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570Y1 -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 Google Patents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570Y1
KR200409570Y1 KR2020050034931U KR20050034931U KR200409570Y1 KR 200409570 Y1 KR200409570 Y1 KR 200409570Y1 KR 2020050034931 U KR2020050034931 U KR 2020050034931U KR 20050034931 U KR20050034931 U KR 20050034931U KR 200409570 Y1 KR200409570 Y1 KR 200409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ox
board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웬푸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50034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폐 박스에 지폐가 있을 때 표시를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박스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슬롯, 지폐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폐 통로, 지폐 슬롯으로부터 먼 제1 지폐 통로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지폐 통로, 각각 삽입된 지폐를 지폐 슬롯으로부터 제1 지폐 통로를 통하여 제2 지폐 통로로 이동시키고 지폐 박스 내로 지폐를 밀기위한 컨베이어, 및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가진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으로 구성된다.
지폐박스,진정판독,위조

Description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BILL ACCEPTOR FOR MONEY EXCHANG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폐 수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 수납기의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폐 수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센서 구조를 도시한 본 고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의 리플렉터의 반사 부재의 반사 작용을 도시한 개요도
도 6은 지폐를 지폐 슬롯 내로 삽입할 때 지폐 수납기의 상태를 도시한 본 고안의 단면도
도 7은 제1 지폐 통로로 이동된 삽입된 지폐를 도시한 도 6의 유사도
도 8은 제2 지폐 통로로 이동된 삽입된 지폐를 도시한 도 6의 유사도
도 9는 컨베이어(Ⅰ)의 연결대의 작동을 도시한 본 고안의 개요도
도 10은 컨베이어(Ⅱ)의 연결대의 작동을 도시한 본 고안의 개요도
도 11은 컨베이어(Ⅲ)의 연결대의 작동을 도시한 본 고안의 개요도
도 12는 지폐 박스에 수용된 지폐의 작은 양을 도시한 본 고안의 일부 사시 도
도 13은 지폐 박스의 충진 상태를 도시한 도 12의 유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 2 : 지폐 박스
3 : 지폐 11 : 지폐 슬롯
12 : 판독 장치 13 : 센서
14 : 수용 챔버 15 : 컨베이어
16 : 검출기 21 : 상부 로드
22 : 유지 보드 23 : 스프링 부재
24 : 슬라이딩 바아 25 : 표시기
111 : 제1 지폐 통로 112 : 제2 지폐 통로
131 : 이미터 132 : 리시버
133 : 리플렉터 151 : 모터
152 : 전송 기어 트레인 153 : 전달 벨트
154 : 연결대 155 : 압력 보드
161 : 통공 162 : 센서 소자
221 : 블럭 222 : 바닥 연결 구멍
241 : 블럭 1331 : 반사 부재
1332 : 반사면 1521 : 캠샤프트
1541 : 슬라이딩 슬롯
본 고안은 화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지폐 박스에 지폐(들)가 있을 때 표시를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수송과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무점포 사업이 유행이 되고 있다. 오늘 날, 여러 자판기가 종업원없이 여러 물품을 팔려고 도처에서 사용되고 있다. 자판기의 사용은 공급자에게 새로운 판매 루트를 창조하고,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자판기는 화폐교환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용도의 화폐교환기는 삽입된 지폐의 진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판독 장치를 사용하는 지폐 수납기를 포함한다. 더욱이, 지폐 수납기는 지폐 박스의 충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카운터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지폐의 예상 양이 지폐 박스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를 설계하는 것은 복잡하다. 그러한 카운터의 유지 작업은 또한 복잡하다. 더욱이, 지폐 박스의 충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는 사용시 소정 주기 후에 쉽게 고장난다.
