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224Y1 -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 Google Patents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24Y1
KR200409224Y1 KR2020050034200U KR20050034200U KR200409224Y1 KR 200409224 Y1 KR200409224 Y1 KR 200409224Y1 KR 2020050034200 U KR2020050034200 U KR 2020050034200U KR 20050034200 U KR20050034200 U KR 20050034200U KR 200409224 Y1 KR200409224 Y1 KR 200409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ight emitting
vehicle
emitting element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이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돈 filed Critical 이상돈
Priority to KR2020050034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은: 통상의 소켓 몸체(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수단(12)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수단은 몸체(11)로부터 돌출되는 발광소자(15a,15b)와, 끝단이 상기 발광소자(15a,15b)에 인접되는 상태로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투명의 광유도 부재(16)로 이루어진다. 차 U용 컨넥터(13)는 몸체(11) 내의 소켓 및 조명수단(12)의 발광소자(15a,15b)에 동시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 소켓, 조명, 발광소자, LED, 광유도

Description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Car socket having an lighting mean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배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용 소켓 11. 몸체
12. 조명수단 13. 컨넥터
14a,14b,14c. 소켓 15a,15b. 발광램프
16. 광유도 부재 22. 요홈
본 고안은 차량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의 몸체 전면에 조명수단이 일체로 구비되어 전기 접속구로서 사용됨은 물론 차량 실내의 조명 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차량에는 하나의 전기소켓(소위 시거잭 소켓)이 제공되어 있으며,그 위치도 이미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다수 개의 전기용품을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량용 소켓, 유익하게는 다수의 소켓이 구비되어 있는 소위 멀티-소켓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한다. 한편, 실내의 조명을 위하여 별도의 조명장치가 구비되며, 이렇게 구비된 조명장치는 상기 멀티-소켓의 한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용 소켓과 조명장치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수요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차량용 소켓과 조명장치의 설치에 따른 배선상의 복잡성에 의하여 차량 실내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차량용 소켓과 조명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종래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용 소켓의 전면에 조명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소켓의 전면에 조명수단을 일체로 형성하고, 차량 용 소켓의 컨넥터를 통하여 발광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실내조명을 위하여 별도의 조명장치가 필요 없으며 또한 배선이 간결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차량용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켓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발광소자와, 끝단이 상기 발광소자에 인접되는 상태로 상기 몸체의 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투명의 광유도 부재로 이루어진 조명수단과; 상기 소켓 및 발광소자에 동시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 컨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소켓은 전기 접속구의 기능과 실내조명의 기능을 동시에 하므로, 차량 실내의 조명을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차량용 컨넥터는 소켓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선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의 특징과 효과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은 부호 10으로 나타낸다. 상기 차량용 소켓(10)은 몸체(11)와, 조명수단(12), 그리고 전원 컨넥터(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는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소켓(14a,14b,14c)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켓(14a,14b,14c)은 세 개로 구비되는 소위 멀티-소켓인 것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그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11)는 소켓(14a,14b,14c)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넥터(13)를 포함하여, 통상의 차량용 소켓과 다르지 않다.
상기 조명수단(12)은 발광소자(15a,15b)와, 투명의 광유도 부재(16)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15a,15b)는 몸체(1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역시 몸체(11)로부터 돌출 성형된 보호커버(17)에 의해 보호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소자(15a,15b)는 LED이며, 두 개로 구비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부호 18은 상기 발광소자(15a,15b)가 장착되는 인쇄회로 기판이다.
상기 광유도 부재(16)는 그 끝단이 발광소자(15a,15b)에 인접한 상태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발광소자(15a,15b)에서 발생된 빛은 광유도 부재(16)로 유도되고, 부재(16) 내를 진행하면서 외부로 발산된다. 바람직하게, 광유도 부재(16)는 양 끝단이 각 발광소자(15a,15b)에 인접하여 하나의 광회로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유도 부재(16)는 몸체(11)와 별도로 구비되며, 핀과 같은 접합수단(19)에 의하여 몸체(11)의 전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광유도 부재(16)의 고정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몸체(11)의 표면에는 광유도 부재(16)를 위한 안착홈(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광유도 부재(16)는 파손 방지를 위한 복수의 보강 리브(21)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유도 부재(16)의 저면은 몸체(11)에의 고정 편리성 및 안정성을 위하여 평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유도 부재(16)의 저면에는 진행하는 광의 굴절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요홈(22)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요홈(22)은 나선형이어도 좋다.
도 4를 참조하면, 컨넥터(13)로부터 인출된 전선은 소켓(14a) 및 인쇄회로기판(18)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컨넥터(13)를 통하여 인입된 전원은 몸체(11) 내의 소켓(14a,14b,14c) 및 조명수단(12)의 발광소자(15a,15b)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컨넥터(13)가 자동차의 전원에 연결되어 조명수단(12)의 발광소자(15a,15b)에 전원이 공급되면, 당연히 발광소자(15a,15b)에서 빛이 발생된다. 발생된 빛은 광유도 부재(16)를 진행하면서 외부로 발산된다. 이 때, 각 발광소자(15a,15b)에서 발생되어 진행하는 빛은 광유도 부재(16) 내에서 충돌을 야기되어,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밝은 빛으로 발산된다. 한편, 진행하는 빛의 일부는 상기 요홈(22)에서 굴절되어 표현됨에 따라, 발산되는 빛의 광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은 전기 접속구의 기능과 실내조명의 기능을 동시에 하므로, 차량 실내의 조명을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소자와 광유도 부재의 배치를 통하여 보다 상승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차량용 컨넥터는 소켓 뿐만 아니라 발광소자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소켓은 배선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소켓(14a,14b,14c)을 포함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발광소자(15a,15b)와, 끝단이 상기 발광소자(15a,15b)에 인접되는 상태로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투명의 광유도 부재(16)로 이루어진 조명수단(12)과;
    상기 소켓(14a,14b,14c) 및 발광소자(15a,15b)에 동시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 컨넥터(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5a,15b)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5a,15b)는 두 개로 구비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유도 부재(16)는 양 끝단이 각 발광소자(15a,15b)에 인접하여 하나의 광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소켓.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 부재(16)는 진행하는 광의 굴절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요홈(22)이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소켓.
KR2020050034200U 2005-12-05 2005-12-05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KR200409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00U KR200409224Y1 (ko) 2005-12-05 2005-12-05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00U KR200409224Y1 (ko) 2005-12-05 2005-12-05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24Y1 true KR200409224Y1 (ko) 2006-02-22

