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301B1 -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301B1
KR101128301B1 KR1020090048481A KR20090048481A KR101128301B1 KR 101128301 B1 KR101128301 B1 KR 101128301B1 KR 1020090048481 A KR1020090048481 A KR 1020090048481A KR 20090048481 A KR20090048481 A KR 20090048481A KR 101128301 B1 KR101128301 B1 KR 10112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display
inlet
state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895A (ko
Inventor
정형식
Original Assignee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유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유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3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2Cleaning arrangement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의 내부에 설치하여 활용되는 스트레이너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이물질이 걸름망에 누적되거나 막히게 되는 정도를 확인하고자 주변부품을 분해하여 내부의 스트레이너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스트레이너의 막힌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꼭 필요한 경우에만 주변부품을 분해하여 스트레이너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의 걸름망을 중심으로 일측의 유입부와 다른 일측으로서 상기 유입부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배출부에 각각 유입압력감지관과 배출압력감지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입압력감지관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를 상기 유입압력감지관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수도, 스트레이너, 걸름망,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장치

Description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Strainer Status Indicator}
본 발명은 상수도의 내부에 설치하여 활용되는 스트레이너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이물질이 여과망에 누적되거나 막히게 되는 정도를 확인하고자 주변부품을 분해하여 내부의 스트레이너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꼭 필요한 경우에만 주변부품을 분해하고 스트레이너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계량측정과 계량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수도의 계량이 이루어지는 부위 유속의 변화를 인위적으로 적게 유지하도록 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자의 선발명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85303호의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수도관의 수도계량기 관로 중간 내부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다.
상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배관의 중간에 계량기를 설치하여 급수량을 계측하게 되고, 계량기의 전방위치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사전에 방지하여 계량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활용하게 되는데, 이를테면 상수도의 수도 계량이 이루어지는 부위인 유입구(2)와 계량기가 설치된 부위와 연결되는 배출구(3)의 사이 위치에 하우징(12)을 마련하고 그 하우징(12)의 내측에 걸름망(10)을 갖춘 스트레이너(1)를 내장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너(1)를 설치하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10)엔 이물질이 끼거나 쌓이게 되어 서서히 이를 통과하는 유량이 감소하게 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내부오염의 문제를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이러한 이물질이 많이 쌓이게 되어 스트레이너(1)가 막히는 경우에는 배관내의 압력 증가로 관로가 파손되기도 하는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기간마다 하우징(12) 상부의 커버(14)를 분리하고 스트레이너(1)를 외부로 인출하여 그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별 다른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스트레이너(1)를 원위치시키고 커버(14)를 결합한 다음 다시 활용하고 걸름망(10)에 이물질이 쌓여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소하여 재활용하거나 아니면 재활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악화된 경우에는 스트레이너(1)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은 이물질이 쌓여 있지 아니하여 청소하지 않고도 다시 분리 결합하여 활용하는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점검을 행하는 인력의 낭비가 뒤따르는 상황이고, 작업자에겐 불편함이 발생하며 사후처리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며 민원의 증가에 따른 신뢰성 상실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부품을 분해하여 내부의 스트레이너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꼭 필요한 경우에만 주변부품을 분해하고 스트레이너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보다 경제성이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부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미리 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배관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한 관로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스트레이너의 청소 또는 교체를 포함한 사전조치를 행할 수 있어 관련 사고의 사전예방과 함께 상수도 이외에 스트레이너가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범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의 걸름망을 중심으로 일측의 유입부와 다른 일측으로서 상기 유입부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배출부에 각각 유입압력감지관과 배출압력감지관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입압력감지관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를 상기 유입압력감지관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는 일측이 상기 유입압력감지관과 연통 연결 설치되고 나머지 일측은 상기 배출압력감지관과 연통 연결 설치되는 차압작동부와 상기 차압작동부와 함께 연동되게 작동되는 외측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차압작동부는 상기 유입압력감지관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마감연결구와 상기 배출압력감지관과 연결 설치되는 상부 마감연결구와; 상기 하부 마감연결구와 상기 상부 마감연결구와의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부와;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에서 접한 상태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영구자석이 설치되는 이동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표시부는 표시창을 갖는 케이싱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표시구가 설치되고 상기 