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41Y1 -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41Y1
KR200408141Y1 KR2020050032810U KR20050032810U KR200408141Y1 KR 200408141 Y1 KR200408141 Y1 KR 200408141Y1 KR 2020050032810 U KR2020050032810 U KR 2020050032810U KR 20050032810 U KR20050032810 U KR 20050032810U KR 200408141 Y1 KR200408141 Y1 KR 200408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bar
vertical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백
Original Assignee
남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백 filed Critical 남기백
Priority to KR2020050032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을 차량에 쉽고 안전하게 탑승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탑승자의 출입이나 거주에 불편이 없도록 차량의 실내에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주의 외측에 여유있게 끼워진 회전관(120)과, 상기 회전관의 측부에 상기 지주와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힌지축(125)과, 수평형성된 외팔보(131)를 통해 상기 힌지축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수직관(130)과, 양단이 상기 수직관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수직관의 내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수직관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수직바(140)와, 수직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150)와, 양단이 각각 지지바의 하부와 수직바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가 수직바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160)와, 상기 지지바의 자유단에 고정된 행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프트, 장애인, 차량, 환자, 휠체어, 탑승

Description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Getting on and off Lift of a car for patient 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3b는 각각 종래의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사용상태도.
도 6a 및 6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7a 및 7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8a 및 8b는 각각 종래의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지주 120...회전관
125...힌지축 130...수직관
131...외팔보 132...끼움관
140...수직바 150...지지바
160...액츄에이터 170...행거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을 차량에 쉽고 안전하게 탑승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노인 등(이하 "장애인"이라 총칭함)과 같이 자력으로 자동차에 탑승하기가 어려운 사람들을 승하차시키기 위해서는 좁은 차량 내에서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보호자가 장애인을 안아 올려야 하므로 보호자에게 큰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대개의 장애인 수송차량에는 장애인을 차량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승하차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에 설치되는 장애인용 탑승리프트는 휠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휠체어 안착부(1)와, 휠체어 안착부(1)를 차체 내부 또는 외부로 승강시키는 휠체어 승강부(2)로 구성되어 있어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휠체어 안착부(1) 위에서 휠체어 승강부(2)를 동작시키면 휠체어 승강부(2)가 휠체어 승강부(2)를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장애인이 차량에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동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인용 탑승리프트는 통상 승합차량에서와 같이 후방에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차량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서 차량을 개조하지 않고서는 설치가 불가능하고, 일단 설치된 상태에서는 해체하기도 어려워 장애인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이 아닌 일반차량에서는 수요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장애인용 탑승리프트는 장애인을 차량의 편안한 시트에 앉을 수 있도록 안내하지 못하므로 장애인은 휠체어를 탄 상태로 주행중 불편함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옆자리에 착석하지 못하고 차량의 후방의 독립공간 내에서 위치되므로 소외감을 느끼게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즉시 받을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 개발된 장애인용 탑승 리프트가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용 탑승리프트는 고정브라켓(11)을 통해 차량의 실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주(10)의 외측에 여유있게 끼워진 회전관(20)과, 수평형성된 외팔보(31)를 가지며 이 외팔보(31)를 통해 상기 회전관(20)의 측부와 일체로 연결된 수직관(30)과, 양단이 상기 수직관(30)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수직관(30)의 내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수직관(30)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수직바(40)와, 수직바(40)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된 지지바(50)와, 상단은 각각 지지바(50)의 하부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수직바(40)의 하단에 지지되 어 상기 지지바(50)가 수직바(40)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60)와, 상기 지지바(50)의 자유단에 고정된 행거(7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바(40)는 행거(70)를 차량의 전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차량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행거(70)에는 장애인을 착좌시킨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미리 마련된 견인용 안장(A)이 매달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애인 탑승용 리프트는 상기 안장(A)에 장애인을 착좌시킨 뒤 이 안장(A)을 행거(70)에 매단 다음 액츄에이터(60)를 작동시키면 액츄에이터(60)가 지지바(50)를 밀어올리면서 지지바(50)를 지주(10)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향회전시켜 장애인을 차량의 보조석 높이까지 들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가 안장(A)과 함께 장애인을 보조석으로 밀게 되면, 수직바(40)가 수직관(30) 내에서 보조석측으로 회동되면서 장애인을 보조석에 안정적으로 착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장(A)은 장애인이 보조석에 안정적으로 착석한 다음 행거(7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지지바(50)와 액츄에이터(60)는 차량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분리되어 보관된다.
