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377Y1 -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377Y1
KR200412377Y1 KR2020060000566U KR20060000566U KR200412377Y1 KR 200412377 Y1 KR200412377 Y1 KR 200412377Y1 KR 2020060000566 U KR2020060000566 U KR 2020060000566U KR 20060000566 U KR20060000566 U KR 20060000566U KR 200412377 Y1 KR200412377 Y1 KR 200412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elt clip
plate
rotating shaft
irregula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중앙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티앤씨 filed Critical (주)중앙티앤씨
Priority to KR2020060000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3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2005/025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 A45F2005/026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with a holder or item rotatab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device, e.g. having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arment with a pin having an enlarged head detachably connected to a fastening device, e.g. to a pin receiving slo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이 장착되는 합성수지 케이스가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트 장착시 케이스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만족감을 구현하는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플레이트 고정용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그 중앙에 요철부로 이루어진 외주연과, 이 외주연의 끝단부가 판 상의 걸림판으로 확대되고 그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공간부를 갖는 돌출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이와 대응하는 벨트클립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과 그 전면부 하단으로 일정 공간의 포켓이 형성될 수 있게 가이드 레일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 하우징을 마련하되, 상기 하우징은 그 전면부 중앙을 회전축의 외주연 폭 만큼 절개한 후 마주하는 내측면에 회전축의 요철부와 대응하도록 한 쌍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각 요철부가 연성의 탄성력을 갖도록 요철부와 인접한 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걸림판이 포켓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중심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중심축을 가지며 벨트클립의 전면 패널을 ∪형태로 절개하여 전면을 향해 인출시킨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이 탄력 작동하여 중심축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경사진 작동편을 장홈에 끼우고 벨트클립 양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탄력적으로 승하강되는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케이스, 벨트클립, 회전축, 요철부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Belt clip for join of mobile phone case}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내부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결합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의 회전축이 간헐적으로 회전될 수 있음을 도시해 보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휴대폰 케이스에서 회전축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휴대폰 케이스와 회전축 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해 보인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케이스 11 : 가이드 레일
11a : 걸림턱 12 : 플레이트
12a : 스톱퍼 13 : 회전축
13a : 요철부 13b : 걸림판
13c : 중심 공간부 20 : 벨트클립
21 : 그립퍼 22 : 가이드 레일
23 : 포켓 24 : 하우징
24a : 요철부 25 : 공간부
26 : 작동편 26a : 중심축
27 : 노브 27a : 장홈
α : 높이차이 β : 탄성 거리폭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벨트클립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경질의 합성수지 케이스가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트 장착시에도 돌출된 휴대폰 케이스로 인한 착용상의 불편함과 사용상의 번거러움 해소를 위하여 케이스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만족감을 구현하는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필수품목이 되다시피한 휴대폰은 외형상의 변화추구와 몇 가지 유용한 기능상의 문제로 경질의 투명 혹은 불투명의 합성수지를 휴대폰의 외형에 적합하게 성형시킨 케이스를 별도로 마련하여 하나의 장식용 소품처럼 이를 휴대폰에 장착시키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충족을 만족시키고 있다.
휴대폰 케이스의 여러 유용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것 외에도 다른 국내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었거나 혹은 등록된 다양한 구조의 수많은 휴대폰 케이스를 참조하여 볼 때에 자명하다.
이와 함께 휴대폰용 벨트클립은 사용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된 채 휴대폰이 벨트클립의 홀더에 수납되어 안전하게 보관되거나 필요시 간편하게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허리벨트를 중심으로 장착된 홀더의 각도가 인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의 요입부재와 상기 요입부재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된 형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클립은 휴대폰 수납을 위해 별도의 구조를 갖추고 있는 홀더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이 홀더에 대부분의 휴대폰이 케이스에 장착된 채 수납되게 함으로써 벨트클립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함과 동시에 제작공정의 복잡과 그에 따른 비용의 추가적인 지출이 불가피한 관계로 생산자 입장에서 큰 부담이 되어 왔다.
