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010Y1 -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010Y1
KR200409010Y1 KR2020050034077U KR20050034077U KR200409010Y1 KR 200409010 Y1 KR200409010 Y1 KR 200409010Y1 KR 2020050034077 U KR2020050034077 U KR 2020050034077U KR 20050034077 U KR20050034077 U KR 20050034077U KR 200409010 Y1 KR200409010 Y1 KR 200409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ver
toilet seat
toile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상
이목성
Original Assignee
(주) 대영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영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 대영프론테크
Priority to KR2020050034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커버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변좌커버의 회전 축부(21)가 점성 오일이 채워진 포트(2) 내에서 회전 제어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축부(21)에는 아암(28)을 설치하고, 아암(28)과 상기한 포트(2) 내벽 사이에는 선회 가능한 블레이드(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아암(28)에는 오목한 선회홈부(24)가 형성되어, 이 선회홈부(24)가 선회 기준점이 되게 블레이드(1)를 설치하며, 블레이드(1)의 저면부(26)에는 게이트통공(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블레이드(1)는 포트(2)의 내벽에서 안쪽 방향으로 굽혀지는 굽힘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오일의 점도는 5만 -15만cp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기, 변기커버, 회전장치

Description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rotation control apparatus of stool cover}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주요부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블레이드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변기커버와 변좌커버에 각각 회전제어 장치가 설치됨을 예시하는 도면
도 5 은 종래의 변좌커버의 급격한 하강을 예시하는 도면
본 고안은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변기의 커버 회전축 부위에 완충장치를 주어 커버가 부드럽게 열리고 부드럽게 닫히게 하는 변기커버의 완충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구성의 한 예로, 회전부의 공간에 일부는 공기가 차 있고 일부는 약 50-70만cp 정도의 고점도의 실리콘 오일을 채워, 이 공간에서 축이 회전하므로 오일의 끈적한 끈적한 점도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커버의 회전이 부드럽게 하는 장치가 있다
이런 종래의 경우, 변기커버나 변좌커버를 들어 올릴때 실리콘 오일의 점성때문에 힘이 많이 들고 또한 닫혀질때 즉, 이들이 내려갈때 떨림이 발생한다. 다시말해, 완충장치 내부 공간에는 고점도의 오일이 부분적으로 차 있어서 회전시 그 오일의 마찰력을 이기고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일부 공간에 차 있는 에어가 오일에 혼입되어 "드드득" 하고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 작동상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변기커버나 변좌커버를 올릴때, 점도 높은 오일의 마찰력을 이기고 상승하여야 하므로 부하가 크게 걸려 힘이 많이 드는 단점도 있다
또한 변기 커버나 변좌커버를 일정 높이로 들었다가 놓으면 토오크가 걸리지 않아 부하없이 급격히 떨어져 변기와 부딪치는 소리가 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모든 단점을 극복하도록 고안한 것으로, 오일 수용공간인 오일포트 내에 점성이 낮은 다시말해, 흐름(유동성)이 좋은 오일을 충분히 채워 블레이드와 포트의 내벽 사이로 오일이 후방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백플로우 되는 유량에 의하여 부드러운 댐핑(완충) 효과를 발생하게 하였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한 모든 단점을 극복하고 변기커버 및 변좌커버의 회동 속도를 향상시켰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변기커버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변좌커버의 회전 축부(21)가 점성 오일이 채워진 포트(2) 내에서 회전 제어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축부(21)에는 아암(28)을 설치하고, 아암(28)과 상기한 포트 (2) 내벽 사이에는 선회 가능한 블레이드(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아암(28)에는 오목한 선회홈부(24)가 형성되어, 이 선회홈부(24)가 선회 기준점이 되게 블레이드(1)를 설치하며, 블레이드(1)의 저면부(26)에는 게이트통공(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블레이드(1)는 포트(2)의 내벽에서 안쪽 방향으로 굽혀지는 굽힘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오일의 점도는 5만 내지 15만 cp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본 고안은 저점도의 댐핑 오일을 이용하여 그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구조로 만들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변기나 변좌 커버(12)의 회전 축부(21)에 블레이드(1)를 형성하였다, 블레이드(1)는 고정된 포트(2) 내에 설치되며, 그 재질은 예를들어 내마모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다. 축부(21)는 변기커버 또는 변좌커버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블레이드(1)는 도 2 에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홈부(24)를 기점으로 움직인다. 즉, 선회홈부(24)가 회전축의 지점이 되어 블레이드(1)가 선회된다.
포트(2) 내부 공간 전체에는 점성 오일(11)이 채워진다. 오일의 점도는 5만 내지 15만 cp (1g/cm·s를 1poise(푸아즈)라고 하며, 푸아즈의 100분의 1을 centi-poise(cP)라고 함. 즉 1 poise =1g/cm·s =100cP =0.1kg/m·s로 표시할 수 있으며, 1cP =0.01g.cm·s 임)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10만 cp가 바람직하다
변기 또는 변좌 커버가 도면에서 우회전하여 닫히면, 블레이드(1)의 굽힘부(17)가 뒤로 제껴져 포트(2)의 내벽과 밀착되고 도 2 에 도시한 블레이드의 저면부(26)가 아암(28)의 밀착면(27)에 밀착된다. 이때 즉, 커버를 닫는 동작시, 블레이드의 굽힘부(17)와 포트(2)의 내벽 사이는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한 갭이 형성될 정도로 조정되어 있어 커버가 서서히 서서히 닫힌다. 다시말해 그 미세한 틈을 통하여 오일(11)이 빠져 나가므로 서서히 닫히는 속도 제어가 된다.
참고로 도 3 은 커버가 닫힐때, 블레이드((1)의 굽힘부(17)가 틈새(13)를 막은 상태를 도시한다
반대로, 예를들어, 도 1 에 도시한 변기커버(12)를 화살표 방향으로 열면 블레이드(1)의 굽힘부(17)가 도면에서 "c" 방향으로 제껴져 들려 굽힘부(17)와 포트(2) 내벽 사이의 틈새(13)가 크게 발생한다. 이때, 저면부(26)가 선회홈부(24)를 회전축으로 삼아 밀착면(27)에서 떨어져 틈새가 발생한다. 저면부(26)에는 게이트통공(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통공을 통하여 하부의 오일이 상부로 빠져나간다. 즉, 도 1 에서 "a" 로 도시한 하부의 오일은 포트(2)의 내벽을 타고 빠져나감과 동시에 게이트통공(22)으로도 빠져 "b" 쪽으로 나가므로 커버의 개방작동이, 적은 힘으로 유연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변기커버(12)를 개방시에는 힘이 적게 들면서 개방되는 속도가 빠르고, 닫혀질때는 개방시 보다는 더 늦게 서서히 닫혀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변기커버(12)가 닫혀질때 갑자기 하강하여 좌변기와 부닫쳐 소 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는 변기커버와 그 아래 설치되는 엉덩이를 걸쳐 놓는 변좌커버의 두 축 단부에 각각 세트로 설치되는 것을 단면상으로 요부만 도시한 것이다
변좌커버 역시 변기커버와 동일한 구조와 작동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실험예에 의하면, 변기커버와 변좌커버를 닫을 경우, 종래 경우, 3-4 회의 떨림이 있으나 개선된 후에는 전혀 없었다
또한 변기나 변좌커버를 열때(들어올릴때) 블레이드가 접힘(제껴짐) 동작을 함으로 포트 내벽과 블레이드 사이의 갭이 커지고 블레이드 하부의 게이트통공(22)이 개방되는 위치로 되어 유동하는 유량이 많아져 작동 부하가 현저히 줄어든다
실제 실험에 의하면, 커버를 개방시 부하는 종전의 경우, 6.5-7.7 ㎏f.cm 정도이나 본 고안에 의하면 3.0-3.5 ㎏f.cm 정도로 부하가 적게 걸려 힘이 들이지 않고 개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종래 변기와 변좌커버를 들은 후 놓았을 경우, 급격한 하강 각도가 종래는 22도 내지 28도 정도 회전 후 부하가 걸렸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약 4 - 7도 각도 정도 하강 후 바로 부하가 걸려, 변기나 변좌커버의 급격한 하강으로 인한 소음 발생의 염려도 없다
참고로 도 5 는 종래의 변좌커버(12)가 약 22-28 도의 위치에서도 급격하게 하강될 수 있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변기커버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변좌커버의 회전 축부(21)가 점성 오일이 채워진 포트(2) 내에서 회전 제어되게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축부(21)에는 아암(28)을 설치하고, 아암(28)과 상기한 포트(2) 내벽 사이에는 선회 가능한 블레이드(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암(28)에는 오목한 선회홈부(24)가 형성되어, 이 선회홈부(24)가 선회 기준점이 되게 블레이드(1)를 설치하며, 블레이드(1)의 저면부(26)에는 게이트통공(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블레이드(1)는 포트(2)의 내벽에서 안쪽 방향으로 굽혀지는 굽힘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의 점도는 5만 - 15만 c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의 점도는 10만 c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KR2020050034077U 2005-12-02 2005-12-02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KR200409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77U KR200409010Y1 (ko) 2005-12-02 2005-12-02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77U KR200409010Y1 (ko) 2005-12-02 2005-12-02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947A Division KR100722304B1 (ko) 2005-12-02 2005-12-02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010Y1 true KR200409010Y1 (ko) 2006-02-20

