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73Y1 - 관연결구의 구조 - Google Patents

관연결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73Y1
KR200223973Y1 KR2020000033514U KR20000033514U KR200223973Y1 KR 200223973 Y1 KR200223973 Y1 KR 200223973Y1 KR 2020000033514 U KR2020000033514 U KR 2020000033514U KR 20000033514 U KR20000033514 U KR 20000033514U KR 200223973 Y1 KR200223973 Y1 KR 200223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utlet
fluid
inle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양발브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2020000033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73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연결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 내부의 이물질 존재여부를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디(2)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유체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관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측에 압력홀(10,10')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압력홀(10,10')에 압력 확인부재(11,11')를 설치하여 유입구(3)와 배출구(4)측의 유체 흐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연결구의 구조{MEANS OF SUCTION DIFFUSER AND STRAINER}
본 고안은 관연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관은 지점과 지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을 통해서 유체가 적정 장소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체를 적정 장소로 공급할 때 관 내부의 부식물 등이 유체와 함께 이동하는 것인 바, 상기 부식물 등의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이동할 때 관의 코너부나 연결부분 등에 부착되게 되면 펌프의 펌핑력 저하와 펌프의 손상을 초래함과 아울러 열교환 효율 등이 저하되는 것이다.
상기한 유체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관에 관연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연결구는 내부에 메시상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유체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이며, 상기 관연결구는 펌프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석션 디퓨져(SUCTION DIFFUSER) 및 관의 수평선상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로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 관연결구(1)인 석션 디퓨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메시상의 스크린이 설치되는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일측방향으로 개방되어 관에 연결되는 유입구(3)와, 상기 유입구(3)를 지점으로 적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펌프(미도시)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배출구(4)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디(2)의 측부에는 커버(5)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5)를 통해 스크린을 청소 및 교체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커버(5)를 오픈할 때 커버(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볼트(6)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3)와 배출구(4)의 각도는 약 90°가 유지되게 하여 엘보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연결구(1)중 스트레이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메시상의 스크린이 설치되는 바디(2)와, 상기 바디(2)의 일측방향으로 개방되어 관에 연결되는 유입구(3)와, 상기 유입구(3)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관에 연결되는 배출구(4)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술한 석션 디퓨져와 동일하게 스크린과 커버(5)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나, 관의 수평라인상에 설치될 수 있게 유입구(3)와 배출구(4)를 동일 선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관연결구는, 바디(2) 내부의 스크린상에 엉겨붙는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외부에서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바디(2)의 청소를 적시에 할 수 없는 것이고, 상기 청소 시기를 판별할 수 없음에 따라 과부하로 인한 펌프의 펌핑력 저하와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바디 내부의 이물질 존재여부를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관연결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디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유입구와 배출구측에 압력홀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홀에 압력 확인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것의 석션 디퓨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것의 스트레이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석션 디퓨져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석션 디퓨져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스트레이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관연결구 2: 바디
3: 유입구 4: 배출구
5: 커버 7: 스크린
10,10': 압력홀 11,11': 압력 확인부재
12: 패킹 15: 패킹 스톱퍼
