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243Y1 -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43Y1
KR200409243Y1 KR2020050034475U KR20050034475U KR200409243Y1 KR 200409243 Y1 KR200409243 Y1 KR 200409243Y1 KR 2020050034475 U KR2020050034475 U KR 2020050034475U KR 20050034475 U KR20050034475 U KR 20050034475U KR 200409243 Y1 KR200409243 Y1 KR 200409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ime
foreign matter
ro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신
Priority to KR2020050034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78Controlling or regulating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process or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컵 등과 같은 용기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원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제거한 후 용기 제품을 성형하게 함으로써 용기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신뢰성을 주기 위한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코팅 처리된 롤상의 원지를 풀어 용기 제품에 따라 그 폭을 재단하고 그 재단된 원지를 다시 롤상으로 감는 원지 재단공정에 있어서, 재단된 원지의 표면과 이면을 촬영하여 이미지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원지 촬영부와 재단된 원지가 롤상으로 감기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전송하기 위한 시간 측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그 시간 측정부와 원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서 이물질을 감지하여 그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용기, 원지, 카메라, 속도계, 퍼스널 컴퓨터, 재단기

Description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Apparatus for checking contaminant from paper for manufacturing container and Method for checking contaminant thereof}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서 원지 촬영부의 설치 상태 및 지름 대비 길이 환산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코팅 처리된 원지를 감은 롤 1a:코팅 처리된 원지
4:재단된 원지롤을 감은 롤 4a:재단된 원지
10:원지 촬영부 20:시간 측정부
30:제어부 30a:모니터
본 고안은 코팅 처리된 롤상의 원지를 풀어 예컨대, 종이컵, 컵라면 용기 등과 같은 용기 제품에 따라 그 폭을 재단하고 그 재단된 원지를 다시 롤상으로 감는 원지 재단공정으로부터 이물질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이물질 감지장치에 관한 것 으로, 특히 재단된 원지의 표면과 이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를 감지하여 그 이물질의 위치를 후속공정에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용기 제품의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도록 한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종이컵, 컵라면 용기, 접시 등과 같은 1회성 용기 제품은 원지의 표면을 코팅 처리하여 롤상으로 감고, 그 롤상의 코팅 처리된 원지를 다시 풀어 용기 제품에 따라 그 폭을 재단하고 다시 롤상으로 감은 후, 그 롤상의 재단된 원지를 풀어 인쇄, 펀칭, 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데, 그러나 원지를 코팅하거나 재단하는 공정 중에서 발생하는 오염 및 이물질 등이 그 후속 공정에서 감지되지 못하고 그대로 성형되어 용기 제품과 함께 출하됨으로써, 제품의 불량율을 증가시켜 소비자에게 품질의 불만을 주어 신뢰성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팅 처리된 원지의 재단공정에서 이물질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여 후속공정에 알려줌으로써 용기 제품의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켜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신뢰성을 주기 위한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지 재단공정에 있어서, 재단된 원지의 표면과 이면에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어, 롤상으로 감 기기 전 그 원지의 표면과 이면을 촬영한 이미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원지 촬영부; 상기 재단된 원지가 롤상으로 감기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시간 측정부 및 원지 촬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시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와 상기 원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물질이 감지되면 그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지 촬영부는 상기 재단된 원지의 폭을 따라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로부터 이물질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시점의 시간 신호를 상기 시간 측정부로부터 얻어 길이를 환산하고, 그 길이를 원지롤의 지름으로 환산하여 외부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부는 기 입력된 원지의 이동 속도(RPM;분당 이동거리(m))를 기초로 상기 시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를 길이로 환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서 원지 촬영부의 설치 상태 및 지름 대비 길이 환산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감지장치는 코팅 처리된 롤상(1)의 원지(1a)를 풀어 용기 제품에 따라 재단기(3)를 사용하여 그 폭을 재단하고 그 재단된 원지(4a)를 다시 롤상(4)으로 감는 원지 재단공정으로부터 원지(4a)에 있는 이물질을 감지하도록 된 장치인데, 그 장치는 상기 재단된 원지(4a)의 표면과 이면에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어 롤상(4)으로 감기기 전 그 원지(4a)의 표면과 이면을 촬영한 이미지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기 위한 원지 촬영부(10)와, 상기 재단된 원지(4a)가 롤상(4)으로 감기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하기 위한 시간 측정부(20)와, 상기 시간 측정부(20) 및 원지 촬영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시간 측정부(20)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와 상기 원지 촬영부(1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물질이 감지되면 그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지 촬영부(10)는 잘 알려진 기술의 FA(Factory Automation)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된 원지(4a)의 폭(W)을 따라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설치되어 그 원지(4a)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지 촬영부(10)는 촬영한 원지(4a)의 표면과 이면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30)가 인식가능한 신호로서 전송하는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원지 촬영부(1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에 따라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원지 촬영부(1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의 형태는 이물질의 존재여부에 따라 다른데, 상기 제어부 (30)는 그 신호의 형태들을 파악하여 원지(4a)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원지 촬영부(1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로부터 이물질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시점의 시간 신호를 상기 시간 측정부(20)로부터 얻어 길이를 환산하고, 그 길이를 원지롤(4)의 지름으로 환산하여 외부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기 입력된 원지(4a)의 이동 속도(RPM)를 기초로 상기 시간 측정부(20)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를 길이로 환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 속도는 코팅된 원지롤(1)에서 원지(1a)가 풀어져 재단된 다음 다시 재단된 원지롤(4)로 감기는 공정상의 속도를 말하며, RPM(revolution per minute)으로 표시되는데, 상기 제어부(30)에는 그 속도가 기 입력되어 있어 그 속도를 기초로 상기 시간 측정부(20)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를 길이로 환산한다. 여기서 1RPM은 1분당 1m 이동한 거리를 말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제어부(30)에는 재단 공정상의 속도가 400RPM(1분당 400m)으로 입력되어 있고, 상기 원지 촬영부(10)로부터 실시간 촬영되어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로부터 이물질을 감지한 시점이, 상기 시간 측정부(2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시간 신호를 감지한 결과 2.5분이라면, 상기 제어부(30)는 2.5분×400mm를 연산하여 1000m라는 길이로 환산한다. 그 1000m가 원지(4a) 상에서 이물질의 위치가 되는데, 재단된 원지(4a)가 다시 롤상(4)으로 감기는 시점으로부터 1000m되는 곳에 이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물질이 감지되고 그 위치가 산출된다 하여도 공정상에 서 빠르게 이동하는 상기 재단된 원지(4a)에 그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는 이물질의 위치를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입력된 지름 대비 길이 환산표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3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길이를 재단된 원지롤(4)의 지름으로 환산하여 이물질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위치한 곳이 길이로 1000m라면, 상기 제어부(30)는 그 길이 1000m를 기 입력된 지름 대비 길이 환산표와 비교하여 그 1000m가 롤상(4)으로 감겼을 때의 지름을 독출하는데, 도3의 밑줄 친 바와 같이 그 지름은 대략 ø533㎜가 되며, 그 지름이 재단이 완료된 원지(4a) 전부를 감은 롤상(4)에서 이물질의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이물질의 위치는 상기 제어부(30)의 모니터(30a)를 통해서 외부로 표시되며, 작업자는 그 모니터(30a)에 표시된 이물질의 위치를 자(scal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롤상(4)에 라벨이나 필기구 등을 사용하여 표시해 두면 되고, 그 후속공정에서 이물질이 위치한 원지(4a)를 커팅과 같은 방식으로 제거한 후 용기 제품을 성형하면, 이물질이 없는 품질이 우수한 용기 제품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팅 처리된 원지의 재단공정에서 이물질의 존재여부를 정확히 감지한 후 그 후속 공정에 알려줌으로써 용기 제품의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켜 소비자에게 고품질의 신뢰성을 주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재단된 원지의 표면과 이면에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어, 롤상으로 감기기 전 그 원지의 표면과 이면을 촬영한 이미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원지 촬영부;
    상기 재단된 원지가 롤상으로 감기는 시점부터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시간 측정부 및 원지 촬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시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와 상기 원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물질이 감지되면 그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 촬영부는 상기 재단된 원지의 폭을 따라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지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로부터 이물질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시점의 시간 신호를 상기 시간 측정부로부터 얻어 길이를 환산하고, 그 길이를 원지롤의 지름으로 환산하여 외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입력된 원지의 이동 속도(RPM;분당 이동거리(m))를 기초로 상기 시간 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신호를 길이로 환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KR2020050034475U 2005-12-07 2005-12-07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KR200409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475U KR200409243Y1 (ko) 2005-12-07 2005-12-07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475U KR200409243Y1 (ko) 2005-12-07 2005-12-07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460A Division KR20070059521A (ko) 2005-12-07 2005-12-07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및 그 이물질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43Y1 true KR200409243Y1 (ko) 2006-02-22

