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86Y1 - 역류 방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86Y1
KR200286086Y1 KR2020020015820U KR20020015820U KR200286086Y1 KR 200286086 Y1 KR200286086 Y1 KR 200286086Y1 KR 2020020015820 U KR2020020015820 U KR 2020020015820U KR 20020015820 U KR20020015820 U KR 20020015820U KR 200286086 Y1 KR200286086 Y1 KR 200286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nector
meter
hollow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태선
김보현
Original Assignee
김보현
지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현, 지태선 filed Critical 김보현
Priority to KR2020020015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86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로부터 유체를 일방향으로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역류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계량기의 유출구와 수도배관사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계량기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다시 계량기 내로 재 유입되는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유체가 일방향 흐름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 개폐밸브의 실시예는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그 일부위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는 패킹식 밸브와, 다른 실시예로는 커넥터의 중앙에 힌지축 결합되고 스톱퍼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된 게이트식 밸브가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계량기로부터 유체가 역류됨으로 인해 이중 검침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검침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역류로 인한 오염현상을 예방하여 계량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역류 방지용 커넥터{a connector for a backward flow preventing}
본 발명은 역류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의 출구측과 수도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내부에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된 역류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는 수도 배관상에 설치되어 별도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의 유량을 측정하여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종래 계량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수도 배관에 장착되며 별도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출입되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그 유출,입구와 각각 연통되는 수용부를 갖는 계량기와, 상기 계량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 배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어부와, 그 감속기어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지시침을 회전시켜 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계량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의 표시부가 투시되는 투시창을 갖는 커버등을 구비한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수도 사용시 수도 배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임펠러의 회전력은 감속기어부에서 감속된 상태로표시부의 지시침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 지시침에 의한 숫자에 의해 상수도의 사용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계량기는 그 출구측에 급수배관과의 연결을 위해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그 커넥터와 계량기와의 결합구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10)의 유출입구(12,14)의 각 외주면에 수나사부(14a)가 형성되고, 그 유,출입구(12,14)의 단부와 면 접촉되며 유출입구(12,14)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중공(24)이 형성된 커넥터(20)와, 내주면에 그 수나사부(14a)에 대응되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며 커넥터(20)와 계량기(1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너트부재(30)로 구성된다.
그 커넥터(20)는 수도배관(미도시됨)과의 결합을 위해 타단부에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통상의 커넥터(20)는 너트부재(30)에 의해 계량기(10)의 유출입구(14)와 수도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통상적인 커넥터는 계량기와 수도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단순 연결기능만을 가지고 있었고, 계량기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계량기의 압력이 저하될때 유체가 다시 계량기측으로 유입되는 역류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는, 계량기측으로 오수가 역류되어 오염현상을 발생함과 아울러, 계량기가 갖는 올바른 유체 사용량을 검침할 수 없게 됨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2중 검침에따른 정확한 검침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의 연결기능뿐만 아니라, 유체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류 방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계량기와 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설명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역류 방지용 커넥터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도 6a는 제 1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b는 제 2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계량기 14 : 유출구
20 : 커넥터 20A,20B : 제 1,2커넥터
24 : 중공 29 : 경사면
30 : 너트부재 50,60 : 개폐밸브
51 : 차단플레이트 52 : 밸브 몸체
54 : 통공 55 : 보강재
62 : 밸브 플레이트 64 : 힌지축
65 : 스톱퍼 66 : 베어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역류 방지용 커넥터는 계량기의 유출구와 수도배관을 연결시키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계량기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에 대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단턱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일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중앙에 적정 내경의 통공을 갖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중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지지되어 일방향으로만 통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차단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된 것과, 그 개폐밸브의 밸브 몸체와 차단플레이트의 내부에 내장 설치된 박판의 보강재를 더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중공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플레이트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상기 커넥터에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과, 상기 밸브 플레이트가 힌지축을중심으로 일방향 회전되도록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근접된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역류 방지용 커넥터는 계량기의 유출구와 수도배관사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계량기로부터 유출된 유체가 다시 계량기 내로 재 유입되는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유체가 일방향 흐름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역류 방지용 커넥터의 제 1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도면부호는 도 1의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품에 한해서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 구성은 계량기(10)의 유출구(14)와 수도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커넥터(20)와, 그 커넥터(20)의 중공(24)에 형성된 요홈(25)에 삽입되며 계량기(10)의 유출구(14)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50)로 대별된다.