16: 캡 17: 차압 측정 게이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유체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관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측에 압력홀(10,10')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압력홀(10,10')에 압력 확인부재(11,11')를 설치하여 유입구(3)와 배출구(4)측의 유체 흐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관연결구(1)는 석션 디퓨져로서, 바디(2) 내부에 스크린(7)을 설치한 후 커버(5)로 밀폐하는 것이고, 상기 커버(5)를 오픈할 때 커버(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볼트(6)로 지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압력 확인부재(11,11')는 관통홀(13)에 연통된 안착홈(14)에 압입되어 설치된 고무 재질의 패킹(12)과, 상기 패킹(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홈(14)에 설치된 패킹 스톱퍼(15)와, 상기 관통홀(13)을 통한 유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결합되는 캡(16)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패킹(12)은 관통홀(13) 및 차압 측정 게이지(17)의 감지봉(17')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18)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패킹(12)의 가이드홀(18)보다 크게 패킹 스톱퍼(15)에 유도홀(19)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16)의 내측에는 가스켓(16')을 설치하여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 확인부재(11,11')에 끼워지는 차압 측정 게이지(17)는 상기 유입구(3)측의 유체 압력과 배출구(4)측으로 유입된 유체 압력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차압 측정 게이지(17)의 변화 정도에 따라 바디(2) 내측에 설치된 스크린(7)의 이물질 응집 여부가 판별되는 것이다. 상기 유체 압력의 변화는 바디(2) 내측에 설치된 스크린(7)의 이물질 부착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7)에 유체중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배출구(4)측으로의 유체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유입구(3) 보다 유체 흐름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바디(2) 내부의 이물질 존재여부를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펌프의 펌핑력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필요 이상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측에 압력홀(10,10')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홀(10,10')에 유체 흐름을 판별할 수 있는 압력 확인부재(11,1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 확인부재(11,11')를 통한 압력 측정은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 확인부재(11,11')의 캡(16)을 오픈하여 관통홀(13)이 개방되게 한 후 차압 측정 게이지(17)의 감지봉(17')을 관통홀(13)에 인써트하는 것이다. 상기 관통홀(13)에 인써트되는 감지봉(17')은 패킹(12)의 가이드홀(18) 및 유도홀(19)을 경유하여 유입구(3) 또는 배출구(4) 내측으로 안내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3) 또는 배출구(4) 내측으로 안내된 차압 측정 게이지(17)의 감지봉(17')은 유체의 흐름 압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3)의 유체 압력과 배출구(4)의 유체 압력 차이를 통해서 바디(2) 내측의 스크린(7)상에 이물질이 존재한지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3)로 유입된 유체가 스크린(7)을 통과할때 스크린(7)상에 이물질이 붙어 있지 않을 경우는 그 흐름 속도가 저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구(4)로 배출되는 것이고, 상기 스크린(7)상에 이물질이 일정 이상 붙어 있을 경우는 그 흐름 속도가 저하된 상태에서 배출구(4)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유체의 흐름 속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유입구(3)측과의 압력 차이가 배출구(4)측에서 발생되는 것이고, 상기 압력 차이가 발생됨과 아울러 차압 측정 게이지(17)가 변화되는 것이다. 상기 차압 측정 게이지(17)의 변화 정도는 스크린(7)상의 이물질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이물질의 응집(부착)량이 증대되면서 유입구(3)와 배출구(4)에서의 압력차가 크게 되는 것이며, 상기 압력차가 크게 되는 경우에는 커버(5)를 오픈하여 스크린(7)을 바디(2)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7)을 적정한 시기에 청소할 수 있음에 따라 펌프의 펌핑력 저하 및 펌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펌프를 통한 펌핑시에 바디(2)내에서 과부하가 걸리지 않음에 따라 펌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압력 확인부재(11,11')에서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분리한 후 캡(16)을 결합하여 바디(2) 내측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2)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유체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관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측에 압력홀(10,10')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압력홀(10,10')에 압력 확인부재(11,11')를 설치하여 유입구(3)와 배출구(4)측의 유체 흐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관연결구(1)는 스트레이너로서, 바디(2) 내부에 스크린(7)을 설치한 후 커버(5)로 밀폐하는 것이고,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를 동일 선상으로 형성하여 관의 수평라인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바디(2) 내부의 이물질 존재여부를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펌프의 펌핑력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필요 이상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측에 압력홀(10,10')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홀(10,10')에 유체 흐름을 판별할 수 있는 압력 확인부재(11,1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관연결구(1)는 수평라인상의 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 내부를 통해 위치 이동하는 유체중에 이물질이 스크린(7)을 통해서 필터링되는 것이다.