지폐 박스 검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설계에 따르면, 지폐 박스 검출 구조는 지폐 박스의 충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검출 수단을 사용한다. 솔레노이드 검출 수단은 지폐 박스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스위치, 및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대응하는 압력 보드에 장착된 자기 부재로 구성된다. 지폐 박스 검출 구조는 기능적이지만, 내구성이 약하게 되는데, 이는 자기 부재의 자기력이 지폐 박스 검출 구조의 사용으로 인하여 점차 약화되어, 결과적으로 센싱력이 감소되고 오류 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자판기의 지폐 수납기는 지폐 진정 판독, 절도 방지 작동, 화폐 리턴 작동, 및 코인/지폐 카운팅 작동을 제어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작업자는 지폐 박스가 비워 있는지를 또는 지폐박스를 오픈하기 전에는 알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폐 박스가 비어지면 표시기는 지폐 박스의 빈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하고 지폐가 지폐 박스에 수납되면 표시기가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존재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하게 하고, 지폐 박스가 지폐의 예정된 양을 수납한 후에 표시기가 지폐 박스의 충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하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의 일예로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박스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지폐 슬롯, 지폐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폐 통로, 지폐 슬롯으로부터 먼 제1 지폐 통로의 단부 로부터 연장된 제2 지폐 통로, 각각 삽입된 지폐를 지폐 슬롯으로부터 제1 지폐 통로를 통하여 제2 지폐 통로로 이동시키고 지폐 박스 내로 지폐를 밀기위한 컨베이어, 및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가진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의 다른 예로서,
컨베이어는 역전가능한 모터와, 각각 삽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슬롯으로부터 상기 제1 지폐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지폐 통로로 이송시키는 전달 벨트 수단, 및 상기 역전가능한 모터와 상기 전달 벨트 수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역전가능한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전달 벨트 수단을 회전시키는 전송 기어 트레인, 제2 지폐통로를 거쳐 지폐 박스 내로 그리고 로부터 압력 보드를 움직이며 압력보드에 연결된 연결대, 및 역전간으한 모터와 연결대 사이에 연결되며 역전가능한 모터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시 연결대를 왕복운동시키는 캠샤프트로 구성된다.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은 예정된 지폐 량이 상기 지폐 박스에 축적될 때 상기 화폐교환기로부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축적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의 다른 예로서,
지폐를 수납하고, 개구면 둘레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부 로드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유지 보드와, 상기 유지 보드를 지지하고 전방 압력을 상기 상부 로드쪽으로 상기 유지 보드를 배분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된 지폐 박스와,
지폐의 삽입을 위한 지폐 슬롯과, 상기 지폐로부터 상기 지폐 박스의 상기 유지 보드로 각각의 삽입된 지폐를 이동시키고, 각각의 수납된 지폐가 상기 유지 보드와 상기 지폐 박스의 상부 로드 사이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유지 보드 상으로 각각의 삽입된 지폐를 가압하고, 상기 지폐 박스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압력 보드로 구성된 컨베이어로 구성된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은 상기 지폐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폐 통로와, 상기 유지 보드와 상기 압력 보드 사이에 상기 지폐 박스의 개구면과 연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지폐 슬롯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1 지폐 통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지폐 통로, 및 상기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은 상기 지폐 슬롯과 상기 제1 지폐 통로 사이에 연결 구역 둘레에 세팅된 진정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슬롯 내로 삽입된 각각의 지폐의 진정성을 입증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압력 보드 아래에 위치하고 광을 발산하는 이미터와, 상기 압력 보드 아래에 위치하고 광을 수신하는 리시버, 및 상기 유지 보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터로부터 상기 리시버 상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폐 박스는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시버는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광을 받았을 때 상기 지폐 박스의 빈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표시기 수단을 구동하며, 상기 리시버는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을 받지 않을 때 상기 지폐 박스에 적어도 하나의 지폐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기 수단을 구동한다. 상기 검출기는 통공과, 복수개의 센서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지폐 박스는 상기 검출기의 상기 통공 내로 그리고 통공으 로부터 상기 유지 보드와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는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블럭은 상기 화폐교환기의 작동 동안 그리고 상기 지폐 박스가 상기 예정된 지폐양을 수납하기 전에 상기 센서 소자를 막으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상기 블럭은 상기 지폐 박스가 예정된 지폐양을 수납할 때 상기 센서 소자가 상기 화폐교환기로부터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검출기가 상기 통공으로부터 멀리 상기 유지 보드와 상기 슬라이딩 바아와 함께 이동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지폐수납기는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1) 및 지폐 박스(2)로 구성된다.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1)은 지폐가 삽입되는 지폐 슬롯(11)과, 수용 챔버(14)와, 지폐 슬롯(11)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폐 통로(111)와, 수용 챔버(14)와 연통된 제2 지폐 통로(112)와, 삽입된 지폐의 진정성을 판독하기 위하여 지폐 슬롯(11)과 제1 지폐 통로(111) 사이의 연결 구역 둘레에 세팅된 판독 장치(12)와, 제2 지폐 통로(1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지폐 통로(112)에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3)와, 제1 지폐 통로(111)와 제2 지폐 통로(112) 사이에 세팅되고 지폐 슬롯(11)으로부터 제2 지폐 통로(112)로 이동하기 위한 컨베이어(15), 및 검출기(16)로 구성된다.