아울러,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휴대폰에 밀착되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와 별도로 이를 또 다른 홀더에 수납시켜 보관시키므로 휴대폰이 이중적으로 보호된다는 측면보다는 중복적이어서 번거롭다는 느낌이 지배적이며, 무엇보다도 휴대폰의 수납 및 인출시나 혹은 각도 조절시에 휴대폰 케이스와 홀더와의 결합력이 약하여 홀더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원인은 케이스처럼 홀더가 휴대폰 자체를 긴밀하게 파지하고 있지 않음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벨트클립에서 별도의 홀더를 제거하고 이미 범용화되어 있는 휴대폰 케이스가 직접적으로 결합 분리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각도 조절까지도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안의 마련이 제작자 및 사용자를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는 실정 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종별로 그 형상 및 모양이 다른 케이스라 하여도 홀더를 갖추지 아니한 벨트클립과 상호간에 간편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는 간단한 취부구조를 채택하되, 상기 취부구조를 통해 케이스가 임의의 각도로 간헐적인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안출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플레이트 고정용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그 중앙에 요철부로 이루어진 외주연과, 이 외주연의 끝단부가 판 상의 걸림판으로 확대되고 그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공간부를 갖는 돌출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이와 대응하는 벨트클립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과 그 전면부 하단으로 일정 공간의 포켓이 형성될 수 있게 가이드 레일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 하우징을 마련하되, 상기 하우징은 그 전면부 중앙을 회전축의 외주연 폭 만큼 절개한 후 마주하는 내측면에 회전축의 요철부와 대응하도록 한 쌍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각 요철부가 연성의 탄성력을 갖도록 요철부와 인접한 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걸림판이 포켓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중심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중심축을 가지며 벨트클립의 전면 패널을 ∪형태로 절개하여 전면을 향해 인출시킨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이 탄력 작동하여 중심축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경사진 작동편을 장홈에 끼우고 벨트클립 양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탄력적으로 승하강되는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내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은 휴대폰 케이스(10)와 사용자 벨트에 고정되도록 한 벨트클립(20)이라는 2가지의 구성요소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휴대폰 케이스(10)는 주로 경질의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모델별 기종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사출 제작되어 휴대폰의 외관향상과 보호를 위해 장착되는 관계로 다양한 형상 및 모양을 유지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투명 혹은 불투명한 상태로 제작되므로, 본 고안에 적용되는 휴대폰 케이스(10)는 모든 휴대폰 케이스(10)가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특정한 형태 및 재질에 제한받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벨트클립(20) 역시 우수한 내구성의 소재로 사출 제작되며, 사용자의 허리벨트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힌지 결합된 채 탄력 작동하는 그립퍼(21)를 그 배면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외관과 기능성을 고려할 때에 그 크기는 휴대폰 케이스(10)보다 결코 크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휴대폰 케이스(10)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그 배면 일정위치에(주로 중앙부분에) 일체로 돌출된 형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을 형성시키고, 도 4의 부분 단면도에서와 같이 가이드 레일(11)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플레이트(12)를 마련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11)에서 플레이트(12)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2)의 일단을 돌출시킨 스톱퍼(12a)가 이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1)의 위치에 다소 낮게 형성된 걸림턱(11a)에 탄력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상기 스톱퍼(12a)가 걸림턱(11a)에서 이탈되어 플레이트(12)가 분리 가능할 수 있도록 배려된다.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의 배면 구조는 첨부된 도 5로 제시되는 다른 실시예도와 같은 형태로 스톱퍼(12a)와 걸림턱(11a)의 구조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변형은 단지 제작공정에서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단순한 상업상의 변형에 불과하다.
상기 플레이트(12)의 평면 중앙으로는 돌출된 형상의 회전축(13)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회전축(13)의 외주연은 균일한 형상의 요철부(13a)로 이루어지고, 끝단부로는 판 상의 외주연을 확대시킨 걸림판(13b)을 형성하며, 이러한 회전축(13)의 중심부로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 공간부(13c)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요철부(13a)는 전체적으로 각이 진 형태보다는 회전축(13)의 부드러운 좌우 회전을 위해 반원형태로 연속지게 만곡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휴대폰 케이스(10)는 이와 같은 회전축(13)을 통해 벨트클립(20)과의 결합이나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벨트클립(20)은 그 전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의 가이드 레일(22)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전면부 하단으로 회전축(13)이 끼워져 걸림판(13b)이 위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의 포켓(23)이 형성될 수 있게 가이드 레일(22)의 전면부 일단을 돌출 형성시킨 회전축 하우징(24)을 일체로 마련한다.
