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38Y1 -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38Y1
KR200410538Y1 KR2020050028917U KR20050028917U KR200410538Y1 KR 200410538 Y1 KR200410538 Y1 KR 200410538Y1 KR 2020050028917 U KR2020050028917 U KR 2020050028917U KR 20050028917 U KR20050028917 U KR 20050028917U KR 200410538 Y1 KR200410538 Y1 KR 200410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vehicle
shoulder
addi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원
Original Assignee
이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원 filed Critical 이두원
Priority to KR2020050028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parking purposes
    • B60Q1/48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parking purposes for indicating intention to p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는 방향지시 조작레버(1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에서의 조작을 더욱 세분화하여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의 차선변경 이외에 갓길 또는 길가에 진행 차량의 정차방향 및 정차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도록 한다.
자동차, 정차, 방향지시

Description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car stop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차의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통하여 정차를 알리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방향지시 조작레버에 정차 누름버튼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차를 알리는 방향지시등을 자동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정차를 알리는 방향지시등을 자동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정차를 알리는 방향지시등의 램프 작동주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램프 작동주기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자동차 100 : 방향지시 조작레버
110 : 우측 방향지시 120 : 좌측 방향지시
130 : 우측정차 지시 140 : 좌측정차 지시
150 : 정차 누름버튼 160 : 정차지시등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도로에서 차선을 변경하여 갓길이나 길가에 정차하고자 할 때 후미 차량에 정차하려는 방향과 정차상황을 표시하도록 하여 도로의 원할의 차량진행과 아울러 차량의 접촉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향지시등이란, 차체의 네 구석 또는 측면에 붙인 황색·오렌지색의 램프를 운전자의 조작으로 점멸시켜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장치로써, 그 지시등의 등광색은 황색 또는 호박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방향지시등은 윙커(winker), 플래셔, 또는 턴시그널램프라고도 하며, 초기의 방향지시기는 크로스암식이었으나, 현재의 승용차는 대부분이 점멸식의 라이트로 되어 있다.
작동원리는 스위치에 의해 램프회로가 닫히면, 그 일부에 있는 바이메탈식의 개폐기가 작용하여 램프가 점멸한다.
이때, 전멸되는 램프의 작동주기는 도로교통법상 매분 60~120회로 제한되어 있다.
도로교통법에서는 운전자는 방향전환·횡단·회전·서행·정지 또는 후진을 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진로를 변경할 때는 손 또는 방향지시기나 등화 로서 그 행위가 끝날 때까지 신호를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그 신호를 하는 시기 및 신호방법에 대해서는 동법시행령 제16조에 명시하고 있다.
이렇게 차량이 각 차선으로 진행 중 갓길이나 길가로 차량을 차선 변경하여 잠시 정차하려 할 경우 차량의 내부의 핸들 좌측에 설치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방향조작레버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을 깜박이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른 차선에서 진행하는 차량의 양보 아래 갓길이나 길가로 정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은 초보운전자 또는 운전미숙으로 차선변경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방향지시등으로 차선을 변경할 때 차량의 접촉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차량이 단순한 차선 변경이 아닌 운전자가 도착하고자 하는 지명 또는 장소가 근접하여 급하게 다른 차선으로 진입하고 할 때나 갓길 또는 길가로 정차하기 위해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 차선에서 벗어나기를 원할 경우 방향지시등을 켠 후 차선 변경을 꾀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차선에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의 긴급함과 시급함을 알지 못하는 다른 차선의 차량은 차선양보를 쉽게 해주는 경향이 드물어 갓길이나 길가에 정차하기가 힘들었으며, 더불어 도착장소를 지나쳐 버리기가 쉬운 애로사항이 있었다.
이는 초보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에서 제일 어렵고 힘들어하는 부분이다.