표시구의 하부엔 상기 차압작동부의 이동자 영구자석과 함께 연동될 수 있게 대응된 위치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와 같은 주변부품을 분해하여 내부의 스트레이너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외측표시부에 의하여 외부에서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꼭 필요한 경우에만 주변부품을 분해하고 스트레이너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또한 주변부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스트레이너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고 미리 적 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배관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한 관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스트레이너에 대하여 청소나 교체와 같은 사전조치가 가능하게 되어 관련 사고의 사전예방과 함께 상수도 이외에도 스트레이너가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관로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10)을 중심으로 일측의 유입부(2)와 다른 일측으로서 상기 유입부(2)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배출부(3)에 각각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스트레이너(1)의 상태를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6)를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6)는 일측이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연통 연결 설치되고 나머지 일측은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과 연통 연결 설치되는 차압작동부(7)와 상기 차압작동부(7)와 함께 연동되게 작동되는 외측표시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 중, 상기 차압작동부(7)는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마감연결구(75)와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과 연결 설치되는 상부 마감연결구(76)와, 상기 하부 마감연결구(75)와 상기 상부 마감연결구(76)와의 사이에 세워진 상 태로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부(77)와,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77)의 내측에서 접한 상태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영구자석(79)이 설치되는 이동자(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표시부(8)는 표시창(85)을 갖는 케이싱(86)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표시구(87)가 설치되고 상기 표시구(87)의 하부엔 상기 차압작동부(7)의 이동자 영구자석(79)과 함께 연동될 수 있게 대응된 위치에 영구자석(88)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표시구(87)는 전면에 가이더(87a)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더(87a)가 가이드되면서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표시창(85)를 갖는 가이드홈부재(87b)를 케이싱(86) 내측으로서 표시구(87)의 전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시구(87)는 일정 간격마다 구획 표시하여 구성되고, 예를 들면 "정상구역", "청소 또는 교체구역", "위험구역"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색상을 구분하여 구획하여 나타낼 수도 있고,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10)이 막힌 정도에 따른 상태를 표시구(87)에 의하여 표시창(85)을 통하여 지시가 이루어지는 구역에 따라 외부로 나타내어 필요한 조치를 사전에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정한 눈금 형태로 표시하여 압력차이를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도 차압작동부(7)에서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입부(2) 및 배출부(3)사이 차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동자(78)의 변위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나타내거나 위의 압력차가 커서 이동자(78)의 변위량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종래의 스트레이너 중 하나의 바람직한 일례를 선택하여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장치를 설치한 예를 기준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 표시장치는 상수도용이나 산업용 스트레이너로 활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이너, 예를 들면 포켓타입 스트레이너, Y형 스트레이너 등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이너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40 및 50은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의 입구부에 마련되는 필터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하여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장치를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택하여 활용하는 경우 평상시엔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10)에 이상이 없는 경우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 사이에 차압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표시창(85)을 통하여 나타나는 표시구(87)엔 정상적인 구획 표시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10)에 이물질이 쌓여 내부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 사이에 차압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동자(78)가 실린더부(77)의 내부에서 상승 변위하고, 이에 따라 영구자석(79,88) 상호간 자력이 작용하여 외측에 위치한 표시구(87)도 함께 상승하게 되며, 표시창(85)을 통하여 나타나는 표시구(87)엔 정상이 아닌 이상의 구획 표시가 나타나게 되며, 특히 걸름망(10)에 이물질이 많이 막히게 되어 내부의 유체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아 관로가 막히는 경우에는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 사이에 차압이 최대에 이르게 되고 표시구(87)는 최대로 상승하여 위험한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위험한 상태에 이르기 전에 평상시에 체크를 하게 되면 커버(14)를 분리하지 않고도 스트레이너(1)의 상태를 외부에서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이너(1)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적절한 사전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레이너를 설치한 상수도용 계량기 관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를 설치한 계량기 관로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하는 차압작동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생략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하는 외측표시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트레이너, 2: 유입부,
3: 배출부, 4: 유입압력감지관,
5: 배출압력감지관, 6: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
7: 차압작동부, 8: 외측표시부,
10: 걸름망, 12: 하우징,
14: 커버, 75: 하부 마감연결구,
76: 상부마감연결부 77: 실린더부,
78: 이동자, 79,88: 영구자석,
85: 표시창, 86: 케이싱,
87: 표시구

Claims (3)