Family

ID=4175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200U KR200409224Y1 (ko) 2005-12-05 2005-12-05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885Y1 (ko) 2010-09-14 2012-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885Y1 (ko) 2010-09-14 2012-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739B1 (ko)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조명시스템
KR20130001060U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모듈의 전원 장치
ATE530384T1 (de) Fahrzeugminilampe
CN109070795B (zh) 具有多个照明功能的后信号设备
US20090103329A1 (en) Combination of electrical socket and night lamp
KR200409224Y1 (ko)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US20140126211A1 (en) Structure of christmas lamp
JP5700359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3150185U (ja) ライン状照明具
JP5938200B2 (ja) 直管形発光源内装ランプ、直管形発光源内装ランプ用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6316045B2 (ja) 照明器具
KR200459122Y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1018335B1 (ko) 분리형 led 전구
TW201437550A (zh) 直管型燈以及照明裝置
KR20170002265U (ko) 배선 일체형 led 조명 장치
KR200465943Y1 (ko) 리미트 스위치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US20130208470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device thereof
JP6598544B2 (ja) 照明制御用のセンサユニット及び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06237500A (ja) 発光装置
KR200493649Y1 (ko) 바 타입의 엘이디램프 연결용 커넥터
JP2020119868A (ja) 光源モジュール、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243408B2 (ja) ドライバとは別に配設される光源ヒートシンクを持つ照明装置
US20080198628A1 (en) Night light type switch assembly
JP2018120657A (ja) 照明用配線コードのクランプ構造及び照明装置
JP6414259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