상기 관연결구(1)의 이물질 존재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사용하는 바, 상기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유입구(3)와 배출구(4)에 설치된 압력 확인부재(11,11')에 각각 끼워 넣어 유입구(3)측과 배출구(4)측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차가 크게 되는 경우는 스크린(7)상에 이물질이 다량으로 응집(부착)된 경우로서, 이때에는 커버(5)를 오픈하여 스크린(7)을 바디(2)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7)을 청소한 후 바디(2) 내측으로 넣어 커버(5)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압 측정 게이지(17)를 통한 바디(2)내의 청소 시기를 판별할 수 있음에 따라 과부하로 인한 펌프의 펌핑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유입구와 배출구측에 압력 확인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 확인부재에 차압 측정 게이지를 인써트하여 두지점의 압력차를 이용한 스크린의 이물질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상의 이물질이 적정 이상으로 부착된 경우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펌프의 펌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펌프의 과다한 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압력 확인부재에 설치된 패킹에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차압 측정 게이지의 감지봉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바디 내측으로 간단하게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바디(2) 내부에 스크린이 설치된 관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유입구(3)와 배출구(4)측에 압력홀(10,10')을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압력홀(10,10')에 압력 확인부재(11,1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확인부재(11,11')는 내부의 안착홈(14)에 설치된 패킹(12)과, 상기 패킹(12)을 지지하는 패킹 스톱퍼(15)와, 상기 안착홈(14)에 연통된 관통홀(13)을 차단하는 캡(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2)에 가이드홀(18)을 형성한 관연결구의 구조.
KR2020000033514U 2000-11-30 2000-11-30 관연결구의 구조 KR200223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14U KR200223973Y1 (ko) 2000-11-30 2000-11-30 관연결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14U KR200223973Y1 (ko) 2000-11-30 2000-11-30 관연결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73Y1 true KR200223973Y1 (ko) 2001-05-15

Family

ID=7306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514U KR200223973Y1 (ko) 2000-11-30 2000-11-30 관연결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98B1 (ko) 2006-12-18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라임수송관의 곡관구조
KR101102247B1 (ko) * 2009-06-02 2012-01-03 유체기술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KR101128301B1 (ko) * 2009-06-02 2012-03-23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98B1 (ko) 2006-12-18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라임수송관의 곡관구조
KR101102247B1 (ko) * 2009-06-02 2012-01-03 유체기술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KR101128301B1 (ko) * 2009-06-02 2012-03-23 케이에프이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822A (en) Differential pressure apparatus for detecting accumulation of particulates in a filter
CN108067025A (zh) 一种带自动反冲洗的杂质过滤装置及过滤方法
KR200223973Y1 (ko) 관연결구의 구조
CN206391707U (zh) 一种具有自检报警功能的供水管路过滤装置
CN108837574A (zh) 新型篮式过滤器
CN106801693B (zh) 一种叠加式过滤器
CN110523116A (zh) 一种自清理的隔膜滤板及板框压滤机
KR200223972Y1 (ko) 관연결구의 차압장치
CN208982259U (zh) 一种排污泵防空转保护装置
JP4764671B2 (ja) マンホールポンプ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100786328B1 (ko) 방폭형 진공펌프 구조를 갖는 가스 검출기
US9776110B2 (en) Filter and method for filtration of hydraulic oil in a return line to a hydraulic tank, and a drilling rig comprising the filter
CN206660721U (zh) 水泵进水口自动清污装置
CN212900361U (zh) 一种反清洗空气阀
CN211116629U (zh) 用于输送含颗粒介质的离心泵
CN201779067U (zh) 一种超高压液环式等温压缩机用前泵盖
CN108980023A (zh) 一种排污泵防空转保护装置
KR100491409B1 (ko) 스트레이너 청소장치
CN213643366U (zh) 一种带识别系统的冰箱滤芯
CN208511995U (zh) 一种新型篮式过滤器
CN217845526U (zh) 一种导热油泄漏检测装置
KR200365517Y1 (ko) 유체배관용 티이형 스트레이너
KR20130049061A (ko) 라미네이터 진공펌프용 이물 유입 방지 장치
CN216407856U (zh) 一种快拆式阀门防堵过滤部件
CN212881373U (zh) 旁通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