또한, 그 개폐밸브(50)는 고무 또는 우레탄등의 소프트한 재질을 채용하며, 그 구조는 외측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그 내부 중앙에 통공(54)이 형성되는 밸브 몸체(52)와, 그 밸브 몸체(52)의 통공(54) 일측에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53)와, 그 연결부(53)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통공(5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차단플레이트(51)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요홈은 경사면(29)이 형성되어 밸브의차단플레이트(51)가 일방향으로 지지되어 타방향 회전시 상호 간섭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차단플레이트(51)는 그 폭이 밸브 몸체(52)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커넥터의 경사면(29)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단플레이트(51)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경사면(29)과 간섭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부(53)는 차단플레이트(5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구조를 갖는다.
미 설명 부호 "55"는 밸브 몸체와 차단플레이트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보강재를 나타낸 것이며, 이 보강재(55)는 직물 또는 박판의 금속재질로서, 연결부 부위에 반복적인 피로하중이 쌓여 절단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개폐밸브의 자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 커넥터의 제 2실시예로서, 커넥터(20)는 개폐밸브(50)의 삽입 설치를 위해 제 1,2커넥터(20A,20B)로 조립가능하게 구분하되, 별도의 클램프수단(7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제 1,2커넥터(20A,20B)는 내부에 상호 대응되는 내경의 중공(24)를 가지되, 상호 밀착되는 제 1커넥터(20A)의 테두리에 경사면(29)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그 개폐밸브(50)는 고무 또는 우레탄등의 소프트한 재질을 채용하며, 그 구조는 외측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제 1,2커넥터의 결합부위에 개재되어 패킹기능을 갖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제 1,2실시예의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가 급수원으로부터 계량기(10) 내부를 통하여 수도배관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계량기(10)의 유출구와 수도배관 사이에 설치된 커넥터(20)의 중공(24)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개폐밸브(50)는 계량기(10)로부터 유체가 유출될 때 차단플레이트(51)가 일방향(수도배관측)으로 회전되어 유체가 커넥터(20)를 통과하도록 개방된다.
한편, 계량기(10)에서 유체가 유출되지 않고 역방향으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커넥터(20)를 통해 수도배관으로 유출된 유체가 다시 계량기(10)측으로 재 유입되지 않도록 커넥터(20)의 차단플레이트(51)가 원래의 위치로 내려와 개폐밸브(5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차단플레이트(51)는 하부가 제 1커넥터(20A)의 경사면(29)에 간섭되어 타방향으로의 회전이 간섭되므로, 연결부(53)를 중심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회전되며, 이에 따라 유체가 역방향으로 계량기측으로 유입되기전에 경사면(29)에 지지되어 통공이 폐쇄되므로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는 개폐밸브(60)의 구조에서 다른 구성을 가지며, 그 개폐밸브(60)는 너트부재(30)를 이용하여 계량기(10)의 유출구와 결합되어 계량기와 수도배관을 연결시키는 커넥터(2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플레이트(62)가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커넥터(20)는 일단부에 계량기(10)의 유출구와 결합되도록 너트부재(30)가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사각 직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커넥터(20)의 삽입 설치되는 개폐밸브(60)는, 일측이 힌지축(6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편심되게 힌지축(64) 결합되는 밸브 플레이트(62)와, 그 힌지축(64)의 단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힌지축(64)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6)과, 그 힌지축(64)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어 마감재 기능을 갖는 마개(67)로 구성된다.
또한, 개폐밸브(60)는 밸브 플레이트(6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타방향으로는 그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커넥터(20)의 중공(24)의 일측 내주면에 일체로 제 1,2스톱퍼(65)가 적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제 1,2스톱퍼(65a,65b)가 밸브 플레이트(62)의 타방향 회전시 간섭되어 일방향으로만 밸브가 개방되도록 된 것이다.
그 밸브 플레이트(62)는 힌지축(64)을 중심으로 단면적이 서로 다른 대면부와 소면부로 구분되어 편심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63"은 밸브 플레이트(62)의 일측에 힌지축(64)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나타낸 것이다.
위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작용은, 계량기(10)로부터 유체가 커넥터(20)를 통과할 때, 개폐밸브(60)의 밸브 플레이트(6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유체를 통과시키게 된다.
즉, 밸브 플레이트(62)는 계량기로부터 순방향으로 유체 압력이 전달될 때는 밸브 플레이트(62)의 대면부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시계바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된다.