이렇게 하면, 장애인의 탑승은 완료되며,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한 과정의 역순에 따라 탑승시킨 장애인을 하차시키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가 차량의 후방도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관계로 상기 지주(10)가 후방 탑승자의 발에 걸리고 전방시야를 가리게 되어 후방탑승자의 거주성이 매우 불량할 뿐만 아니라, 급제동이나 사고시 후방탑승자가 전방의 지주(10)와 충돌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다.
둘째, 지주(10)를 재장착하지 않고서는 장애인을 앞자리와 뒷자리에 모두 승하차시킬 수 없다는 물리적 제약이 있다. 즉, 작동시 회전반경이 큰 관계로 차량과 간섭이 발생되므로 장애인을 뒷자리에 탑승시키기 위해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재장착해야만 한다.
셋재, 설령, 지주(10)를 전방으로 재장착시킨다 하더라도, 차량의 장착위치에 따라 차량의 천정높이가 달라지므로 이에 따라 지주(10)의 높이도 조정되어야 하며, 설치위치가 상대적으로 비좁은 차량의 전방시트측에 지주(10)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고정공간이 매우 협소한 관계로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형편이다.
아울러, 상기 지주(10)는 차량 전방의 천정과 바닥에 볼트로써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차량의 바닥과 천정에 신규로 복수의 볼트홀들을 신규로 가공해야 하고, 볼팅지점에는 탭가공이 가능한 적절한 두께의 마운팅용 브라켓이나, 너트를 미리 부착시켜야 하므로 선행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더군다나 이러한 마운팅 브라켓이나 너트 등은 차량의 각종 장치들과의 간섭을 피해서 부착되어야 하는 관계로 차량의 전,후방도어에 인접하게 설치되어야만 하는 한정된 설치위치를 갖는 지주(10)를 최적의 위치에 고정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넷째, 장애인의 탑승이 완료된 후, 지지바(50)와 액츄에이터(60)가 분리된 지주(10)에는 여전히 수직관(30) 및 수직바(40)가 고정된 상태로 남게 되며, 이 수 직관(30) 및 수직바(40)가 차량의 운행중 흔들림에 의해 지주(10)를 중심으로 자유회동되면서 주변의 탑승자나 차량의 내부와 충돌함으로써 안전사고 및 차량 회손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주가 주변 탑승자의 거주성을 훼손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고, 지주를 이동장착하지 않고도 차량의 앞자리와 뒷자리에 장애인을 동시에 승하차 시킬 수 있고, 지지바와 액츄에이터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리프트의 일부에 의한 주변탑승자나 차량의 내부와의 충돌이 방지되는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탑승자의 출입이나 거주에 불편이 없도록 차량의 실내에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주의 외측에 여유있게 끼워진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측부에 상기 지주와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힌지축과, 수평형성된 외팔보를 통해 상기 힌지축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수직관과, 양단이 상기 수직관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수직관의 내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수직관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와, 양단이 각각 지지바의 하부와 수직바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가 수직바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액 츄에이터와, 상기 지지바의 자유단에 고정된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지주의 외주에 형성된 삽입홈과, 몸체 내부에는 당김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홈으로의 삽입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탄성 설치된 잠금핀을 가지는 플런저로 구성되어, 상기 잠금핀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관이 지주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는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면서 후방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전방시트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장애인용 리프트는 차량의 실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주(110)의 외측에 여유있게 끼워진 회전관(120)과, 수평형성된 외팔보(131)를 통해 상기 힌지축(125)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수직관(130)과, 양단이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수직관(130)의 내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수직관(130)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수직바(140)와, 수직바(140)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150)와, 양단이 각각 지지바(150)의 하부와 수직바(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150)가 수직바(140)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160)와, 상기 지지바(150)의 자유단에 고정된 행거(170)를 구비한다.
