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479B1 -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 Google Patents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479B1
KR101301479B1 KR1020120013276A KR20120013276A KR101301479B1 KR 101301479 B1 KR101301479 B1 KR 101301479B1 KR 1020120013276 A KR1020120013276 A KR 1020120013276A KR 20120013276 A KR20120013276 A KR 20120013276A KR 101301479 B1 KR101301479 B1 KR 10130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shaft
slot groove
shaft means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924A (ko
Inventor
홍의주
Original Assignee
(주)맑은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맑은물연구소 filed Critical (주)맑은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1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4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01F1/11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나 기름 등과 같은 유체(流體)가 관을 통해 흘러 갈 때 그 흐르는 유량(流量)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배관을 통과하면서 터빈을 회전시켜고 그 회전되는 터빈을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유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바, 장시간 작동시 터빈 등이 고장날 경우 이를 용이하게 탈장착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터빈이나 그 구성품 등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A Flow Meter}
본 발명은 물이나 기름 등과 같은 유체(流體)가 관을 통해 흘러 갈 때 그 흐르는 유량(流量)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배관을 통과하면서 터빈을 회전시켜고 그 회전되는 터빈을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유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바, 장시간 작동시 터빈 등이 고장날 경우 이를 용이하게 탈장착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구를 구비함으로써, 터빈이나 그 구성품 등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유량계는 산업현장이나 일반 각 가정 또는 기타 사용처에서 사용하는 유체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량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배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수도관 등과 같은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숫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터빈 유량계는 그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량계는 대체로 유량의 측정원리와 기능, 성능에 의한 분류 등 다양한 분류방법에 의해 구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유량계를 유체 자체 에너지를 이용하는 분류방법에 의해 분류해 보면 용적, 면적, 차압, 터빈, 와류제어 유량계 등으로 구분되며, 외부의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해 보면 초음파, 전자 및 질량 유량계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유량계 중 최근에는 유체를 회전체가 구비된 프로펠러 형태의 날개에 전달하여 유체의 흐름을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터빈 방식의 유량계가 널리 사용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이러한 여러가지 터빈 유량계 중에 특허등록 제10-0031469호의 '수도미터기'가 공지되어 있는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상기 수도미터기(5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수단(51)과 상기 임펠러수단(51)을 수납하는 원통형몸체(52), 상기 원통형몸체(52)의 일단에 체결되어 유체를 유입시켜주는 유입배관과 연결되는 연결수단(53), 상기 원통형몸체(52)의 타단에 체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배관과 연결되는 연결수단(54), 및 상기 원통형몸체(52)의 원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수단(51)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원통형몸체(52)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감지하여 표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검출부(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상기 수도미터기(50)는 유체가 유입배관과 이에 상기 연결수단(53)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원통형몸체(52)를 통과하면서 상기 임펠러수단(51)을 회전시키고 이어 상기 연결수단(54)을 통해 보내고자 하는 공급처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바, 이 경우 상기 임펠러수단(51)의 회전을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외부에서 그 유량을 상기 검출부(55)를 통해 검출 인식할 수 있게됨으로써 공급배관을 통해 얼마의 유량이 흘러 들어갔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KR 10-0031469 (등록번호) 1990.02.02. KR 10-0400405 (등록번호) 2003.09.22. KR 10-2011-0035846 (공개번호) 2011.04.06.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빈유량계는 임펠러수단이 구비된 원통형몸체와 그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유체가 빠져나가는 공급관이 각각 일직선 구조로 설치 구성되는바, 원통형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수단이 사용 중에 또는 일정시간 경과 후 고장이 나서 이를 고치려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정비를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원통형몸체를 연결하고 있는 양단의 연결수단을 모두 분해하여야만 해당 구성품들을 정비할 수 있어 불편함이 있고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 및 경비가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측으로 유량을 인식하는 검출센서부를 갖는 터빈유량계의 원통형몸체에, 그 일단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을 장착 또는 탈착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공급관 연결소켓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형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통되는 보조공급관을 설치 구비하고, 상기 보조공급관의 단부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 연결소켓을 설치 구비함으로써, 터빈유량계의 임펠러 등의 고장 시 원통형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개폐부를 개방하여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정비할 수 있어 정비효율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정비시간 단축 및 소요경비 절감 등을 통한 유량계의 관리 및 운용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이를 소요처로 공급관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 흘러가는 유량을 검출센서부를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유량계에 있어서,
유량을 감지하는 상기 검출센서부가 외부면으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부로는 유량이 흘러갈 수 있도록 된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설된 개폐덮개부, 상기 원통형몸체의 내부에 삽설되되 상기 원통형몸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유속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검출센서부가 이를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유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임펠러수단, 상기 원통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수단에 구비된 회동축이 삽설 고정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수단, 상기 샤프트수단의 외측에 삽설되어 상기 원통형몸체의 중앙에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샤프트날개, 상기 원통형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과 연결소켓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들어오는 유체가 상기 원통형몸체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된 보조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는 임펠러 등이 구비된 원통형몸체의 일단부에 구성품을 수납 또는 인출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구성함으로써, 터빈유량계의 임펠러 등이 고장날 경우 또는 정비가 필요할 