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369Y1 - 배달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배달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369Y1
KR200410369Y1 KR2020050035619U KR20050035619U KR200410369Y1 KR 200410369 Y1 KR200410369 Y1 KR 200410369Y1 KR 2020050035619 U KR2020050035619 U KR 2020050035619U KR 20050035619 U KR20050035619 U KR 20050035619U KR 200410369 Y1 KR200410369 Y1 KR 200410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food
ho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호
Original Assignee
임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호 filed Critical 임흥호
Priority to KR2020050035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3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33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lling or other plastic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뚜껑의 중앙에 뜨거운 김이 빠져나가고 음식물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내측으로 볼록진 밀폐부를 형성하여 용기 내부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측에 손잡이를 더 연장형성하여 뚜껑과 용기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배달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뜨꺼운 김(증기)입자 만이 빠져나가도록 좁은 부피로 통공된 크로스형상의 통기홈(20)과; 상기 몸체(10) 하단 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진 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3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손잡이(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에 의하면, 재질이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 뚜껑이 접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고, 중앙에 통공된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을 통해 뜨거운 음식물로부터 방출되는 뜨거운 김(증기)만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중앙부가 볼록해지거나 하여 중앙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있다.
또한, 몸체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지게 형성된 밀폐부를 형성하여 뚜껑과 용기와의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용기의 외부로 음식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에 의해 뚜껑과 용기와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와 뚜껑과의 분리시에 음식물이 튀거나 쏟아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용기 뚜껑, 배달용기 뚜껑, 뚜껑

Description

배달용기 뚜껑{CAP FOR VESSEL}
도 1은,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이 용기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통기홈
30 : 밀폐부 40 : 손잡이
본 고안은 배달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재질을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고 중앙에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을 형성하며 또한, 내측에 볼록형상의 밀페부와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뜨거운 배달용기의 상부를 완전하게 밀폐하여 국물이나 음실물이 용기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뜨거운 음식물의 김이 통기홈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여 뚜껑의 중앙부가 부풀거나 또는 뚜껑의 중앙이 부풀어짐에 따라 뚜껑 이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배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달을 위주로 하는 중국음식점이나 분식점등의 간이음식점등에서는 통상 접시형태의 합성수지재 용기에 음식을 담아 수납하고 그 상부의 개구부에는 P,P 또는 P,E 등의 합성수지로 된 박막의 필름형태로 된 랩으로 덮어 용기의 하부에서 서로 밀착결합시켜 포장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근래에는 상기의 중국음식점 또는 분식점등의 간이음식점 이외에도 김치찌개나 혹은 된장찌개, 탕종류 등의 끓는 음식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등에서도 배달을 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갈수록 그 수를 더해가고 있다
이와 같이 배달시 흔들림에 따라 출렁이면서 외부로 넘쳐나는 국물의 비산을 방지하기위해 통상 간이음식점에서 사용하는 랩을 이용해 상부를 밀폐포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포장용 랩은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용기의 외주에서 그 형태대로 늘어나 수납공간의 상부는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포장되나 뜨거운 음식의 열에 의해 상기의 랩에 포함된 유해성분이 녹아 음식물에 혼합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어 배달용기에 포장용 랩의 사용은 크게 논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달용기는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용기가 뜨거운 음식물의 고온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그 상부에 덮어 씌어진 랩은 박막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외주와 상면에서 녹아 응집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이용자가 무심코 식음하는 경우 수저나 음식에 묻어 인체에 들어가 치명적인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달용기의 상부를 랩으로 씌워 포장할 경우에는,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랩에는 팽팽한 긴장력이 형성되고 용기의 주변에 위치된 랩은 긴장력이 해소됨으로써 용기의 주변에 위치되어 용기를 감싸고 있는 랩이 풀리거나 하여 국물이 배달하는 도중에 그대로 용기 밖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주변을 여러번에 걸치어 랩으로 씌워 포장하고 있는 바, 사용자가 음식을 먹고자 할 때 여러번에 걸치어 씌워진 랩을 벗겨내기가 용이하지 않고 랩을 벗겨내는 동안에 자칫 잘못에 의해 용기를 기울이거나 하여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랩을 이용하여 배달용기의 상부를 포장할 경우에, 뜨거운 음식물의 뜨거운 김(증기)에 의해 랩의 상부가 볼록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볼록해진 용기 상부의 랩이 찢어지거나 하여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랩의 상부가 볼록해질 경우에는 자체의 밀폐력이 저하되어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음식물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배달용기의 상부를 막는 포장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뚜껑의 중앙에 뜨거운 김이 빠져나가고 음식물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내측으로 볼록진 밀폐부를 형성하여 용기 내부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측에 손잡이를 더 연장형성하여 뚜껑과 용기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배달 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뜨꺼운 김(증기)입자 만이 빠져나가도록 좁은 부피로 통공된 크로스형상의 통기홈과; 상기 몸체 하단 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진 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손잡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재질이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 뚜껑이 접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고, 중앙에 통공된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을 통해 뜨거운 음식물로부터 방출되는 뜨거운 김(증기)만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중앙부가 볼록해지거나 하여 중앙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단 둘레부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지게 형성된 밀폐부를 형성하여 뚜껑과 용기와의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용기의 외부로 음식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에 의해 뚜껑과 용기와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와 뚜껑과의 분리시에 음식물이 튀거나 쏟아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이 용기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중국음식이나 분식 또는 기타의 배달음식을 담아 배달하는 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뜨꺼운 김(증기)입자 만이 빠져나가도록 좁은 부피로 통공된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20)과, 상기 몸체(10) 하단 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진 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3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손잡이(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되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50)의 상부에 덮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음식물이 닿거나 할 경우에도 음식물에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통공된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20)은, 용기(50)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의 국물입자는 통과되지 않고 다만, 뜨거운 음식물로부터 방출되는 뜨거운 김(증기)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용기와 뚜껑의 분리시에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의 빠져나감에 의해 발생되는 안 전사고 예를들어 국물이 튀거나 뜨거운 증기가 갑자기 방출되거나 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재질의 특성상 음식물의 뜨거운 김(증기)에 의해 중앙부가 볼록해져 그 부위가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에 의해 찢어지는 부분으로 음식물이 새어나오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상기 몸체(10)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지게 형성된 상기 밀폐부(30)에 의해 용기(50)와의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용기(50) 내부의 음식물이 새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상기 밀폐부(30)의 형상이 몸체(10)의 하단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되, 상기 몸체(10)의 하단 내측으로 볼록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50)의 상단면에 상기 볼록지게 형성된 밀폐부(30)가 완벽하게 밀접형성됨으로써, 용기(50)와의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용기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몸체(10)로부터 연장형성된 손잡이(40)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배달된 음식을 먹기 위해 용기(10)와 뚜껑을 분리할 때, 상기 손잡이(40)를 이용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다.
본 고안은 배달용기 뚜껑은 음식물을 배달할 때 사용되는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냉장고 보관용기나 기타의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데에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은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달용기 뚜껑에 의하면, 재질이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 뚜껑이 접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고, 중앙에 통공된 크로스 형상의 통기홈을 통해 뜨거운 음식물로부터 방출되는 뜨거운 김(증기)만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중앙부가 볼록해지거나 하여 중앙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있다.
또한, 몸체의 하단 둘레부를 따라 내측으로 볼록지게 형성된 밀폐부를 형성하여 뚜껑과 용기와의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용기의 외부로 음식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에 의해 뚜껑과 용기와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와 뚜껑과의 분리시에 음식물이 튀거나 쏟아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인체에 무해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중앙에 뜨꺼운 김(증기)입자 만이 빠져나가도록 좁은 부피로 통공된 크로스형상의 통기홈(20)과;
    상기 몸체(10) 하단 둘레면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진 형상으로 형성된 밀폐부(3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손잡이(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용기 뚜껑.
KR2020050035619U 2005-12-19 2005-12-19 배달용기 뚜껑 KR200410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19U KR200410369Y1 (ko) 2005-12-19 2005-12-19 배달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19U KR200410369Y1 (ko) 2005-12-19 2005-12-19 배달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369Y1 true KR200410369Y1 (ko) 2006-03-08