역방향으로 유체 압력이 전달될 경우, 밸브 플레이트(62)가 소면부보다 대면부의 단면적이 크므로 대면부에 작용되는 압력이 크기 때문에, 대면부에 시계바늘 반대 진행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지만 대면부가 제 1스톱퍼(65a)에 간섭되어 회전되지 못하므로 밸브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를 경우의 2가지 예중에서, 밸브 플레이트(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 회전시에는 제 1스톱퍼(65a)가 밸브 플레이트(62)를 지지하여 밸브를 폐쇄시키고, 시계바늘의 반대방향 진행시에는 제 2스톱퍼(65b)의 단부가 밸브 플레이트(62)를 지지하여 밸브를 폐쇄시켜 계량기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밸브 플레이트(62)에 역방향 유체가 전달될 때, 균일한 압력의 정상류가 전달되면 관계없지만, 정상류의 유체가 아닌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난류의 유체가 전달될 경우, 밸브 플레이트(62)의 소면부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시계바늘 진행방향으로 일시 회전될 수 있으나, 제 2스톱퍼(65b)에 지지되어 일정각도 이하로 회전되지 않게 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면부에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밸브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계량기로부터 유체를 일방향으로만 통과시킬수 있도록 한 역류 방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계량기로부터 유체가 역류되어 이중 검침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침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역류에 따른 오염현상을 방지하여 계량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계량기(10)의 유출구(14)와 수도배관을 연결시키도록 내부에 중공(24)을 갖는 커넥터(20)에 있어서,
    상기 중공(24)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계량기(10)의 유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에 대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50,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50)는 상기 중공(24)의 내주면에 구비된 경사면(29)에 일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중앙에 적정 내경의 통공(54)을 갖는 밸브 몸체(52)와,
    상기 밸브 몸체(52)의 통공(54)에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중공(24)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9)에 지지되어 일방향으로만 통공(54)을 개폐시키기 위한 차단플레이트(5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50)는 그 밸브 몸체(52)와 차단플레이트(51)의 내부에 내장 설치된 박판의 보강재(55)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커넥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는 클램프수단에 의해 상호 분리 및 조립가능하며 일측 단부에 경사면(29)이 형성된 제 1,2커넥터(20A,20B)로 구분되며,
    상기 제 1,2커넥터(20A,20B)의 밀착부위에 상기 개폐밸브(50)가 개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60)는 상기 중공(24)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플레이트(62)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62)의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64)과,
    상기 힌지축(6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64)을 상기 커넥터(20)에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6)과,
    상기 밸브 플레이트(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되도록 상기 밸브 플레이트(62)의 일측면에 근접된 상기 중공(24)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스톱퍼(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커넥터.
KR2020020015820U 2002-05-23 2002-05-23 역류 방지용 커넥터 KR200286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20U KR200286086Y1 (ko) 2002-05-23 2002-05-23 역류 방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20U KR200286086Y1 (ko) 2002-05-23 2002-05-23 역류 방지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86Y1 true KR200286086Y1 (ko) 2002-08-21

Family

ID=7305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820U KR200286086Y1 (ko) 2002-05-23 2002-05-23 역류 방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613A (ko) 2021-04-16 2022-10-25 박경준 역류 방지용 유동 개폐 밸브 및 이를 가진 커넥터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613A (ko) 2021-04-16 2022-10-25 박경준 역류 방지용 유동 개폐 밸브 및 이를 가진 커넥터 모듈
KR20240046477A (ko) 2021-04-16 2024-04-09 박경준 역류 방지용 유동 개폐 밸브 및 이를 가진 커넥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058B2 (en) Flow control device
KR200286086Y1 (ko) 역류 방지용 커넥터
CN215352396U (zh) 一种具有精过滤功能的阀门
JP3786504B2 (ja) 水抜き機構付き逆止弁
KR102381048B1 (ko)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수도 미터기
JP2007255059A (ja) メータ直結止水栓
GB2285496A (en) Medical bag valve
KR200250396Y1 (ko) 역류, 도수방지용 개폐 밸브가 장착된 익차형 수도 미터기
JP3033022B2 (ja) 流体用バルブ
KR102354480B1 (ko) 역류방지용 수도미터
PL350570A1 (en) Valve
KR20000071966A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JP2001304437A (ja) バルブユニット
KR101944933B1 (ko) 체크밸브 구조
KR200198110Y1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200417958Y1 (ko) 역류방지용 여닫이의 수도 계량기 밸브 구조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JPH0121388B2 (ko)
KR102497533B1 (ko) 폴더형 디스크를 가지는 버터플라이 밸브
JP3018846U (ja) 定流量器内蔵ボール弁
KR200182712Y1 (ko) 게이트 체크 밸브
JPH0433512Y2 (ko)
JPS6350520Y2 (ko)
JP3793838B2 (ja) キャップ付き止水栓
KR200290382Y1 (ko)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