경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개폐부를 개방하여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수리 및 교환할 수 있어 정비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정비시간 단축 및 소요경비 절감 등을 통한 유량계의 관리 및 운용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의 부분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의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6는 종래의 터빈유량계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수돗물 등과 같은 유체가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다음 이를 소요처로 공급관(102)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흘러가는 유량을 검출센서부(103)에서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량을 감지하는 상기 검출센서부(103)가 외부면으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부로는 유량이 흘러갈 수 있도록 된 원통형몸체(110)와,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덮개부(120),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내부에 삽설되되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유속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검출센서부(103)가 이를 감지하여 유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임펠러수단(130),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수단(130)에 구비된 회동축(131)이 삽설 고정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수단(140),
상기 샤프트수단(140)의 외측에 삽설되어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중앙에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샤프트날개(150),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외주면 일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101)과 연결소켓(104)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유입관(101)으로 들어오는 유체가 상기 원통형몸체(110)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된 보조공급관(16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타단부에는 상기 공급관(102)이 연결 소켓(105)에 의해 연통 설치되어 있어, 수돗물 등과 같은 유체가 상기 유입관(101)과 상기 보조공급관(160), 상기 원통형몸체(110) 및 상기 공급관(10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소요처로 흘러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02)이 연통되는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단부에는 상기 샤프트수단(140)이 유체의 힘에 의해 빠져나가갈 수 없도록 이를 지지해주는 스토퍼(170)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에 삽설되는 상기 샤프트수단(140)은 상기 임펠러수단(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샤프트수단(141)과 상기 임펠러수단(13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샤프트수단(14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수단(130)에 구비된 상기 회동축(131)은, 그 일단이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일단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수단(미도시)에 의해 설치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일단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수단(미도시)에 의해 설치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수단(130)으로 유체의 흐르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경사지게 형성된 임펠러날개 즉 터빈이 상기 회동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임펠러수단(130)이 회전되게 된다. 이어 상기 임펠러수단(130)의 회전을 상기 검출센서부(103)에서 전자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로 흐르는 유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수단(130)의 날개의 형상이나 상기 검출센서부(103)에서 상기 임펠러수단(130)의 회전을 전자적으로 인식하는 기능 및 구성 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에 의해 통상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세부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에 비해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은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슬롯홈(141a)과 제2슬롯홈(141b), 제3슬롯홈(141c), 및 제4슬롯홈(141d)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 또한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슬롯홈(142a)과 제2슬롯홈(142b), 제3슬롯홈(142c), 및 제4슬롯홈(142d)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에 형성된 상기 제1슬롯홈(141a) 내지 제4슬롯홈(141d)은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직각되게 형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에 형성된 상기 제1슬롯홈(142a) 내지 제4슬롯홈(142d) 또한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 직각되게 형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에 형성된 상기 제1슬롯홈(141a) 내지 제4슬롯홈(141d)과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에 형성된 상기 제1슬롯홈(142a) 내지 제4슬롯홈(142d)은 각각 상호 대향되어 설치 구비되도록 상기 원통형몸체(110)에 삽설된다.
즉,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상기 제1슬롯홈(141a)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상기 제1슬롯홈(142a)과 대향되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상기 제2슬롯홈(141b)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상기 제2슬롯홈(142b)과 대향되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상기 제3슬롯홈(141c)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상기 제3슬롯홈(142c)과 대향되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상기 제4슬롯홈(141d)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상기 제4슬롯홈(142d)과 대향되도록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과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에는 각각 4개의 슬롯홈이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이나 이하로 슬롯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날개(150)는 개략적인 'ㄹ'자 형상의 '
Figure 112012010615527-pat00001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상기 제1슬롯홈(141a)에 삽설 구비되는 제1가로부(151)와,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상기 제1슬롯홈(141a)의 양단부에 세로로 삽설 구비되는 제1세로부(152)와 제2세로부(153),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상기 제1슬롯홈(142a)에 삽설 구비되는 제3세로부(154), 및 상기 제2세로부(153)와 제3세로부(154)를 그 일단부에서 연결 구비되도록 하는 제2가로부(155)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샤프트날개(150)는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의 제3슬롯홈(141c)과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의 상기 제3슬롯홈(142c)에도 동일하게 설치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날개(150)는 상기 제1가로부(151)가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에 삽설 고정되고, 상기 제3세로부(154)가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에 삽설 고정되어, 상기 제1세로부(152)와 제2세로부(153) 및 제2가로부(155)가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내주벽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샤프트날개(150)가 상기 샤프트수단(140)의 상하에서 각각 삽설 구비됨으로써, 상기 샤프트수단(140)이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에 견고하게 설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날개(150)의 상기 제2세로부(153)와 제3세로부(15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임펠러수단(1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설 구비된다.