상기 회전축 하우징(24)은 첨부된 도 3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그 전면부 중앙을 선택하여 휴대폰 케이스(10)의 회전축(13)이 포켓(23)을 향해 걸림판(13b)이 위치되도록 한 후 하우징(24)의 위에서부터 끼워져 내삽된 채 회전될 수 있는 간격으로 하단을 반원형상태로 절개한 후 그 마주하는 내측면 좌우에 회전축(13)의 요철부(13a)와 대응하는 형태로(부드럽게 만곡진 형태로) 한 쌍의 요철부(24a)를 형성시키고, 이러한 각각의 요철부(24a)가 연성으로 탄력적으로 내몰입되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24a)와 인접된 하우징(24) 표면으로 충분한 탄성 거리폭을 확보하고 있는 공간부(25)를 형성시킨다.
또한, 벨트클립(20)의 전면 하단 즉 포켓(23)의 중심부로는 상기 회전축(13)의 끝단부 걸림판(13b) 중앙의 중심 공간부(13c)에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회전축(13)의 중심부를 지지해줌과 동시에 회전축(13)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돌출된 중심축(26a)을 갖는 작동편(26)이 벨트클립(20) 본체의 전면 패널을 좌우측과 하단부가 절개된 ∪형태로 전면을 향해 경사지게 인출되어 대기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작동편(26)을 상측에서부터 압박하여 이 작동편(26)이 탄력적으로 후진되거나 혹은 복원될 수 있도록 벨트클립(20)의 가이드 레일(22)에 슬라이드 삽지된 채 작동편(26)이 하단부 중앙의 장홈(27a)에 끼워지게 설치된 노브(27)가 위 치되어 있어 평상시 작동편(26)이 경사지게 전면을 향하고 있는 위치로 장홈(27a)이 들려져 벨트클립(20)의 상단위로 돌출되어 있는 노브(27)를 사용자가 눌러주게 되면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노브(27)가 하강하면서 장홈(27a)이 작동편(26)을 눌러 회전축(13)의 중심 공간부(13c)에서 작동편(26)의 중심축(26a)이 자연스럽게 빠져나와 회전축(13) 즉 휴대폰 케이스(10)가 벨트클립(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벨트클립(20)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의 휴대폰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휴대폰 케이스(10)의 배면 가이드 레일(11)에서 회전축(13)이 구비된 플레이트(12)를 이탈시킨 채 사용하며, 벨트클립(2)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당연 플레이트(12)를 가이드 레일(11)에 삽지시켜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해야 함은 당연하다.
휴대폰의 사용이 끝나고 이후 벨트클립(20)에 끼워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레이트(12) 중앙의 돌출된 회전축(13)을 걸림판(13b)이 포켓(23)의 작동편(26)을 향하게 하우징(24)의 내면에 위치시켜 절개된 중앙부에 자리잡은 회전축(13)이 그 외주연의 요철부(13a)와 하우징(24)의 요철부(24a)가 맞물리도록 휴대폰 케이스(10)를 하단으로 강하게 내리면 하우징(24)의 절개된 내측면 요철부(24a)가 인접된 공간부(25)로 인해 다소 뒤로 밀려지면서 회전축(13)이 끼워지고 다시 탄력적으로 복원되어 양 요철부(13a)(24a)가 긴밀하게 맞물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13) 끝단의 걸림판(13b)이 포켓(23)내에서 전면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작동편(26)의 중심축(26a)을 밀어내면서 삽입되므로 삽입이 완료 됨과 동시에 밀려진 작동편(26)의 중심축(26a)이 회전축(13)의 중심 공간부(13c)로 전진하여 끼워지므로 휴대폰 케이스(10)와 벨트클립(20)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10)의 각도변화가 필요할 경우에는 단지 휴대폰 케이스(10)만을 사용자가 파지한 채 원하는 각도로 돌려주게 되면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회전축(13)의 요철부(13a)가 이와 반원형의 상태로 맞물려진 상태의 하우징(24) 요철부(24a)를 각 요철부(13a)(24a)의 높이차이(α)만큼 밀어내면서 최소한의 마찰력으로 회전한 후 고정될 수 있는데, 회전축(13)의 중심 공간부(13c)에 끼워진 중심축(26a)으로 인해 정확한 회전중심이 유지될 수 있으며, 하우징(24)의 요철부(24a)는 인접된 공간부(25)의 탄성 거리폭(β)만큼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어 회전에 따른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휴대폰의 사용은 벨트클립(2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이어마이크폰을 통해 굳이 휴대폰을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시 휴대폰을 분리할 경우에는 벨트클립(20)상의 노브(27)를 눌러주면 작동편(26)의 중심축(26a)이 회전축(13)의 중심 공간부(13c)에서 빠져나오는 관계로 그 상태에서 결합시의 역동작을 취해 휴대폰 케이스(10)를 상측으로 올려주면 회전축(13)이 하우징(24) 요철부(24a)에서 간편하게 이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가 장착된 휴대폰이 벨트클립과 손쉽게 결합 분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의 각도 조절도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 으며, 그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간단함과 동시에 작동상의 신뢰도를 함께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을 찾아볼 수 있다.

