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169Y1 - 선반지지구 - Google Patents

선반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169Y1
KR200411169Y1 KR2020050035392U KR20050035392U KR200411169Y1 KR 200411169 Y1 KR200411169 Y1 KR 200411169Y1 KR 2020050035392 U KR2020050035392 U KR 2020050035392U KR 20050035392 U KR20050035392 U KR 20050035392U KR 200411169 Y1 KR200411169 Y1 KR 200411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coupling hole
shelf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우
Original Assignee
(주)열린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린공간 filed Critical (주)열린공간
Priority to KR202005003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3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지지구에 의해 구성되는 선반의 폭에 관계없이 하나의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선반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재고가 쌓이게 되는 문제점과 물류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볼트체결부 일측에 더 연장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볼트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선반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선반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벽면 등에 입설된 지주체에 선반을 설치하는 선반지지구에 있어서, 장방형의 길이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상측에 통공된 제1결합공(11)과;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하측에 상기 제1결합공(1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제2결합공(12)과; 상기 몸체(10)의 타측단에 연장절곡되어 벽면 등에 입설되는 지주체의 걸이구멍에 몸체를 끼워고정하는 수단인 걸이부(13)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내측에 체결공(14)이 통공된 보조체결편(1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제2결합공(12)은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결합공(12)에 끼워져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에 요입부(12a)(12b)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요입부(12a)(12b)들은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몸체의 내측면에 통공된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별도의 선반지지볼트를 체결한 다음,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내측부로 선반을 내삽하여 선반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결합공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가 상기 선반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줌으로써 선반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선반의 폭에 관계없이 선반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하나의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선반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고의 부담이 사라지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제2결합공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요입부에 의해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선반의 두께에 관계없이 선반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체결편에 의해 선반의 지지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선반, 선반지지구, 선반지지체