즉, 상기 임펠러수단(130)은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과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수단(141)에 형성된 상기 제2슬롯홈(141b)과 상기 제4슬롯홈(141d)의 양단부에는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지지핀(143)과 제2지지핀(144)이 각각 삽설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수단(142)에 형성된 상기 제2슬롯홈(142b)과 상기 제4슬롯홈(142d)에도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3지지핀(145)이 삽설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덮개부(120)가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180)이 설치 구비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수단(180)이 용이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리(ferrule,19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고리(ferrule,190)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수단(180)이 용이하게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덮개부(120)의 원주 모서리부에는 유체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실링(20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80)은 3개의 곡선형상 브라케트(181)가 2개의 핀(182)에 의해 연결되어 고리형상을 구성하고 2개의 브라케트(181)가 상기 핀(182)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면서 나비볼트(183)에 의해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비볼트(183)를 풀어 2개의 브라케트(181)를 벌린 후 상기 개폐덮개부(120)과 상기 실링(200)의 원주 모서리부를 삽설한 다음 2개의 브라케트(181)를 다시 오므려 상기 나비볼트(183)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개폐덮개부(120)가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단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기 체결수단(180)은 공지된 구성으로 상기 개폐덮개부(120)를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단부에 용이하게 장착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공급관(160)은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일단부측 중앙에서 약간 한쪽으로 치우치는 측면측에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공급관(160)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공급관(160)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로 공급될 때 유체의 흐름이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내벽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보조공급관(160)이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중앙에 직각되게 설치되면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로 유체가 상기 보조공급관(160)을 통해 공급될 때 와류가 생성되어 상기 임펠러수단(1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공급관(160)의 직경이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1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101)과 상기 보조공급관(160)을 통해 상기 원통형몸체(110)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공급관(102)을 통해 소요처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몸체(110)로 유입되는 유체의 힘에 의에 상기 임펠러수단(130)이 회전되고 그 회전되는 것을 상기 검출센서부(103)가 인식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임펠러수단(130)이 고장나거나 교체해야 할 경우, 상기 원통형몸체(1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체결수단(180)을 풀어 상기 개폐덮개부(12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유입관(101)에 구비된 유체 차단밸브(미도시)를 잠그어 유체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시행한다.
이어, 상기 사프트수단(140)를 꺼내어 해당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한 다음 상기 원통형몸체(110) 내부에 다시 수납하고 상기 체결수단(180)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덮개부(120)를 장착 고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100)는 외측으로 유량을 인식하는 검출센서부를 갖는 원통형몸체에, 그 일단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을 장착 또는 탈착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형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연통되는 보조공급관을 설치 구비하고, 상기 보조공급관의 단부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설치 구비함으로써, 터빈유량계의 임펠러 등의 고장 시 원통형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개폐부를 개방하여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정비할 수 있어 정비효율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정비시간 단축 및 소요경비 절감 등을 통한 유량계의 관리 및 운용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100: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101:유입관 102:공급관 103:검출센서부
110:원통형몸체 120:개폐덮개부 130:임펠러수단 131:회동축
140:샤프트수단
141:제1샤프트수단 142:제2샤프트수단 143:제1지지핀
144:제2지지핀 145:제3지지핀
150:샤프트날개
151:제1가로부 152:제1세로부 153:제2세로부 154:제3세로부
155:제2가로부
160:보조공급관 170:스토퍼
180:체결수단
181:브라케트 182:핀 183:나비볼트
190:끼움고리 200:실링

Claims (7)

  1. 유체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고 이를 소요처로 공급관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 흘러가는 유량을 검출센서부를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유량계에 있어서,
    유량을 감지하는 상기 검출센서부가 외부면으로 연결 설치되고 그 내부로는 유량이 흘러갈 수 있도록 된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그 내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설된 개폐덮개부,
    상기 원통형몸체의 내부에 삽설되되 상기 원통형몸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유속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검출센서부가 이를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유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임펠러수단,