지폐 컨베이어(15)는 모터(151)와, 상기 모터(151)에 연결된 전송 기어 트레인(152)과, 상기 전송 기어 트레인(152)에 연결된 2개의 전달 벨트(153)와, 상기 모터(151)에 연결된 캠샤프트(1521)와, 압력 보드(155), 및 상기 캠샤프트(1521)와 압력 보드(155) 사이에 연결되고 수용 챔버(14)로부터 그리고 내로 압력 보드(155)를 이동시키는 연결대(154)로 구성된다. 상기 캠샤프트(1521)는 연결대(154)에서 슬라이딩 슬롯(1541)을 통하여 삽입된 일단을 가진다(도 10 참조). 검출기(16)는 통공(161) 및 복수개의 센서 소자(162)로 구성된다.
지폐 박스(2)는 제2 지폐 통로(112)와 마주보는 개구면으로써 지폐 수용 및 진정 판독 유닛(1)의 수용 챔버(14)에 장착되며, 개구면 둘레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부 로드(21)와, 내부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한 평평 유지 보드(22)와, 평평 유지 보드(22)를 지폐 수용 및 진정 판독 유닛(1)의 압력 보드(155)와 상부 로드(21) 상부 쪽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평평 유지 보드(22)의 바닥면에서 바닥 연결 구멍(222)에 체결되며 내부 상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23), 및 유지 보드(22)와 함께 움직이기 위하여 유지 보드(22)의 일면에서 돌출 블럭(221)에 체결된 슬라이딩 바아(24)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딩 바아(24)는 검출기(16)의 통공(161)에 대응하는 블럭(241)을 가진다. 더욱이 표시기(25)는 지폐 박스(2)의 외부 상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센서(13)는 이미터(131), 리시버(132), 및 리플렉터(133)로 구성된다. 상기 리플렉터(133)는 복수개의 반사 부재 예를들어 2개의 반사 부재(1331)로 구성된다. 각각의 반사 부재(1331)는 반사면(1332)을 가진다. 제1 반사 부재(1331)의 반사면(1332)은 제2 반사 부재(1331)의 반사면(1332) 상으로 이미터(131)의 광을 반사하고, 제2 반사 부재(1331)의 반사면(1332)은 리시버(132) 상으로 광을 반사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폐(3)가 지폐박스(2)에 존재하지 않을 때, 리시버(132)는 리플렉터(133)에 의해서 이미터(131)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표시기(25)를 구동하여 지폐 박스(2)의 빈 상태의 표시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화폐 교환기는 작업하기 시작한다. 지폐(3)가 지폐 슬롯(11) 내로 삽입될 때, 진정 판독 장치(12)는 삽입된 지폐(3)의 진정성을 즉시 판독한다. 만약 삽입된 지폐(3)가 위조지폐이거나 진정성이 없다면, 컨베이어(15)는 삽입된 지폐(3)를 지폐 슬롯(11)으로 리턴시키도록 작동한다. 만약 삽입된 지폐(3)가 진정으로 판단되면, 컨베이어(15)는 삽입된 지폐(3)를 제1 지폐 통로(111)를 통하여 제2 지폐 통로(112)로 보내도록 작동한다. 이 때, 센서(13)의 이미터(131)는 삽입된 지폐(3)에 의해서 방해되고, 센서(13)의 리시버(132)는 어떠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그러므로 센서(13)는 표시기(25)에 신호를 보내고, 표시기(25)가 제2 지폐 통로(112)의 존재를 표시하는 대응 표시를 생성하도록 한다.