Description

선반지지구{SUPPORTING TOOL OF SHELF}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선반지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및 결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에 의해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지지구의 구성요부인 선반지지볼트의 가변에 의해 두께가 얇은 선반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제1결합공
12 : 제2결합공 12a,12b ; 요입부
13 : 걸이부 14 : 체결공
15 : 보조체결편 16 : 고정볼트
본 고안은 벽면 등에 유리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지 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에 걸이구멍이 복수개 통공된 지주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선반지지구의 내면에 2개의 지지부재가 체결되는 제1구멍과 제2구멍을 통공하되, 이 제1구멍의 동일선상으로부터 상기 제2구멍이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통공하여 상기 2개의 구멍에 체결되는 지지부재의 사이에 유리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선반을 내삽하여 선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반의 길이에 관계없이 선반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구멍에 체결되는 지지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한 선반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반이 상부에 안착되는 선반지지구와 상기 선반지지구의 일측이 끼움 고정되는 걸이구멍이 복수개 통공된 지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체를 벽면 등에 먼저 입설하여 설치한 다음, 입설된 지주체에 복수개 통공된 걸이구멍에 선반지지구의 일측을 끼움 고정한 후, 상기 선반지지체의 상단부에 유리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선반을 올려 놓음으로써 선반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선반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반지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및 설치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선반지지구(1)는, 벽면 등에 입설되고 일면에 복수개의 걸이구멍(2a)이 통공된 지주체(2)의 상기 걸이구멍(2a)에 체결되는 걸이부(1a)가 일측에 하향지게 절곡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단에 안착되는 선반(3)의 전측부를 고정하여 선반이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돌기(1b)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체(2)를 벽면이나 또는 진열대 등과 같은 곳에 먼저 입설한 다음, 상기 지주체(2)의 일면에 복수개 통공된 걸이구멍(2a)에 상기 선반지지구(1)의 일측에 하향지게 절곡형성된 걸이부(1a)를 끼워 선반지지구를 지주체(2)에 결합한 다음, 상기 선반지지구(1)의 상단에 유리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선반(3)을 올려 놓음으로써 선반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된 선반(3)의 상단에 진열하고자 하는 물품이나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 등을 올려놓으면 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3)이 상단에 안착되는 선반지지구(1)의 타측에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스토퍼돌기(1b)가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선반(3)이 선반지지구(1)의 앞쪽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선반이 앞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반지지구(1)의 타측에 연장형성된 스토퍼돌기(1b)에 의해 상기 선반지지구(1)의 상단에 안착되는 선반(3)은 그 넓이가 상기 선반지지구(1)의 일측이 결합된 지주체(2)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선반지지구(1)의 타측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스토퍼돌기(1b)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넓은 선반을 선반지지구에 안착하여 선반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선반지지구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선반지지구를 사용하여 선반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선반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재들이 한정될 수 밖에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폭에 따라 선반의 폭에 맞는 길이를 갖는 선반지지구를 구입하여 선반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선반지지구의 재고가 항상 남게 되고 또한, 그에 따른 물류비용이 가중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 다.
뿐만 아니라, 선반을 지지하는 수단이 단순하게 선반지지구의 상단부에 상기 선반지지구의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스토퍼돌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지 때문에, 선반지지구의 상단에 안착되는 선반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선반지지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반지지구에 의해 구성되는 선반의 폭에 관계없이 하나의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선반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재고가 쌓이게 되는 문제점과 물류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볼트체결부 일측에 더 연장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볼트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선반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선반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벽면 등에 입설된 지주체에 선반을 설치하는 선반지지구에 있어서, 장방형의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 상측에 통공된 제1결합공과; 상기 몸체의 내측면 하측에 상기 제1결합공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제2결합공과; 상기 몸체의 타측단에 연장절곡되어 벽면 등에 입설되는 지주체의 걸이구멍에 몸체를 끼워고정하는 수단인 걸이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내측에 체결공이 통공된 보조체결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공은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에 요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요입부는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몸체의 내측면에 통공된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별도의 선반지지볼트를 체결한 다음,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내측부로 선반을 내삽하여 선반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결합공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가 상기 선반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줌으로써 선반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선반의 폭에 관계없이 선반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하나의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선반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고의 부담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제2결합공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요입부에 의해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선반의 두께에 관계없이 선반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체결편에 의해 선반의 지지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하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벽면 등에 입설된 지주체에 선반을 설치함에 있어서, 선반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장방형의 길이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상측에 통공된 제1결합공(11)과,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하측에 상기 제1결합공(1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제2결합공(12)과, 상기 몸체(10)의 타측단에 연장절곡되어 벽면 등에 입설되는 지주체의 걸이구멍에 몸체를 끼워고정하는 수단인 걸이부(13)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내측에 체결공(14)이 통공된 보조체결편(1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공(12)은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결합공(12)에 끼워져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에 요입부(12a)(12b)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요입부(12a)(12b)들은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통공된 제1결합공(11) 및 제2결합공(12)에는 선반이 지지되는 별도의 선반지지볼트(20)가 더 볼트체결되어 상기 제1결합공(11) 및 제2결합공(12)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부(13)를 벽면 등에 설치되어 입설된 지주체(30) 의 걸이구멍(31)에 끼워 선반지지구의 몸체(10)를 거치시킨 다음, 상기 몸체(10)의 제1결합공(11) 및 제2결합공(12)에 끼워진 2개의 선반지지볼트(20)(20) 내측으로 선반(40)을 내삽함으로써 선반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선반(40)은 상기 2개의 선반지지볼트(20)(20)에 의해 지지가 가능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1)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는 선반(40)의 상측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결합공(12)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는 선반(40)의 하측단을 지지함으로써, 선반(40)에 물품을 올려놓고 진열하거나 보관함에 전혀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선반지지볼트(20)(20)들의 내측으로 내삽되는 선반(40)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보조체결편(1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보조체결편(15)의 내측에 통공된 체결공(14)에 별도의 고정볼트(16)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볼트(16)를 돌리게 되면 고정볼트(16)의 상측단이 상기 선반(40)의 하단면에 밀접됨으로써 선반(4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견고하게 고정된 선반(40)의 상측면에 물품을 올려놓고 진열하거나 또는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40)이 2개의 선반지지볼트(20)(20)와 보조체결편(15)의 체결공(14)에 끼워지는 고정볼트(16)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선반(40)의 전측부가 아무런 장애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선반(40)의 폭 다시말해, 선반(40)의 전측부 길이에 관계없이 선반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선반지지구의 전측부에 선반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스토퍼가 상 측으로 돌설되어 있어 선반지지구의 상단에 안착되는 선반의 폭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선반을 지지하는 수단이 몸체(10)의 내측면에 각각 이격되고 일정높이차를 갖는 2개의 선반지지볼트(20)(20)들에 의해 지지가 가능함으로써, 선반의 길이나 폭에 관계없이 하나의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선반을 설치할 수 있어 재고부담이나 그에 따른 물류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제2결합공(12)이 상기 제2결합공(12)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고 일정높이차를 갖는 2개의 요입부(12a)(12b)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1결합공(11)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와 제2결합공(12)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의 내측에 내삽되는 선반(40)의 두께에 관계없이 선반의 설치가 가능하다.
즉, 선반(40)의 두께가 얇거나 또는 두꺼울 경우에, 상기 제2결합공(12)의 양측에 형성된 2개의 요입부(12a)(12b) 중 어느하나의 요입부(12a)(12b)에 선반지지볼트(20)를 체결함으로써, 제1결합공(11)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와 제2결합공(12)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부의 공간 폭을 줄이거나 또는 늘일 수 있기 때문에, 선반(40)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제1결합공(11)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와 제2결합공(12)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20)간의 공간 폭을 가변시켜 선반을 설치하면 된다.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선반지지구는, 몸체의 내측면에 통공된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별도의 선반지지볼트를 체결한 다음, 상기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에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내측부로 선반을 내삽하여 선반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결합공에 체결된 선반지지볼트가 상기 선반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줌으로써 선반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선반의 폭에 관계없이 선반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하나의 선반지지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선반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고의 부담이 사라지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제2결합공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요입부에 의해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선반의 두께에 관계없이 선반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보조체결편에 의해 선반의 지지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2)

