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85Y1 -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885Y1
KR200461885Y1 KR2020100009663U KR20100009663U KR200461885Y1 KR 200461885 Y1 KR200461885 Y1 KR 200461885Y1 KR 2020100009663 U KR2020100009663 U KR 2020100009663U KR 20100009663 U KR20100009663 U KR 20100009663U KR 200461885 Y1 KR200461885 Y1 KR 200461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electric vehicle
charging socket
charging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28U (ko
Inventor
류강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9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88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충전용 커넥터가 삽입 결합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 및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이 통과되어 나가는 광투과성 소재의 발광부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홈부 주위를 밝게 함으로써 충전용 커넥터를 상기 홈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CHARGING SOCKET OF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데 필요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에 충전용 커넥터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전기 자동차는 1873년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래도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크며 운전하기가 쉬운 점 등이 있어 주로 여성용으로 미국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소량 생산되었다. 최근 공해문제가 심각해지면서 1990년대부터 다시 개발되었다.
최근 들어 고유가와 엄격해진 배기가스 규제 강화가 전기자동차 개발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시장 규모도 급성장 중이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보급에 따른 충전 인프라 관련 비즈니스를 둘러싼 경쟁도 빠르게 전개되고 있으며, 충전소도 크게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용 커넥터를 충전소켓에 연결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용 커넥터를 충전기에 연결하려고 하는 경우 충전 소켓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연결에 어려움이 많았다. 더욱이 충전용 커넥터는 기존 자동차의 주유기와는 다르게 충전용 커넥터 방향까지 맞추어야 하므로 밤에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는 연결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외부에 따로 조명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조명장치의 설치 비용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고, 조명장치의 설치 공간이 추가로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외부에 따로 조명장치를 마련하는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충전소켓 주위를 밝게 하여 충전용 커넥터를 충전소켓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충전용 커넥터가 삽입 결합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 및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이 통과되어 나가는 광투과성 소재의 발광부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의 상기 홈부는 원기둥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홈부에 인접한 상기 충전소켓의 외면에 상기 홈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의 상기 홈부는 원기둥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가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에 포함된 조명장치에 의해,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충전용 커넥터를 홈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은 조명장치가 홈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조명장치가 홈부 내부를 더욱 잘 비춰 충전용 커넥터를 홈부에 더욱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이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조명장치가 충전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보다 경제적이고 공간활용도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도 1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와 전기자동차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할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와 전기자동차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충전소켓(10) 사시도이다.
전기자동차는 연료로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가솔린 자동차를 이용할 때 주유소에서 가솔린을 주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기자동차도 충전소에서 전기를 충전하여야 한다. 충전할 때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충전용 커넥터(20)를 충전기(1)에 연결하여야 한다. 이 경우 낮과 같이 주위가 밝은 경우에는 충전용 커넥터(20)를 충전기(1)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밤에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 충전용 커넥터(20)를 충전기(1)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쉽지 않다. 이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문제점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1)의 충전소켓(10)으로서, 충전기(1)의 일면에 충전소켓(10)이 형성된다. 상기 충전소켓(10)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충전용 커넥터(20)가 삽입 결합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30)와 홈부(30)를 밝혀주는 조명장치(50)를 포함한다. 조명장치(50)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의 빛이 통과되어 나가는 광투과성 소재의 발광부(40)를 포함한다. 광원은 LED 등 다양한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소재는 예로서 광투과성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소켓(10)의 충전용 커넥터(20)가 결합되는 부분의 형상이 홈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충전소켓(10)의 충전용 커넥터(20)가 결합되는 부분은 충전용 커넥터(20)에 대응되게 형성되면 되는 것이므로 충전용 커넥터(20)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충전소켓(10)의 일면에 홈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충전소켓(10)의 홈부(30)는 상기 홈부(30)에 삽입 결합되는 즉 끼워지는 충전용 커넥터(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부(30)는 충전용 커넥터(20)의 단면이 원인 경우에는 원기둥 홈, 사각형은 경우에는 사각기둥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충전소켓(10)은 홈부(30)를 밝혀주는 조명장치(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명장치(50)를 켬으로써 홈부(30)를 밝게 하여 충전용 커넥터(20)를 홈부(30)에 쉽게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분인 충전소켓(1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충전소켓(10)이 도 2에서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충전소켓(1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충전기(1)에서 충전소켓(10)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충전소켓(1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홈부(30)는 상기 형상들 중에서 원기둥 모양의 홈 형상인 경우이다. 그리고, 조명장치(50)는 상기 홈부(30)에 인접한 충전소켓(10)의 외면에 홈부(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충전용 커넥터(20)가 단면이 원인 경우로서, 이에 대응하여 홈부(30)는 원기둥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명장치(50)는 홈부(30)에 인접한 충전소켓(10)의 외면에 형성되되, 충전용 커넥터(2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홈부(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조명장치(5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밤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용 커넥터(20)를 홈부(30)에 삽입 결합시키는 경우 조명장치(50)를 켜 홈부(30) 주위를 밝게 함으로써 충전용 커넥터(20)를 쉽게 홈부(30)에 끼울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조명장치(50)의 위치상 홈부(30) 내부보다는 홈부(30)의 외부를 더 밝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개념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50)가 상기 홈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개념은 도 3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10) 사시도에 도시된다. 상기의 일실시예에서는 조명장치(50)가 홈부(30)에 인접한 충전소켓(10)의 외면에 형성됨에 반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명장치(50)가 원기둥 홈 형상인 홈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조명장치(50)를 켜면 홈부(30) 내부를 밝게 하여 충전용 커넥터(20)를 보다 쉽게 끼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조명장치(5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홈부(30)의 내주면에 내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발광부(40)뿐만 아니라 충전소켓(10) 전체를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하여 조명장치(50)의 빛이 더 넓은 범위에서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홈부(30)를 더 잘 비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개념에 따라 조명장치를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조명장치가 충전소켓의 일부분으로 즉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의 또 다른 개념에 따른 조명장치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충전소켓에 조명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장치는 충전소켓 홈부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중공된 링 형상의 케이스와 내부에 마련된 LED 등의 광원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는 빛이 통과되도록 내주면 또는 전체가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소켓의 홈부에 인접한 충전소켓 외면에 홈부 둘레와 케이스의 내주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조명장치는 충전소켓의 홈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명장치를 켜면 전체적으로 빛을 발해 홈부 주위를 밝힘으로써, 충전용 커넥터의 충전소켓 홈부에의 삽입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낮에 또는 밝은 곳에서는 조명장치(50)를 켜둘 필요성이 적으므로, 본 고안의 충전기(1)는 조명장치(50)를 온, 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위 밝기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및 주위 밝기의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50)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충전기 10 ... 충전소켓
20 ... 충전용 커넥터 30 ... 홈부
40 ... 발광부 50 ... 조명장치