    상기 원통형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수단에 구비된 회동축이 삽설 고정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수단,
    상기 샤프트수단의 외측에 삽설되어 상기 원통형몸체의 중앙에 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샤프트날개,
    상기 원통형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과 연결소켓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들어오는 유체가 상기 원통형몸체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된 보조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몸체 내부에 삽설되는 상기 샤프트수단은 상기 임펠러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샤프트수단과 상기 임펠러수단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샤프트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수단은 그 중심에 구비된 상기 회동축의 일단이 상기 제1샤프트수단의 일단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수단에 의해 설치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의 타단이 상기 제2샤프트수단의 일단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수단에 의해 설치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수단은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 제3슬롯홈, 및 제4슬롯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수단 또한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 제3슬롯홈, 및 제4슬롯홈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날개는 일측이 상기 제1샤프트수단에 삽설되고, 타측이 상기 제2샤프트수단에 삽설되어 연결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날개는 상기 제1샤프트수단의 상기 제1슬롯홈에 삽설 구비되는 제1가로부와, 상기 제1샤프트수단의 상기 제1슬롯홈의 양단부에 세로로 각각 삽설 구비되는 제1세로부와 제2세로부, 상기 제2샤프트수단의 상기 제1슬롯홈에 삽설 구비되는 제3세로부, 및 상기 제2세로부와 제3세로부를 그 일단부에서 연결 구비되도록 하는 제2가로부로 형성되어 '
    Figure 112012010615527-pat00002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수단에 형성된 상기 제2슬롯홈과 상기 제4슬롯홈의 양단부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지지핀과 제2지지핀이 각각 삽설 구비되고,
    상기 제2샤프트수단에 형성된 상기 제2슬롯홈과 상기 제4슬롯홈에는 상기 원통형몸체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3지지핀이 삽설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개폐덮개부가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이 설치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몸체의 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용이하게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고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급관은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부측 중앙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측면부측에 연통 설치되고, 상기 보조공급관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몸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KR1020120013276A 2012-02-09 2012-02-09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KR10130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76A KR101301479B1 (ko) 2012-02-09 2012-02-09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76A KR101301479B1 (ko) 2012-02-09 2012-02-09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24A KR20130091924A (ko) 2013-08-20
KR101301479B1 true KR101301479B1 (ko) 2013-09-10

Family

ID=4921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76A KR101301479B1 (ko) 2012-02-09 2012-02-09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78B1 (ko) * 2014-12-08 2016-07-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유량 센서 몸체 및 이를 구비한 유량 센서
CN113447093B (zh) * 2021-07-01 2023-11-03 宁夏隆基宁光仪表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在线检修的易拆型智能水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020B2 (ja) * 1996-07-18 2005-10-19 東洋計器株式会社 流量メータ
JP2006275587A (ja) * 2005-03-28 2006-10-12 Aichi Tokei Denki Co Ltd 水道メータシステム
KR20090100521A (ko) * 2008-03-20 2009-09-24 유상열 수도계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020B2 (ja) * 1996-07-18 2005-10-19 東洋計器株式会社 流量メータ
JP2006275587A (ja) * 2005-03-28 2006-10-12 Aichi Tokei Denki Co Ltd 水道メータシステム
KR20090100521A (ko) * 2008-03-20 2009-09-24 유상열 수도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24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26B1 (ko) 전자식 수도계량기
CN103025973B (zh) 用于将抽吸管连接到干式离心泵的抽吸连接件
KR101301479B1 (ko) 탈장착용 개폐구가 구비된 터빈유량계
ES2718911T3 (es) Caudalímetro insertable
JP2016212069A (ja) 羽根車、これを用いた水道メータ
CN204298079U (zh) 一种tds在线检测的探头安装结构及净水器
KR20170060597A (ko) 수직펌프용 흡입장치
CN203551231U (zh) 一种塑料管道系统冷热水循环试验机
KR101248796B1 (ko)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JP4991460B2 (ja) ガスメータユニット
CN103149058A (zh) 一种烟气采样器
CN208153842U (zh) 阀体及阀门
CN208902232U (zh) 一种浮子流量计检定台
CN108801745B (zh) 一种悬浮固体含量测试装置
CN208488460U (zh) 适用于安装油混水传感器的装置
US8418567B2 (en) Fluid visual inspection device
KR101128301B1 (ko)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CN109952427B (zh) 进动流体涡轮
CN212835670U (zh) 一种便于指示压力的消火栓
CN217542962U (zh) 一种ph电极传感器安装检测装置
KR100871540B1 (ko) 회전식 파티클 센서 조립체
JP2008224645A (ja) 水道メータの逆流を計量しない装置
CN110207905A (zh) 一种导叶漏水检测系统
CN214621304U (zh) 废水排放监测仪
KR101306624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