물론, 차량에 긴급사항을 알리는 비상점멸등을 통하여 차량의 신속한 차선변경은 가능하나, 비상점멸등은 차량의 위급상태나 정차시에 필요한 비상등 일뿐 차 선이동중 차량의 갓길 또는 길가로 차선을 변경하기 위한 방향지시등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일방통행이나 1차선으로 구별되는 도로를 진행하다가, 앞 측의 차량이 길가나 갓길에 차를 정차하려 할 때, 통상의 운전자는 정차하려는 방향의 방향지시등을 켠 상태로 정차하게 된다. 이때 뒤 따르던 차량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앞 차량이 진입하려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 주차거리만 유지한 채로 진행하게 됨으로써, 앞차가 정차하고 나면 앞차를 따라 어쩔 수 없이 정차하게 되어 도로의 혼잡함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로에서 정차가 잦은 버스나 택시 등이 손님을 태우기 위해 급하게 갓길이나 길가로 정차하기 위해 무리한 차선변경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방향지시등만으로 차선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를 하게 됨으로써, 따라오는 뒷 차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차량과의 접촉사고를 촉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주행중인 차량이 길가나 갓길에 정차하기 위해 조작이 세분화된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통하여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의 차선변경 이외에 갓길 또는 길가에 진행 차량의 정차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차선변경시 도로의 진행상황이 원할하고 차량과의 접촉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 차선 변경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향지시 조작레버에 조작상황을 세분화하거나 방향지시 조작레버의 손잡이에 별도의 정차 누름버튼을 장착하거나 방향지시 조작레버의 회전 단수를 2단으로 하여 정차를 알리는 조작방법을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정차방향 및 정차상황을 보다 쉽게 알리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차지시등의 표시수단을 기본 방향지시등의 램프의 작동주기를 빠르게 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정차지시등을 설치하도록 하여 후미 차량에서 정차차량의 정차상황이나 정차 방향을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하여 차간거리를 안전하게 확보하도록 함과 아울러 방어운전을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 장치는 방향지시 조작레버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에서의 조작을 더욱 세분화하여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의 차선변경 이외에 갓길 또는 길가에 진행 차량의 정차를 알리기 위해 별도의 표시수단으로 차량의 정차를 알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차를 알리기 위한 방향지시 조작레버는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차선변경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단수의 1단인 우측방향지시와 좌측방향지시에서 다단의 2단으로 회전 가능한 우측정차 지시 및 좌측정차 지시를 추가하여 도로에서 갓길 또는 길가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후 미 차량에 정차방향이 식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정차를 알리기 위한 방향지시 조작레버는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차선변경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단수의 1단인 우측방향지시와 좌측방향지시에서 방향지시 조작레버의 손잡이 상단에 정차용 누름버튼을 장착하여 차량이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정차를 원할 경우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1단으로 실행한 다음 정차용 누름버튼을 눌러 도로에서 갓길 또는 길가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후미 차량에 정차 방향이 식별 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방향지시조작레버에 의해 정차를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면 차량의 방향지시등의 램프의 작동주기를 1분에 200 ~ 240번으로 깜박일 수 있도록 하여 후미 차량에 정차 방향이 식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방향지시조작레버에 의해 정차를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면 차량의 방향지시등 이외에 별도로 정차지시등을 설치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정차방향 및 정차를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프로젝션 리프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자동차의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통하여 정차를 알리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정차를 알리는 방향지시등을 자동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정차를 알리는 방향지시등의 램프 작동주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는 자동차(10)의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 조작레버(1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에서의 조작을 더욱 세분화하여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의 차선변경 이외에 갓길 또는 길가에 진행 차량의 정차방향 및 정차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차를 알리기 위한 방향지시 조작레버(100)는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차선변경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단수의 1단인 우측방향지시와 좌측방향지시에서 다단의 2단으로 우측 정차지시(130) 및 좌측 정차지시(140)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도로에서 갓길 또는 길가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후미 차량에 정차방향 및 상황을 식별 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정차를 알리기 위한 방향지시 조작레버(100)는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차선변경을 위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단수의 1단인 우측방향지시와 좌측방향지시에서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의 손잡이 상단에 정차 누름버튼(150)을 설치하여 차량이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정차를 원할 경우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1단으로 실행한 다음 정차 누름버튼(150)을 눌러 차량이 우측 정차지시(130) 및 좌측 정차지시(140)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에서 갓길 또는 길가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후미 차량에 정차 방향이 식별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에 의해 정차를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면 차 량의 방향지시등(170)의 램프의 작동주기를 1분에 200 ~ 240번으로 깜박일 수 있도록 하여 후미 차량에 정차 방향이 식별 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에 의해 정차를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면 차량의 방향지시등(170) 이외에 별도로 정차지시등(160)을 설치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정차방향 및 정차를 알리도록 한다.
