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753Y1 -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753Y1
KR200410753Y1 KR2020050036691U KR20050036691U KR200410753Y1 KR 200410753 Y1 KR200410753 Y1 KR 200410753Y1 KR 2020050036691 U KR2020050036691 U KR 2020050036691U KR 20050036691 U KR20050036691 U KR 20050036691U KR 200410753 Y1 KR200410753 Y1 KR 200410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vehicle
wi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Priority to KR2020050036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7Intermediate parts between battery post and cable end 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엔진룸에 적용되어 배터리의 전류흐름 및 전류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10)와; 상기 배터리(10)의 음극단자(13)에 그 일단이 설치되는 터미널(20)과; 상기 터미널(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터미널단자(30)와; 상기 터미널단자(30)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링(40)과; 상기 와이어링(4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차체(1)에 연결되는 접지단자(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와 접지의 사이에 검사부가 형성된 커넥터단자를 결합시켜 협소한 엔진룸에서 이-코스장비(E-COS)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흐름 및 전류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자동차, 와이어링, 배터리, 터미널, 접지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Battery earth apparatus for automobile}
도 1은 본 고안의 배터리 접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터미널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10 : 배터리
20 : 터미널 30 : 터미널단자
40 : 와이어링 50 : 접지단자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엔진룸에 적용되어 배터리의 전류흐름 및 전류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충전되어 차량의 전기가 필요한 곳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배터리의 음극단자부분에는 와이어링을 연결하고 연결된 와이어링은 자동차 차체의 일측에 접지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요즘의 자동차는 넓은 차실을 위해 엔진룸이 협소하게 제작되므로, 배터리와 차체 사이의 공간간격이 적어 와이어링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링을 설치하여도 배터리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이-코스장비가 검사할 공간이 협소하고, 와이어링의 두께가 두꺼워 검사자가 와이어링을 휘거나 구부리지 못해 검사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협소한 엔진룸에 적용되어 배터리의 전류흐름 및 전류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음극단자에 그 일단이 설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터미널단자와; 상기 터미 널단자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링과; 상기 와이어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단자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터미널의 볼트부에 너트에 의해 나사결합 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이-코스장비에 연결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의 일단을 압착하여 결합하는 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와 검사부는 자체적으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외측면을 따라 플렌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터리 접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터미널단자를 보인 사시도미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는 양극 및 음극단자(11)(13)를 갖는 배터리(10)가 자동차의 엔진룸(미도시)에 구비되고, 이 배터리(10)의 음극단자(13)에는 터미널(20)의 일단이 설치되며, 터미널(20)의 타단에는 터미널단자(30)의 일단이 결합되고, 터미널단자(30)의 타단에는 와이어링(40)의 일단이 결합되며, 와이어링(40)의 타단에는 자동차의 차체(1)에 연결되는 접지단자(50)가 연결된다.
여기서, 터미널(20)은 소정넓이의 터미널몸체(21)의 상부에 볼트부(23)가 형 성되어 있고, 터미널몸체(21)의 일측에는 볼트(22)와 너트(24)가 나사결합 되는 결속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속부(27)의 내부에는 배터리(10)의 음극단자(13)가 결속되는 결속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터미널(20)은 배터리(10)의 음극단자(13)에 끼워진 후 볼트(22)와 너트(24)를 조여 음극단자(13)에 튼튼히 결속된다.
그리고, 자동차 차체(1)의 일측에 접지홀(5)을 형성하고, 이 접지홀(5)에 지단자(50)를 일치시킨 후 볼트(2)와 너트(3)를 이용하여 접지단자(50)를 차체(1)에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단자(30)는 몸체(31)의 일단에는 체결부(33)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33)에는 터미널(20)의 볼트부(21)에 너트(23)에 의해 나사결합 되도록 삽입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33)의 일측에 연장되게 이-코스장비에 연결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검사부(35)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31)의 타측으로 와이어링(40)의 일단을 압착하여 결합하는 압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31)와 검사부(35)는 자체적으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외측면을 따라 플렌지(39)가 형성되되, 이 플렌지(39)는 체결부(33)의 일측까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렌지(39)는 터미널단자(30)의 외형을 유지하게 되고, 플렌지(39)는 체결부(33)의 일측까지 형성되어, 플렌지(39)의 일단은 스토퍼(32)의 역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터미널단자(30)는 체결부(33)가 터미널(20)에 결합될 때, 플렌지(39)의 일단인 스토퍼(32)가 터미널(20)의 측면에 걸리게 되어 볼트(22)와 너트(24)의 결합시 터미널단자(30)와 터미널(20)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터미널단자(30)의 검사부(35)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코스장비가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협소한 자동차의 엔짐룸에 설치된 배터리의 전류흐름 및 전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범주로 간주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와 접지의 사이에 검사부가 형성된 커넥터단자를 결합시켜 이-코스장비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흐름 및 전류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터리와 접지의 사이에 검사부가 형성된 커넥터단자를 배터리에 설치하여 엔진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에 구비되는 배터리(10)와;
    상기 배터리(10)의 음극단자(13)에 그 일단이 설치되는 터미널(20)과;
    상기 터미널(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터미널단자(30)와;
    상기 터미널단자(30)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는 와이어링(40)과;
    상기 와이어링(4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차체(1)에 연결되는 접지단자(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단자(30)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일단에 터미널(20)의 볼트부(21)에 너트(23)에 의해 나사결합 되도록 형성된 체결부(33)와;
    상기 체결부(33)의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이-코스장비에 연결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검사부(35)와;
    상기 검사부(35)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40)의 일단을 압착하여 결합하는 압착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와 검사부(35)는 자체적으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외측면을 따라 플렌지(3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KR2020050036691U 2005-12-28 2005-12-28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KR200410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91U KR200410753Y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91U KR200410753Y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753Y1 true KR200410753Y1 (ko) 2006-03-08

Family

ID=4176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691U KR200410753Y1 (ko) 2005-12-28 2005-12-28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7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6888A1 (en) Battery post connector
JP5813302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このバスバ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源装置
US8187038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159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US20080194152A1 (en) Battery post connector
CN104604017B (zh) 电池状态检测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919326B (zh) 具有测量电阻的测量装置
US11936013B2 (en) Cell contacting arrangement for an energy storage module
CN106226571A (zh) 一种组合式端子盒结构
US20140335744A1 (en) Round terminal fixation structure
DE102007018669A1 (de) Batteriepolmessklemme mit Schutzelement
KR200410753Y1 (ko) 자동차용 배터리 접지장치
US20170222282A1 (en) Battery diagnostic sensor unit
KR200481519Y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KR200428028Y1 (ko) 접지용 링 터미널 구조
KR20140008594A (ko) 클램프 터미널 및 클램프 터미널을 구비한 배터리 센서 모듈
KR101198834B1 (ko) 클램프 일체형 배터리 센서
KR10122274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음단자에 장착되는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7238058B1 (en) Grounding plug
KR20100079566A (ko) 단자 당김 검사기
CN213184652U (zh) 电缆接头及电池传感器组件
CN108701914B (zh) 接地端子
CN206114736U (zh) 应用于示波器上的一体式探头
JP3156003U (ja) 計測用端子構造
KR2010003594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전압센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