Claims (1)

  1.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플레이트 고정용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그 중앙에 요철부로 이루어진 외주연과, 이 외주연의 끝단부가 판 상의 걸림판으로 확대되고 그 중심부에 길이 방향의 공간부를 갖는 돌출된 회전축을 포함하며;
    이와 대응하는 벨트클립의 전면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과 그 전면부 하단으로 일정 공간의 포켓이 형성될 수 있게 가이드 레일의 전면부 하단에 돌출 형성된 회전축 하우징을 마련하되, 상기 하우징은 그 전면부 중앙을 회전축의 외주연 폭 만큼 절개한 후 마주하는 내측면에 회전축의 요철부와 대응하도록 한 쌍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각 요철부가 연성의 탄성력을 갖도록 요철부와 인접한 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걸림판이 포켓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중심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중심축을 가지며 벨트클립의 전면 패널을 ∪형태로 절개하여 전면을 향해 인출시킨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이 탄력 작동하여 중심축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경사진 작동편을 장홈에 끼우고 벨트클립 양측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탄력적으로 승하강되는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KR2020060000566U 2006-01-05 2006-01-05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KR200412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566U KR200412377Y1 (ko) 2006-01-05 2006-01-05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566U KR200412377Y1 (ko) 2006-01-05 2006-01-05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377Y1 true KR200412377Y1 (ko) 2006-03-27

Family

ID=4176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566U KR200412377Y1 (ko) 2006-01-05 2006-01-05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3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61B1 (ko) 2007-03-30 2008-02-12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101910101B1 (ko) 2018-05-09 2018-10-23 장기웅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61B1 (ko) 2007-03-30 2008-02-12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101910101B1 (ko) 2018-05-09 2018-10-23 장기웅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288Y1 (ko) 휴대폰 장착용 벨트클립
KR101821784B1 (ko) 미닫이문용 덮개식 바닥레일
US8055005B2 (en) Bluetooth earphone and lanyard structure thereof
US20030103624A1 (en) Slip casing for mobile phone
KR200433238Y1 (ko) 벨트클립 장착용 휴대폰 케이스
KR20100006166U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12377Y1 (ko) 휴대폰 케이스 장착용 벨트클립
KR10059954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착탈형 클립 조립방법 및 착탈형 클립체결구조
JP2001204518A (ja) バックル付きバンド
USD595287S1 (en) Two-piece mobile telephone folio holder
JP3181827U (ja) 名刺入れ
KR100538869B1 (ko) 휴대폰 케이스용 홀더
CN103948217A (zh) 一种自动扣
CN211008094U (zh) 滑扣式铰链
CN111449379B (zh) 一种便于更换表带的智能手表
CA2472632C (en) Curtain holder
KR200355618Y1 (ko) 휴대폰 케이스용 홀더
KR200468073Y1 (ko) 키보드용 덮개
KR20110004381U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200433625Y1 (ko) 휴대폰 케이스
CN216534132U (zh) 一种腕带连接机构及穿戴设备
CN215378998U (zh) 支架及手机壳
TWM276701U (en) Correcting device with changeable tape cartridge
KR102429356B1 (ko) 펜홀더가 구비된 다이어리
USD533342S1 (en) Mobile phon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