Family

ID=4175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475U KR200409243Y1 (ko) 2005-12-07 2005-12-07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2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26696A (zh) 包装袋次品剔除方法
JP5991258B2 (ja) ツードラムワインダ
KR102380626B1 (ko) 필름 에지 측정장치
KR200409243Y1 (ko)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KR20070059521A (ko) 용기 제조용 원지의 이물질 감지장치 및 그 이물질감지방법
EP2628576A1 (en) Method for precisely cutting to size tubes wound onto a spool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JP2017226526A (ja) スリッター装置ならびに幅方向位置ずれ異常検査装置および方法
US11078041B2 (en) Monitoring method for monitoring an unwinding process, unwinding device and unwinding system
US2024009407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cause of electrode connection and roll map generation system using same
JPH0830683B2 (ja) 製缶用金属コイル薄板の欠陥部の表示方法
KR20150087043A (ko) 케이블 꼬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CN111024720A (zh) 一种用于面料表面突起疵点的视触觉一体检测装置
CN209777783U (zh) 一种带卷放带装置
JP2004077436A (ja) 測長装置および塗布媒体製造装置
KR101786255B1 (ko) 열연다운코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1165765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불량 검사 및 표시 장치
JPH07257819A (ja) 長尺物の残量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US20180305158A1 (en) Method and Devices and System for Winding and Unwinding a Reel
JP2006044869A (ja) シート加工装置
JP3870313B2 (ja) 欠陥マーキングされたコイルの作業方法
CN214930879U (zh) 一种自动龙骨生产线胶带自动检测装置
JP6031830B2 (ja) シート加工製品製造システム
JP2000019127A (ja) ウエブ状素材の不良位置検査確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191913A (ja) 品質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443107B1 (ko) 코일 길이의 측정 오차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