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777Y1 -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 Google Patents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777Y1
KR200409777Y1 KR2020050029335U KR20050029335U KR200409777Y1 KR 200409777 Y1 KR200409777 Y1 KR 200409777Y1 KR 2020050029335 U KR2020050029335 U KR 2020050029335U KR 20050029335 U KR20050029335 U KR 20050029335U KR 200409777 Y1 KR200409777 Y1 KR 200409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ttern
coil
short coil
lea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옥상
Original Assignee
진옥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옥상 filed Critical 진옥상
Priority to KR2020050029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7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6Details of formers and pin terminals related to mounting on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일정 모양의 절연판 앞면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 A1 패턴과 인출단자 B1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뒷면에 인출단자 A1 위치에 인출단자 A2와 인출단자 B1위치에 인출단자 B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A2와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설치하고, 인출단자 A1과 인출단자 A2를 연결하는 관통 도체를 형성하고 인출단자 B1과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과, 기판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핀이 설치된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쇼트코일

Description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THIN SHOT COIL}
도 1a : 본 고안의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제1 예시도
도 1b : 본 고안의 쇼트코일의 앞면 도체 구성도
도 1c : 본 고안의 쇼트코일의 뒷면 도체 구성도
도 1d : 본 고안의 쇼트코일의 관통 도체 구성도
도 2a : 개선 전의 쇼트코일의 예시
도 2b : 개선 전의 고정핀이 형성된 쇼트코일의 예시
도 2c : 쇼트코일이 기판의 회로 도체에 설치된 예시도
도 2d : 회로기판의 도체에 설치된 쇼트코일에서 전자파가 소멸되는 개념도
도 3 : 고정핀이 부착된 본 고안의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제 2예시도
본 고안은 신호선로에 유기되어 전자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한 쇼트코일을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과거에 출원된 발명특허 10-2004-0042002(발명의 명칭: 전자파 노이즈 제거방법 및 그 장치)를 기반으로 부품화하는 고안 기술이다.
신호선로에 유기되어 전자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서 쇼트코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신호선로의 인출 단자 부근에 쇼트코일을 설치함으로서 선로에 유기된 전자파를 쇼트코일에서 흡수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쇼트코일은 도 2a와 같이 쇼트코일의 코일 끝 양단을 전기적인 쇼트상태로 하여 전자파 전류를 소멸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2b는 도 2a의 쇼트코일에 회로기판에 납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쇼트코일의 일부를 고정핀으로 사용한 고정핀이 설치된 쇼트코일이다.
도 2b의 고정핀이 설치된 쇼트코일은 도 2c와 같이 쇼트코일을 회로기판에 납땜함으로써 쇼트코일을 고정하는 목적과 코일을 쇼트 시키는 목적을 동시에 만족하는 형태로 사용한다. 이 쇼트코일이 회로기판에 장치되어 전자파가 소멸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 도 2d이다.
도 2d에서 인출단자로부터 들어오는 전자파를 쇼트코일이 흡수하여 소멸시킬 때 전자파의 쇼트전류가 쇼트코일로 흐르고 일부는 쇼트코일의 인출단자를 경유해서 회로기판의 패턴 회로선로로 유출된다. 이 유출된 전자파 전류는 소멸하지 않고 2차 전자파로 복사되어 다른 부품에 전자파를 유기시켜 노이즈의 원인으로 되며, 전자파 제거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선재만으로 코일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권선기 등을 이용하여 코일을 감고 권선기에서 코일을 빼낼 때 선재가 굵은 경우에는 변형 없이 쉽게 빠지게 되나, 선재가 가는 경우에는 변형되기 쉽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쇼트코일이 완성된 후 취급시에 코일이 변형되거나 손상되기 쉽고 보관 방법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빈을 사용한 쇼트코일은 보빈의 부피가 있어 실장시 면적이 필요하고, 코일을 감고 납땜하는 등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해서 양산성이 떨어진다.
삭제
쇼트코일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하고, 양산이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쉽고 제작 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며, 고정핀이 형성된 여러 가지 형태의 박막쇼트코일을 고안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 실시의 구성으로
도 1a에서
절연판 앞면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 A1 패턴과 인출단자 B1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뒷면에 인출단자 A1 위치에 인출단자 A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B1위치에 인출단자 B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A2와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인출단자 A1과 인출단자 A2를 연결하는 관통도체를 형성하고 인출단자 B1과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쇼트코일이다.
제2 실시의 구성으로
도 3에서
절연판 앞면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 A1 패턴과 인출단자 B1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뒷면에 인출단자 A1 위치에 인출단자 A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B1위치에 인출단자 B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A2와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인출단자 A1과 인출단자 A2를 연결하는 관통도체를 형성하고 인출단자 B1과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쇼트코일에서,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쇼트코일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다.
두깨가 얇은 맴브레인 필름, 연성기판, 얇은 기판 등에 인쇄방법 등에 의해서 앞면에 코일 패턴을 형성하고 뒷면에서 앞면의 코일 끝을 쇼트 시키는 연결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을 하면 일반적인 전자회로 기판(PCB)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양산을 할 수 있게 되고 제작된 쇼트코일의 부피가 작아 실장 면적이 작게 되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하다.
일정 모양의 절연판 앞면에 쇼트코일 패턴과 인출단자 A1과 인출단자 B1의 패턴을 도 1b와 같이 형성하고, 인출단자 A1 위치의 뒷면에 인출단자 A2를 형성하고 인출단자 B1 위치의 뒷면에 인출단자 B2를 형성하고 A2와 B2를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도 2c와 같이 형성하고, 앞면의 인출단자 A1과 뒷면의 인출단자 A2의 패턴 중심에 관통 홀을 뚫은 후에 도 2d와 같이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하며, 앞면의 인출단자 B1과 뒷면의 인출단자 B2의 패턴 중심에 관통 홀을 뚫은 후에 도 2d와 같이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인 접속을 하여 쇼트코일을 완성한다.
이 방법으로 쇼트코일을 제작하는 경우 절연판 위에 코일과 인출단자는 인쇄방법이나 부식방법으로 양면에 패턴 형성을 한 후, 인출단자 A1과 A2 또 B1과 B2를 레이져 가공기나 드릴 등으로 인출단자 패턴의 중심에 절연판을 관통하도록 구멍을 뚫은 후, 양면의 인출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금방법 등에 의해서 도체를 형성함으로서 자동화 및 양산화가 가능하다.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1a 의 양면패턴 구조의 쇼트코일을 전자제품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인출단자 또는 인출선에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외부선로에 유기된 전자파 신호가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쇼트코일에서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불필요한 전자파가 전자제품 내부에서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의 양면패턴 구조의 쇼트코일은 쇼트코일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상의 쇼트코일을 제작하는데 기본부품으로 사용된다.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3은 본 고안의 양면패턴 구조의 쇼트코일을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을 형성한 실시 예이다.
고정핀과 쇼트코일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쇼트코일에서 흡수되어 소멸 되는 전자파의 쇼트전류를 고정핀으로 유출되지 않음으로써 전자파 제거 효과가 높다.
이 고정핀이 형성된 양면패턴 구조의 쇼트코일을 전자제품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의 인출단자에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외부선로에 유기된 전자파 신호가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쇼트코일에서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불필요한 전자파가 전자제품 내부에서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 쇼트코일 제작시 자동화 및 양산화가 가능하다.
2. 코일의 부피가 적고 경량이며, 코일의 점유 면적이 적다.