  1. 벽면 등에 입설된 지주체에 선반을 설치하는 선반지지구에 있어서,
    장방형의 길이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상측에 통공된 제1결합공(11)과;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하측에 상기 제1결합공(1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공된 제2결합공(12)과;
    상기 몸체(10)의 타측단에 연장절곡되어 벽면 등에 입설되는 지주체의 걸이구멍에 몸체를 끼워고정하는 수단인 걸이부(13)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내측에 체결공(14)이 통공된 보조체결편(1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공(12)은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결합공(12)에 끼워져 체결되는 선반지지볼트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양측에 요입부(12a)(12b)가 각 각 형성되되,
    상기 요입부(12a)(12b)들은 서로 경사지게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지지구.
KR2020050035392U 2005-12-16 2005-12-16 선반지지구 KR200411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92U KR200411169Y1 (ko) 2005-12-16 2005-12-16 선반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92U KR200411169Y1 (ko) 2005-12-16 2005-12-16 선반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169Y1 true KR200411169Y1 (ko) 2006-03-10

Family

ID=4176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392U KR200411169Y1 (ko) 2005-12-16 2005-12-16 선반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7931A (zh) * 2016-06-08 2017-12-15 严能进 一种铝合金层板的结构
KR101843781B1 (ko) * 2017-05-11 2018-05-14 우드메가 주식회사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7931A (zh) * 2016-06-08 2017-12-15 严能进 一种铝合金层板的结构
KR101843781B1 (ko) * 2017-05-11 2018-05-14 우드메가 주식회사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0454B2 (en) Tool holder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US7104411B2 (en)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KR100562998B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KR200411169Y1 (ko) 선반지지구
US20040104324A1 (en) Symmetrically designed snap-on shelf
KR101124538B1 (ko) 연결형 선반틀 조립용 연결구
JP2020516228A (ja) 取り付け板組立体とその取り付け方法
EP1656049B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JP4388506B2 (ja) 棚板取付構造
WO2021161175A1 (en) Fastening element for a shelf
US8398183B2 (en) Hanging hook and modular storage furniture system
JP4355505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への棚の取付構造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417378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H0434751Y2 (ko)
KR102236574B1 (ko) 양측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선반구조물
JP6999921B2 (ja) 天井下地材補強構造
JP4133466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US20180231040A1 (en) Socket pipe connection and sales table with at least one socket pipe connection
KR101839547B1 (ko) 결합구조 및 지지구조가 개선된 안내판 걸이구
JP7209436B2 (ja) アラウンド型ショーケースの棚板取付構造
KR200365957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405016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20110003545U (ko) 조립성이 향상된 도로표지판용 행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