전술한 센서(13)는 제2 지폐 통로(112)에 있는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채택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3)는 광을 발산하는 이미터(131), 및 이미터(131)의 광을 수신하는 리시버(132)로 구성된다. 센서(13)는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는 다른 대안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1 및 도 7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지폐(3)가 지폐 슬롯(11) 내로 삽입되면, 지폐 컨베이어(15)의 모터(15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송 기어 트레인(152)이 전달 벨트(153)를 회전시키고, 제1 지폐 통로(111)로부터 제2 지폐 통로(112)로 삽입된 지폐(3)를 이동시킨다. 지폐(3)가 제2 지폐 통 로(112)로 이동된 후에, 모터(151)는 캠샤프트(1521)를 회전하도록 역전하고, 연결대(154)를 움직여서, 연결대(154)가 연장되고, 압력 보드(155)는 연결대(154)에 의해서 움직여서 지폐(3)가 스프링 부재(23)에 대해서 유지 보드(22) 쪽으로 제2 지폐 통로(112)로부터 가압한다. 지폐(3)가 지폐 박스(2) 내에 세팅된 후에, 모터(151)는 연결대(154)의 슬라이딩 슬롯(1541)에 대해서 캠샤프트(1521)를 구동하도록 역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연결대(154)가 연장된 위치로부터 수신 위치로 리턴하여, 압력 보드(155)를 이전 위치로 리턴시켜, 수납된 지폐(3)가 스프링 부재(23)의 스프링력의 효과로 인하여 지폐 박스(2)의 상부 로드(21)와 유지 보드(22) 사이에 정지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부재(23)는 나선 스프링이다. 다른 스프링 수단이 대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지폐 박스(2)의 슬라이딩 바아(24)는 검출기(16)의 통공(161) 내로 유지 보드(22)와 함께 이동될 때, 슬라이딩 바아(24)의 블럭(241)은 센서 소자(162)를 막는다. 이 때, 지폐 박스(2)는 지폐(3)로 충진되지 않고, 검출기(16)는 표시기(25)에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지폐(3)가 지폐 박스(2)로 계속해서 전달되지 않고, 유지보드(22)와 상부 로드(21) 사이에 정지되면, 유지 박스(2)에서 유지 보드(22)의 수직 위치는 비교적 낮게 된다. 지폐 박스(2)가 예정된 수의 지폐(3)를 수납한 후에, 슬라이딩 바아(24)는 통공(161)으로부터 이격되고, 센서 소자(162)는 표시기(25)에 신호를 보내도록 유도되고, 표시기(25)가 지폐 박스(2)의 충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한다. 이 때, 검출기(16)는 화폐 교환기로부터 전력을 차단시킨다. 작업자가 지폐 박스(2)로부터 저장 지폐(3)를 취하고 빈 지폐 박스(2)를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1)의 수용 챔버(14)내로 다시 넣은 후에, 표시기(16)는 지폐 박스(2)의 빈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하도록 유도되고, 전력은 화폐 교환기에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지폐 수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지폐 박스(2)가 비어지면, 센서(13)의 리시버(132)는 리플렉터(133)에 의해서 이미터(131)로부터 반사된 광을 받고, 리시버(132)는 표시기(25)와 화폐 교환기에 신호를 주고, 표시기(25)는 지폐 박스(2)의 빈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하고 화폐 교환기는 작동을 시작한다.
2. 지폐(3)가 지폐 박스(2)에 수납되면, 지폐(3)는 리플렉터(133)에 의해서 이미터(131)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도록 리시버(132)를 막고, 리시버(132)는 표시기(25)에 신호를 주고, 표시기(25)가 지폐 박스(2)에서 지폐(지폐들)(3)의 존재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한다.
3. 지폐(3)가 지폐 슬롯(11) 내로 삽입될 때, 지폐 컨베이어(15)의 모터(15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송 기어 트레인(152)을 구동하여 한 방향으로 전달 벨트(153)를 회전시켜, 전달 벨트(153)가 지폐 슬롯(153)으로부터 제1 지폐 통로(111)를 통하여 제2 지폐 통로(112)로 삽입된 지폐(3)를 이동시킨다. 삽입된 지폐(3)가 제2 지폐 통로(112)로 이동된 후에, 모터(151)는 캠샤프트(1521)를 회전시키도록 역전하고, 캠샤프트(1521)가 수납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연결대를(154)를 이동시키고, 압력 보드(155)는 지폐 박스(2)의 유지 보드(22) 쪽으로 제2 지폐 통로(112)로부터 지폐(3)를 보내게 한다.
4. 지폐 박스(2)가 지폐(3)의 예정된 양을 수납한 후에, 슬라이딩 바아(24)는 검출기(16)의 통공(161)으로부터 멀리 움직이게 되고, 검출기(16)의 센서 소자(162)는 표시기(25)로 신호를 주도록 유도되어, 표시기(25)가 지폐 박스(2)의 충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생성하게 된다.