  1.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10)을 중심으로 일측의 유입부(2)와 다른 일측으로서 상기 유입부(2)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배출부(3)에 각각 유입압력감지관(4)과 배출압력감지관(5)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스트레이너(1)의 상태를 외부에 나타내기 위한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6)를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의 사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레이너 상태표시 작동부(6)는 일측이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연통 연결 설치되고 나머지 일측은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과 연통 연결 설치되는 차압작동부(7)와 상기 차압작동부(7)와 함께 연동되게 작동되는 외측표시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차압작동부(7)는 상기 유입압력감지관(4)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마감연결구(75)와 상기 배출압력감지관(5)과 연결 설치되는 상부 마감연결구(76)와; 상기 하부 마감연결구(75)와 상기 상부 마감연결구(76)와의 사이에 세워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부(77)와;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77)의 내측에서 접한 상태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영구자석(79)이 설치되는 이동자(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표시부(8)는 표시창(85)을 갖는 케이싱(86)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표시구(87)가 설치되고 상기 표시구(87)의 하부엔 상기 차압작동부(7)의 이동자 영구자석(79)과 함께 연동될 수 있게 대응된 위치에 영구자석(88)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저 상태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87)는 일정 간격마다 구획 표시하여 구성되고, 전면엔 가이더(87a)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더(87a)가 가이드되면서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표시창(85)를 갖는 가이드홈부재(87b)를 케이싱(86) 내측으로서 표시구(87)의 전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저 상태 표시장치.
KR1020090048481A 2009-06-02 2009-06-02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KR10112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81A KR101128301B1 (ko) 2009-06-02 2009-06-02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481A KR101128301B1 (ko) 2009-06-02 2009-06-02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95A KR20100129895A (ko) 2010-12-10
KR101128301B1 true KR101128301B1 (ko) 2012-03-23

Family

ID=4350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481A KR101128301B1 (ko) 2009-06-02 2009-06-02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70Y1 (ko) * 2016-05-19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03B1 (ko) * 2021-08-05 2022-02-14 예영동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810A (ja) 1999-03-31 2000-10-13 Miura Co Ltd 差圧式流量計
JP2001050783A (ja) 1999-08-05 2001-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リフィス板の検定装置及び検定方法
KR200223973Y1 (ko) * 2000-11-30 2001-05-15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관연결구의 구조
KR20090025973A (ko) * 2007-09-07 2009-03-11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차압식 유량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810A (ja) 1999-03-31 2000-10-13 Miura Co Ltd 差圧式流量計
JP2001050783A (ja) 1999-08-05 2001-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オリフィス板の検定装置及び検定方法
KR200223973Y1 (ko) * 2000-11-30 2001-05-15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관연결구의 구조
KR20090025973A (ko) * 2007-09-07 2009-03-11 주식회사 녹색기술연구소 차압식 유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70Y1 (ko) * 2016-05-19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95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786Y1 (ko) 기계식 유량계의 배관 구조
US20150343348A1 (en) System for detecting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inlet and outlet of filter element
KR101102247B1 (ko)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CA2784238A1 (en) Method of increasing efficiency of a y strainer and a y strainer
KR101128301B1 (ko)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CN111601651B (zh) 过滤器单元品质管理系统以及过滤器单元品质管理方法
CN202942717U (zh) 一种带有检测装置的机械过滤器
EP3228375B1 (en) Pressure detection system immune to pressure ripple effects
CN111182957A (zh) 具有附件端口的一次性过滤器
US6474144B1 (en) Determining the level of particulate contamination in a fluid power system
KR101208330B1 (ko) 복합식 비만관 유량 측정방법
KR20200044794A (ko) 주입 클리닝 포트들을 갖는 와류 유량계
RU25541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рабочей жидкости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CN208520724U (zh) 空气质量检测装置
US9410865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eak tightness of a tank
KR102363403B1 (ko)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CN219848396U (zh) 一种海水含沙量检测装置
KR20100124163A (ko) 필터상 감지구조
KR101306624B1 (ko) 역류방지용 수도계량기
CN211550155U (zh) 带有压差报警推土机液压油箱
CN212963489U (zh) 一种用于液体测量污水流量的流量计
CN216691212U (zh) 一种机油滤清器的机油滤芯堵塞的检测装置
KR101201451B1 (ko) 하수관거용 비만관유량계의 현장 교정 장치
KR930009917B1 (ko) 공기압 필터
KR100817310B1 (ko) 바이패스 유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