B1 (ko) 기차조절 및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스테인리스 수도미터
KR102025565B1 (ko) 수도계량기의 성능 검사용 연결장치
KR200407063Y1 (ko) 수도미터기용 유체의 잠금장치
JP2008224645A (ja) 水道メータの逆流を計量しない装置
JP4895194B2 (ja) 水道メータシステム
KR100679489B1 (ko) 제수밸브용 인디케이터
US6913245B2 (en) In-line shut-off valv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8224644A (ja) 水道メータの逆流を計量しない装置
KR20100010757A (ko) 개폐밸브의 봉인장치
KR100943881B1 (ko) 봉인 장치 및 봉인 장치의 덮개
JP2005214951A (ja) 水道メータユニット
KR101301479B1 (ko)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KR200250396Y1 (ko) 역류, 도수방지용 개폐 밸브가 장착된 익차형 수도 미터기
JP4140969B2 (ja) 流量メータ設置ユニット
CN111006061A (zh) 一种用于水管的旁通快开阀门
JP2008224647A (ja) 水道メータの逆流防止部品
KR100570479B1 (ko) 압력조절밸브를 구비한 수도계량기
KR200181250Y1 (ko) 건식수도계량기의 계측오차 조절장치
CN116928599A (zh) 方便装设的管路视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630

Effective date: 201303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