Family

ID=4175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77U KR200409010Y1 (ko) 2005-12-02 2005-12-02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0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9744C (zh) 转动阻尼器
CA2955041C (en) System and device for window covering system
EP2441367A1 (en) Oil damper using a cam
JP2896616B2 (ja) ダンパ機構
US5193228A (en)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with damping capability
KR200409010Y1 (ko)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KR100722304B1 (ko) 변기의 커버 회전제어장치
WO2003106860A1 (ja) 回転ダンパ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WO2003067011A1 (en) Armless door-closer
JP2006214190A (ja) ドアヒンジニット
CN101865236A (zh) 一种通过设置单向阻尼块实现异向转速不同的液压阻尼器
JP305358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用蓋の緩衝装置
KR101925484B1 (ko) 양변기용 회전식 댐퍼
KR100808627B1 (ko) 플로어 힌지
JP2906316B2 (ja) リフトヒンジ等の回転ダンパー
KR20080112870A (ko) 측면 속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입형 자동복귀힌지장치
KR100913782B1 (ko) 로터리 댐퍼
JP4110509B2 (ja) 回転ダンパ
JP2004124952A (ja) ダンパー装置
JP2004068901A (ja) ダンパー装置
JP2614136B2 (ja) 収納ベッド等用ダンパー
JP7074625B2 (ja) 粒状体ダンパ
JP2005098441A (ja) ダンピング装置
JPH0427092A (ja) ドアクローザー
JPS5930933B2 (ja) ダツシユポ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