Claims (2)

  1. 절연판 앞면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 A1 패턴과 인출단자 B1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뒷면에 인출단자 A1 위치에 인출단자 A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B1위치에 인출단자 B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A2와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인출단자 A1과 인출단자 A2를 연결하는 관통도체를 형성하고 인출단자 B1과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2. 절연판 앞면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 A1 패턴과 인출단자 B1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뒷면에 인출단자 A1 위치에 인출단자 A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B1위치에 인출단자 B2가 설치되고, 인출단자 A2와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인출단자 A1과 인출단자 A2를 연결하는 관통도체를 형성하고 인출단자 B1과 인출단자 B2를 연결하는 관통 도체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쇼트코일에서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KR2020050029335U 2005-10-14 2005-10-14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KR200409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35U KR200409777Y1 (ko) 2005-10-14 2005-10-14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35U KR200409777Y1 (ko) 2005-10-14 2005-10-14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246A Division KR20070041319A (ko) 2006-08-31 2006-08-31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777Y1 true KR200409777Y1 (ko) 2006-03-03

Family

ID=4176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335U KR200409777Y1 (ko) 2005-10-14 2005-10-14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7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1792A (en) Apparatus for moun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6512335B1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57788A (ja) プリント回路板及びそれを含むモータ
JP6278994B2 (ja) パワーフィルター
CN108701527B (zh) 电感器部件以及电感器部件的制造方法
US20170309390A1 (en) Filter inductor for heavy-current application
KR101187489B1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H08111610A (ja) アンテナ装置
KR200409777Y1 (ko)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JP2007281138A (ja) 配線基板
JP2005294975A (ja) ノイズフィルタ
KR20070041319A (ko)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JP2007311427A (ja)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074113A1 (en) Guide-connected contac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6927260B2 (ja) 非可逆回路素子
JP5973070B2 (ja) 回路アッセンブリ
KR200392883Y1 (ko) 일체화된 전자파 제거용 쇼트코일 1
KR200242753Y1 (ko) 버저
JP4465659B2 (ja) 非可逆回路素子
KR200392884Y1 (ko) 쇼트코일용 보빈 1
JP4655274B2 (ja) 非可逆回路素子
JP200234524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392885Y1 (ko) 박막 쇼트코일
KR20060100907A (ko) 박막 쇼트코일
US20170047158A1 (en) Magnetic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