Claims (3)

  1.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데 필요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충전용 커넥터가 삽입 결합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 및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이 통과되어 나가는 광투과성 소재의 발광부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원기둥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홈부에 인접한 상기 충전소켓의 외면에 상기 홈부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홈부를 가지는 충전소켓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장치의 빛이 상기 충전소켓 전체가 빛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2. 삭제
  3. 삭제
KR2020100009663U 2010-09-14 2010-09-14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KR200461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63U KR200461885Y1 (ko) 2010-09-14 2010-09-14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63U KR200461885Y1 (ko) 2010-09-14 2010-09-14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28U KR20120002128U (ko) 2012-03-23
KR200461885Y1 true KR200461885Y1 (ko) 2012-08-10

Family

ID=4617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663U KR200461885Y1 (ko) 2010-09-14 2010-09-14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8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71Y1 (ko) * 2001-03-16 2001-10-08 이서연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KR200380849Y1 (ko) 2005-01-20 2005-04-08 하나테크 주식회사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진단커넥터
KR200409224Y1 (ko) 2005-12-05 2006-02-22 이상돈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JP2010061506A (ja) 2008-09-05 2010-03-18 Denso Corp 車両の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71Y1 (ko) * 2001-03-16 2001-10-08 이서연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KR200380849Y1 (ko) 2005-01-20 2005-04-08 하나테크 주식회사 조명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진단커넥터
KR200409224Y1 (ko) 2005-12-05 2006-02-22 이상돈 조명수단을 갖는 차량용 소켓
JP2010061506A (ja) 2008-09-05 2010-03-18 Denso Corp 車両の充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28U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7063B (zh) 用于对电动交通工具(ev)或混合动力电动交通工具(hev)的电池充电的交通工具插孔
US8905612B2 (en) Lighting structure of charging connector
CN111717023B (zh) 用于插入机动车辆的车身开口中的充电或加油凹口
KR200461885Y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기의 충전소켓
CN201129655Y (zh) 汽车发动机维修灯
GB2510124A (en) Electric vehicle with externally visible charging indication
KR102328473B1 (ko) 전기 충전기능을 갖는 친환경 스마트 가로등
CN204097906U (zh) 一种停车地坪指示装置
KR101039170B1 (ko) 정류장용 조명장치
CN104195968A (zh) 一种停车地坪指示装置
CN205092609U (zh) 一种节能简易充电桩
CN203656768U (zh) 汽车车顶led照明装置
CN203305891U (zh) 车门开启预警系统
CN202561624U (zh) 一种设有导光管的汽车日间行车灯
CN202579006U (zh) 光电式自动电子点火系统
US9931934B2 (en) Vehicular pointer-type residual quantity meter
CN206157604U (zh) 一种道路警示桩
CN205118858U (zh) 汽车尾灯
CN203255041U (zh) 一种汽车前舱盖
CN203332225U (zh) 一种汽车前舱装置
CN202629918U (zh) 筒灯反射罩
CN218569425U (zh) 一种充电小门充电指示灯结构
CN202091793U (zh) 一种手电筒式高强度紫外线灯
JP2008133665A (ja) 道路標識コーン
KR20130117170A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