Family

ID=4176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19U KR200410369Y1 (ko) 2005-12-19 2005-12-19 배달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3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41B1 (ko) 2007-07-31 2008-02-29 석종철 용기의 절첩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41B1 (ko) 2007-07-31 2008-02-29 석종철 용기의 절첩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647A (en) Lid for container
US6844015B2 (en) Brew-in-the-cup disposable beverage assembly
RU2502655C2 (ru) Крышка
KR960037520A (ko) 입상 제품 밀봉 패키지용 간편 개봉 배기식 뚜껑
BRPI0608517A2 (pt) acondicionamento para produtos extemporáneos
JP3230118U (ja) 自己加熱容器
KR200410369Y1 (ko) 배달용기 뚜껑
RU2594858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1287776A (ja) 電子レンジ対応の包装容器
JPH10278975A (ja) 冷凍食品収納容器
KR20180120013A (ko) 즉석식품 포장 용기
JPH1095472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537957A (ja) 複数の収納部をもつ容器
JP2000072172A (ja) 簡易容器
KR101971896B1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JP2001122332A (ja) 流動食品入り溶着蓋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531044A (en) A device to release aroma attachable to a food or drink container or utensil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JP3203489U (ja) 二重コップ
JP3643336B2 (ja) 電子レンジ用加熱容器および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ならびにその再使用方法
JP2005082188A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容器
JPH06321248A (ja) 蓋体及び容器
JP4346146B2 (ja) 包装用容器
KR102665059B1 (ko) 식품 포장용기
JP2015089834A (ja) 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