지폐 수납기의 전형은 도 1 내지 도 13의 특징에 따라 제조된다. 지폐 수납기는 상술한 특징의 모든 것을 구비하도록 스므스하게 기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지폐를 수납하고, 개구면 둘레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부 로드와,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유지 보드와, 상기 유지 보드를 지지하고 전방 압력을 상기 상부 로드쪽으로 상기 유지 보드를 배분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된 지폐 박스와,
    지폐의 삽입을 위한 지폐 슬롯과, 상기 지폐로부터 상기 지폐 박스의 상기 유지 보드로 각각의 삽입된 지폐를 이동시키고, 각각의 수납된 지폐가 상기 유지 보드와 상기 지폐 박스의 상부 로드 사이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유지 보드 상으로 각각의 삽입된 지폐를 가압하고, 상기 지폐 박스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압력 보드로 구성된 컨베이어로 구성된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은 상기 지폐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제1 지폐 통로와, 상기 유지 보드와 상기 압력 보드 사이에 상기 지폐 박스의 개구면과 연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지폐 슬롯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1 지폐 통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지폐 통로, 및 상기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존재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은 상기 지폐 슬롯과 상기 제1 지폐 통로 사이에 연결 구역 둘레에 세팅된 진정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슬롯 내로 삽입된 각각의 지폐의 진정성을 입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압력 보드 아래에 위치하고 광을 발산하는 이미터와, 상기 압력 보드 아래에 위치하고 광을 수신하는 리시버, 및 상기 유지 보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터로부터 상기 리시버 상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박스는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리시버는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광을 받았을 때 상기 지폐 박스의 빈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표시기 수단을 구동하며, 상기 리시버는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광을 받지 않을 때 상기 지폐 박스에 적어도 하나의 지폐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기 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역전가능한 모터와, 각각 삽입된 지폐를 상기 지폐 슬롯으로부터 상기 제1 지폐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지폐 통로로 이송시키는 전달 벨트 수단, 및 상기 역전가능한 모터와 상기 전달 벨트 수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역전가능한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전달 벨트 수단을 회전시키는 전송 기어 트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수납 및 진정 판독 유닛은 예정된 지폐 량이 상기 지폐 박스에 축적될 때 상기 화폐교환기로부터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지폐 박스에서 지폐의 축적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기는 통공과, 복수개의 센서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지폐 박스는 상기 검출기의 상기 통공 내로 그리고 통공으로부터 상기 유지 보드와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는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블럭은 상기 화폐교환기의 작동 동안 그리고 상기 지폐 박스가 상기 예정된 지폐양을 수납하기 전에 상기 센서 소자를 막으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상기 블럭은 상기 지폐 박스가 예정된 지폐양을 수납할 때 상기 센서 소자가 상기 화폐교환기로부터 전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검출기가 상기 통공으로부터 멀리 상기 유지 보드와 상기 슬라이딩 바아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KR2020050034931U 2005-12-12 2005-12-12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KR200409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931U KR200409570Y1 (ko) 2005-12-12 2005-12-12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931U KR200409570Y1 (ko) 2005-12-12 2005-12-12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570Y1 true KR200409570Y1 (ko) 2006-02-22

Family

ID=4175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931U KR200409570Y1 (ko) 2005-12-12 2005-12-12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5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6313A (zh) * 2019-10-10 2019-12-24 维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臂及其多种货币配发流水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6313A (zh) * 2019-10-10 2019-12-24 维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臂及其多种货币配发流水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2344B1 (en) Bill handling apparatus
CN100562899C (zh) 纸币识别装置
AU2006227514A1 (en) Validator with recycling cassette and stacker
US20080116034A1 (en) Bill acceptor for money exchanging machine
TW201814663A (zh) 可利用距離與環境光線感測器檢知管道內硬幣之裝置
US5505439A (en) Bill processor
JP2001034815A (ja) カード発行装置
KR200409570Y1 (ko) 화폐 교환기용 지폐 수납기
US20080133382A1 (en) Merchandise Management System for Merchandise Discharge Device
EP1467325B1 (en) A condition detecting unit of a banknote storing unit
US6851540B2 (en) Paper currency collection detection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3738377A (en) Coin pay-out means for coin changers
JP2008299568A (ja) 硬貨収納管理装置
JP2006344196A (ja) Icカードデータ記録装置と、そのデータ記録方法
GB2433152A (en) Bill acceptor and storage box
KR101070588B1 (ko) 2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 카세트
US6641476B2 (en) Currency unit dispensing apparatus
JP4973545B2 (ja) 自動販売機
JPH0896087A (ja) カード読み取り装置
KR100450608B1 (ko) 무동력 자판기
ES1061982U (es) Dispositivo aceptador de billetes para maquina de cambio de dinero.
JP2567496Y2 (ja) 紙幣用スタッカ装置
KR200379134Y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공검지 시스템
JP2569505Y2 (ja) 紙幣搬送系における分納装置
JP3169387B2 (ja) 紙葉類の収納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