여기서, 정차지시등(160)은 차량 후방의 번호판 상부에 화살표 모양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방향지시 조작레버의 정차 신호를 인가받아 깜박일 수 있도록 하여 정차방향 및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는 도로를 주행시 갓길이나 길가에 정차하고자 할 때나 도착하고자 하는 도착지가 근접하게 되면 방향지시 조작레버(100)를 1단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110,120)로 조작을 한 다음 2단의 우측정차지시(130) 또는 좌측정차 지시(140)로 한번 더 방향지시 조작레버(100)를 회전시켜 자동차(100) 정차의 상황이나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의 2단 조작법 이외에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의 손잡이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정차 누름버튼(150)를 통하여 차량이 정차의 상황이나 방향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차량의 정차 표시방법은 종래에 깜박이는 방향지시등(170)이 1분에 60~120회로 깜박이는 정차지시의 표시를 1분에 200~240번으로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방향지시등(170)을 깜박일 수 있도록 하여 차선변경에 따른 방향지시와 정차지 시를 보다 쉽게 구별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정차표시방법을 차량의 후방 번호판 상부에 화살표 모양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시킨 정차지시등(160)을 설치하여 정차방향 및 정차상황을 후미 차량에 보다 쉽고 편리하게 알리도록 한다.
이렇게 앞차가 정차지시등(160)을 통하여 정차를 알리면 후미 차량은 안전거리 확보와 방어운전으로 앞차가 갓길이나 길가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접촉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이 길가나 갓길에 정차하기 위해 조작이 세분화된 방향지시 조작레버를 통하여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의 차선변경 이외에 갓길 또는 길가에 진행 차량의 정차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차선변경시 도로의 진행상황이 원할하고 차량과의 접촉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는 기존 차선 변경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향지시 조작레버에 조작상황을 세분화하거나 방향지시 조작레버의 손잡이에 별도의 정차 누름버튼을 장착하거나 방향지시 조작레버의 회전 단수를 2단으로 하여 정차를 알리는 조작방법을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정차방향 및 정차상황을 보다 쉽게 알리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는 정차지시등의 표시수단을 기본 방향지시등의 램프의 작동주기를 빠르게 하도록 하거나 별도의 정차지시등을 설치하도록 하여 후미 차량에서 정차차량의 정차상황이나 정차 방향을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하여 차간거리를 안전하게 확보하도록 함과 아울러 방어운전을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정차를 알리기 위한 방향지시 조작레버(100)의 일측단에 누름버튼(150)을 형성시켜 누름버튼(150)의 인가 신호에 의해 차량의 후미 중앙에 화살표 형상을 대칭되게 형성시킨 정차지시등(160)에서 1분에 200~240번 작동주기로 깜박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050028917U 2005-10-11 2005-10-11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KR200410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917U KR200410538Y1 (ko) 2005-10-11 2005-10-11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917U KR200410538Y1 (ko) 2005-10-11 2005-10-11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03 Division 2005-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38Y1 true KR200410538Y1 (ko) 2006-03-09

Family

ID=4176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917U KR200410538Y1 (ko) 2005-10-11 2005-10-11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353A1 (ko) * 2011-04-14 2012-10-18 Na Ha Il 자동차의 운전상태 의사표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353A1 (ko) * 2011-04-14 2012-10-18 Na Ha Il 자동차의 운전상태 의사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1755A (en) Vehicular U-turn indicator
US6952162B2 (en) Multidirectional cluster lights for motor vehicles
KR10106799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후미등
KR200410538Y1 (ko) 자동차용 정차 알림장치
JP3193765U (ja) 車体前面にブレーキランプを有する自動車
US10807520B1 (en) Vehicle U-turn signal indicating system
KR100378365B1 (ko) 후진등과 방향 지시등을 이용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0305407Y1 (ko) 자동차의 유턴표시장치
KR102533487B1 (ko) 교통신호등 시스템
JPH0222338Y2 (ko)
JP2764448B2 (ja) 自動車の方向指示点滅装置
KR101140470B1 (ko) 자동차의 운전상태 의사표시 시스템
ES2253062B1 (es) Dispositivo para señalizacion de frenada en vehiculos.
KR200446396Y1 (ko) 차량의 유턴표시용 등화장치와 사고경고용 등화장치
KR20230164357A (ko) 자동차 방향 지시등
JPH0624271A (ja) 並進走行中の車両等への対向割込車、或は左折変向等の他の自動車等への警告装置
KR200212281Y1 (ko) 교차로 위험예지 교통신호등
JP3016809U (ja) 自動車の後部ランプ点滅装置
JP3073497U (ja) 自動車の点滅装置
JP3082907U (ja) 横断誘導点滅灯
KR100727350B1 (ko) 자동차의 비상등/방향지시등 제어방법
KR200253660Y1 (ko) 자동차 유턴 방향 표시등
WO2007025359A1 (en) Improvement in signal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20220142014A (ko) 비상등 작동 시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JP2003112570A (ja) 移動矢印灯インジケ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