이중, 상기 지주(110)는 탑승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출입이나 거주에 불편이 없도록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면서 후방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전방시트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주(110)의 측방으로 차량의 "B-필러(pillar)"(B)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110)는 상단과 하단에 부착된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111)을 통해 차량의 천정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지주(110)의 외측으로는 회전관(120)이 지주(110)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여유있게 끼워진다. 상기 지주(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관(120)이 지주(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낙하하지 않도록 회전관(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112)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관(120)은 지주(110)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지지판(112)에 의해 지주(110)의 일정높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회전관(120)의 측부에는 지주(110)와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힌지축(125)이 형성된다. 이 힌지축(125)은 회전관(120)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지주(110)의 회전관(120)을 따라 회전된다.
상기 회전관(120)의 힌지축(125)에는 수직관(130)의 외팔보(131)가 끼움결합된다. 상기 힌지축(125)과 결합되는 외팔보(131)의 자유단부에는 힌지축(125)의 외측으로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끼움관(132)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관(120)은 외팔보(131)를 통해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힌지축(125)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관(132)에는 힌지축(125)의 외측으로 끼워져 끼움관(132)과 힌지축(125) 사이에 발생되는 회전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마찰저감부재(13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관(130)의 내측으로는 양단이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수직바(140)가 여유있게 끼워진다. 상기 수직바(140)는 수직관(130)의 상단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관(130)이 내측에서 자체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바(140)의 상단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다가 지주(110)의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홈부(141a)를 갖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141)이 구비되며, 수직바(140)의 하단은 홈부(142a)가 형성된 받침대(142)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141a)에는 지지바(15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바(140)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바(150)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160)가 지지된다.
수직바(140)와 연결되는 상기 지지바(150)의 단부 양측에는 수직바(140)의 홈부(141)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151)가 형성되며, 수직바(140)는 상기 걸림돌기(151)를 통해 수직바(140)의 홈부(141)에 안착되어 가결 합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바(150)의 수직바(140) 연결부위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 수직바(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수직바(14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바(140)의 상단에는 수직바(140) 상단의 홈부(141)에 가결합상태로 연결된 지지바(150)가 수직바(140)의 홈부(141)로부터 작동중 이탈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바(150)의 걸림돌기(151)를 구속시키는 이탈방지부재(18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탈방지부재(180)는 수직바(140)의 홈부(141) 상측에 힌지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자체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 반대측에 무게 중심이 위치되도록 제작되며, 일측에는 수직바(140)의 홈부(141)에 안착된 지지바(150)의 걸림돌기(151)의 하부를 감싸면서 수직바(140) 상단의 홈부(141)의 입구를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150)는 수직바(140)의 홈부(141)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51)의 상부와 측부가 수직바(140)의 홈부(141)에 의해 구속되고 걸림돌기(151)의 하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재(180)에 의해 구속되므로 홈부(14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바(150)의 자유단에는 행거(170)가 고정된다. 상기 행거(170)는 지지바(150)의 아래쪽에 위치되며, 좌우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지지바(150)의 자유단에 힌지고정된다. 그리고, 행거(170) 양측으로는 고리(171)가 형성되어 있어서, 장애인을 착좌시킨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미리 마련된 견인용 안장(A)을 매달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견인용 안장(A)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제외된다.
