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907A - 박막 쇼트코일 - Google Patents

박막 쇼트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907A
KR20060100907A KR1020050072684A KR20050072684A KR20060100907A KR 20060100907 A KR20060100907 A KR 20060100907A KR 1020050072684 A KR1020050072684 A KR 1020050072684A KR 20050072684 A KR20050072684 A KR 20050072684A KR 20060100907 A KR20060100907 A KR 2006010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il
lead
shap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옥상
Original Assignee
진옥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옥상 filed Critical 진옥상
Priority to KR102005007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907A/ko
Publication of KR2006010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1Active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Abstract

일정 모양의 절연판 위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A 패턴과 인출단자B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인출단자A의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 S를 형성하고, A1과 A2를 중심으로 절연판 S를 인출단자A 위로 접으며(모양1), B1과 B2를 중심으로 모양1의 인출단자A를 인출단자B와 맞닿도록 접고(모양2), 인출단자A와 인출단자B의 끝단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시킨다.
쇼트코일

Description

박막 쇼트코일{THIN SHOT COIL}
도 1a : 본 고안의 박막쇼트코일 전개도
도 1b : 본 고안의 박막쇼트코일 조립도
도 2a : 개선 전의 쇼트코일의 제1 예시
도 2b : 개선 전의 쇼트코일의 제2 예시
도 3a : 고정용 핀이 부착된 본 고안의 박막쇼트코일 전개도
도 3b : 고정용 핀이 부착된 본 고안의 박막쇼트코일 조립도
신호선로에 유기 되어 전자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서 쇼트코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신호선로의 인출 단자 부근에 쇼트코일을 설치함으로서 선로에 유기된 전자파를 쇼트코일에서 흡수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쇼트코일은 도2a와 같이 쇼트코일의 코일 끝 양단을 전기적인 쇼트상태로 하여 전자파 전류를 소멸시키도록 하고 있다.
선재만으로 코일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권선기 등을 이용하여 코일을 감고 권선기에 서 코일을 빼낼 때 선재가 굵은 경우에는 변형 없이 쉽게 빠지게 되나, 선재가 가는 경우에는 변형되기 쉽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쇼트코일이 완성된 후 취급시에 코일이 변형되거나 손상되기 쉽고 보관 방법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빈을 사용한 쇼트코일은 보빈의 부피가 있어 실장시 면적이 필요하고, 코일을 감고 납땜하는 등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해서 양산성이 떨어진다.
도 2b는 고정핀이 형성된 개선전의 쇼트코일의 예시이다.
쇼트코일의 실장 면적을 작게하고, 양산이 가능하도록 제작하기 쉽고 제작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며, 고정핀이 형성된 여러 가지 형태의 박막쇼트코일을 고안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박막 쇼트코일의 전개도이다.
일정 모양의 절연판 위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A 패턴과 인출단자B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인출단자A의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 S를 형성하고, A1과 A2를 중심으로 절연판 S를 인출단자A 위로 접으며(모양1), B1과 B2를 중심으로 모양1의 인출단자A를 인출단자B와 맞닿도록 접고(모양2), 인출단자A와 인출단자B의 끝단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시킨다. 이렇게 완성한 것이 도 1b이다.
두깨가 얇은 맴브레인 필름이나 연성 기판의 절연판 위에 코일과 인출단자 패턴을 형성하고 인출단자A 와 인출단자B를 전기적인 접속을 함으로써 쇼트코일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절연판 S는 인출단자A를 B1-B2를 중심으로 접을 때 코일 패턴과 쇼트하지 않도록 절연하는 기능을 한다.
이 방법으로 쇼트코일을 제작하는 경우 절연지 위에 코일과 인출단자는 인쇄방법이나 부식방법으로 하며, 밴딩을 하고 전기적인 접속은 스폿(SPOT)용접 등으로 함으로서 자동화 및 양산화가 가능하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박막쇼트코일을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을 형성한 실시 예이다.
일정 모양의 절연판 위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A3 패턴과 인출단자B3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인출단자A3의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 S3를 형성하고, A13과 A23를 중심으로 절연판 S3를 인출단자A3 위로 접으며(모양3), B13과 B23를 중심으로 모양3의 인출단자A3를 인출단자B3와 맞닿도록 접고(모양4), 인출단자A3와 인출단자B3의 끝단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시키며,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완성한 것이 도 3b이다.
1. 쇼트코일 제작시 자동화 및 양산화가 가능하다.
2. 코일의 부피가 적고 경량이며, 코일의 점유 면적이 적다.

Claims (2)

  1. 도1a에서
    일정 모양의 절연판 위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A 패턴과 인출단자B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인출단자A의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 S를 형성하고, A1과 A2를 중심으로 절연판 S를 인출단자A 위로 접으며(모양1), B1과 B2를 중심으로 모양1의 인출단자A를 인출단자B와 맞닿도록 접고(모양2), 인출단자A와 인출단자B의 끝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한 쇼트코일.
  2. 도 3a에서
    일정 모양의 절연판 위에 코일 패턴과 코일의 양 끝단에 인출단자A3 패턴과 인출단자B3 패턴으로 구성된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며, 인출단자A3의 도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 S3를 형성하고, A13과 A23를 중심으로 절연판 S3를 인출단자A3 위로 접으며(모양 3), B13과 B23를 중심으로 모양 3의 인출단자A3를 인출단자B3와 맞닿도록 접고(모양 4), 인출단자A3와 인출단자B3의 끝단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시키며, 기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쇼트코일.
KR1020050072684A 2005-08-09 2005-08-09 박막 쇼트코일 KR20060100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84A KR20060100907A (ko) 2005-08-09 2005-08-09 박막 쇼트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684A KR20060100907A (ko) 2005-08-09 2005-08-09 박막 쇼트코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737U Division KR200392885Y1 (ko) 2005-03-14 2005-03-14 박막 쇼트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907A true KR20060100907A (ko) 2006-09-21

Family

ID=3763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684A KR20060100907A (ko) 2005-08-09 2005-08-09 박막 쇼트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9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6666B2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US20110140823A1 (en) Transformer module
US10186764B2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device
JP6278994B2 (ja) パワーフィルター
JP2006066915A (ja) コア組立体および表面実装電子部品
EP4033131A1 (en) Resin molded solenoid coil and solenoid valve equipped therewith
US20090146768A1 (en) Magnetic device unit and fixing component thereof
US20140152411A1 (en)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69704B2 (en) Coil device
KR200392885Y1 (ko) 박막 쇼트코일
KR20060100907A (ko) 박막 쇼트코일
US20130113590A1 (en) Inductiv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05437B1 (ko) 권선형 인덕터 및 이의 제작 방법
JP5093893B2 (ja) チョークコイル
KR200465556Y1 (ko) 알루미늄 권선 인덕터
JP6200830B2 (ja) トランスモジュール
TWI664651B (zh) Coil package module
JP6977549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255621B2 (ja) 表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KR200409777Y1 (ko) 양면패턴 구조의 박막 쇼트코일
JP2008244116A (ja) フィルタ部品
JP2003243228A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574434Y2 (ja) コイル
JP2006344829A (ja) 巻線型チョークコイル
JP2022071555A (ja) コイ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