지지바(150)의 하부에는 액츄에이터(160)가 설치된다. 이 액츄에이터(160)는 상단이 지지바(15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바(140)의 하단의 받침대(142)를 통해 지지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60)의 하단 양측에는 받침대(142)의 홈부(142a)에 안착되기 위한 지지돌기(161)가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60)는 구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지지바(150)를 수직바(140)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항상 아래방향으로 지지바(150)의 하중이 인가되므로 받침대(14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160)는 하단이 받침대(142)에 얹혀져 있는 상태이므로 손으로 들어 올려질 경우 받침대(14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160)와 지지바(150)와의 용이한 탈착을 위하여 상기 지지바(150)의 하단에는 지지바(15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액츄에이터(160)의 상단과 끼움결합되는 결합관(1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관(120)의 외측에는 지주(110)와 부착되어 회전관(120)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회전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21)과, 상기 관통공(121)에 대응되도록 지주의 외주에 형성된 삽입홈(113)과, 몸체 내부에는 당김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삽입홈(113)으로의 삽입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탄성 설치된 잠금핀(123)을 가지는 플런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런저(122)의 단부를 통해 잠금핀(123)을 잡아당겨 후진시킨 다음 잠금핀(123)의 당김을 해제시키면 탄반력에 의해 후진된 잠금핀(123)이 전진하면서 잠 금핀(123)의 단부가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지주(110)의 삽입홈(113)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잠금핀(123)이 삽입홈(11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관(120)은 지주(110)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록킹수단의 일환으로서, 회전관(120)의 외측에 끈을 달아 차량의 내부 일측에 묶어둠으로써 주행중에 회전관(120)이 지주(110)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장애인 리프트는 평상시에는 지주(110)와 힌지축(125)만이 차량에 설치된다.
상기 지주(110)는 지주(110)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된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111)을 통해 차량의 천정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지주(110)의 외측으로는 지주(110)의 상단으로부터 힌지축(125)이 형성된 회전관(120)이 삽입되어 지지판(112)에 의해 일정높이로 지지된 상태로서, 상기 지주(110)는 승객의 거주성 및 승,하차시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전방시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에 장애인을 탑승시키고자 할 경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힌지축(125)에 수직바(140)가 조립된 수직관(130)을 연결시킨다. 상기 수직관(130)은 외팔보(131)의 자유단부에 부착된 끼움관(132)을 이용하여 힌지축(125)에 안정적으로 끼워져 연결된다. 지주(110)에 조립이 완료된 수직바(140)는 도어를 통해 차량의 외부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수직관(1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지지바(150)와 액츄에이터(160)가 조립된다.
상기 지지바(150)는 자유단에 행거(170)가 연결된 상태로서, 지지바(150)의 자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51)를 통해 수직바(140) 상단의 홈부(141)에 끼워져 가결합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60)는 일단은 수직바(140)의 지지부에 안착되고, 타단은 지지바(15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60)는 지지바(150)의 자중에 의해 항상 아래로 가압된 상태가 되므로 수직바(140) 하단의 받침대(14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상기 지지바(150)는 액츄에이터(160)에 의해 수직바(140) 상단과의 결합부에 상방향으로 가압력이 항상 작용하므로 수직바(140)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51)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장애인용 리프트의 조립이 완료되면, 장애인을 미리 마련된 견인용 안장(A)에 착좌시킨 다음 지지바(150)의 자유단에 고정된 행거(170)의 고리에 안장(A)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액츄에이터(160)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60)가 지지바(150)를 밀어내면서 지지바(150)의 자유단이 상향 회동되도록 구동되며, 이 과정에서 견인용 안장(A)에 착좌된 장애인은 행거(170)에 매달린 채 상승되는데, 장애인이 시트의 높이까지 상승되면 액츄에이터(160)의 작동은 중지된다.
액츄에이터(160)의 작동이 중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는 지주와 힌지부(125)와 수직바(140)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관과 수직관과 지지바를 적절히 회동시켜 장애인을 차량의 내부로 위치시켜 장애인을 안정적으로 탑승시킨다.
장애인이 차량에 안정적으로 탑승하면 안장(A)을 행거(170)로부터 분리시킨다음 차량을 운행이 가능하도록 지지바(150)와 액츄에이터(160)를 분리시켜 따로 보관한다.
이렇게 하면, 장애인의 탑승이 완료되며, 장애인을 하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의 역순에 따른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에 고정된 지주(110)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장애인을 차량의 전방과 후방으로 자유롭게 탑승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장애인용 리프트는 상기 지주(110)를 중심으로 힌지축(125)과 수직바(140)가 각각 회절되도록 3개의 회전축을 가진 3단 회절구조로서 측방에 위치된 "B-필러"(B)에 대한 회피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전방시트에 장애인을 승하차시킬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키고 차량의 후방시트에 장애인을 승하차시킬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키면 무리 없이 장애인의 승하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장애인의 탑승 방향에 따라 전방시트(운전석 및 보조석)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리클라이닝(recling)시켜 힌지축(125)이나 수직바(140)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애인의 승하차 방향에 따라 지주(110)의 위치를 옮겨 고정할 필요가 없어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장애인을 승하차시킨 다음 힌지축(125)으로부터 수직관(130)을 분리시키면, 상기 지주(110)에는 힌지축(125)만이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되는데, 상기 힌지축(125)은 지주(110)로부터의 돌출량이 작기 때문에 차량운행중 힌지축(125)이 회전관(120)을 따라 지주(11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하더라도 상기 힌지축(125)과 탑승객 또는 차량의 내부가 서로 충돌될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 회전관(120)에 록킹수단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록킹수단이 회전관(120)을 지주(110)에 고정시켜 차량운행중 힌지축(125)이 지주(110)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므로 상기 힌지축(125)과 탑승객 또는 차량의 내부와의 충돌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에 의하면,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관과 이 회전관의 측부에 수직관의 외팔보와 분리가능하도록 힌지축을 설치하여 탑승리프트가 다단회절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첫째, 다단회절구조에 의해 회동반경이 종래에 비해 크게 줄어들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장애인의 탑승 방향에 따라 차량에 고정된 지주를 이동장착시키지 않고도 장애인을 차량의 전방과 후방으로 자유롭게 탑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주를 차량의 실내 중앙에 설치하여 탑승자의 출입이나 거주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힌지축이 지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고 수직관과의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애인을 승하차시킨 다음 힌지축으로부터 수직관을 분리시킴으로써 차량운행시 탑승객 또는 차량의 내부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상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관에 록킹수단이 더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록킹수단이 회전관을 지주에 고정시켜 차량운행중 힌지축이 지주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므 로 상기 힌지축과 탑승객 또는 차량의 내부와의 충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

  1. 탑승자의 출입이나 거주에 불편이 없도록 차량의 실내에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주의 외측에 여유있게 끼워진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측부에 상기 지주와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힌지축과,
    수평형성된 외팔보를 통해 상기 힌지축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수직관과,
    양단이 상기 수직관의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수직관의 내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수직관의 내측에서 회동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바와,
    양단이 각각 지지바의 하부와 수직바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가 수직바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지지바의 자유단에 고정된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지주의 외주에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회전관의 외측에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는 당김여부에 따라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홈으로의 삽입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탄성 설치된 잠금핀을 가지는 플런저로 구성되어, 상기 잠금핀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관이 지주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차폭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면서 후방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전방시트에 최대한 근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KR2020050032810U 2005-11-21 2005-11-21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KR200408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10U KR200408141Y1 (ko) 2005-11-21 2005-11-21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10U KR200408141Y1 (ko) 2005-11-21 2005-11-21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41Y1 true KR200408141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10U KR200408141Y1 (ko) 2005-11-21 2005-11-21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356B2 (en) Automotive wheelchair mobility system
KR101057449B1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체어
JP2001047969A (ja) 乗合自動車における車椅子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023520B1 (ko) 장애인용 차량
JP3683952B2 (ja) 旋回規制・制動機構付キャスタ
KR200408141Y1 (ko) 차량의 장애인용 탑승리프트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20130020711A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JPH1148867A (ja) ステップ昇降手段を具備する車両
KR100932840B1 (ko) 보행보조장치
KR20130011761A (ko)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JP2000511814A (ja) 車椅子へ転換自在な椅子およびこの椅子の移送設備
JP2009153599A (ja) 自動車用車椅子収納装置
JPS6159734B2 (ko)
KR101039674B1 (ko)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 구조
JP3698430B2 (ja) 被介護者用の車両乗降装置
KR101023519B1 (ko) 장애인용 차량
KR20030041003A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KR200251853Y1 (ko) 장애자휠체어용 승합차의 승강장치
JP2002306538A (ja) 介護用リフト並びに該リフトが付いた座席及び自動車
CN219847133U (zh) 一种智能助老移位机器人
KR101223774B1 (ko) 휠체어 부착용 환자리프트
KR20200011677A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KR0125402Y1 (ko) 휠체어 탑승형 장애인 운송용 승합차량
JPH0721028U (ja) 難歩行者用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