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26Y1 - 파쇄 선별기 - Google Patents

파쇄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26Y1
KR200407426Y1 KR2020050032471U KR20050032471U KR200407426Y1 KR 200407426 Y1 KR200407426 Y1 KR 200407426Y1 KR 2020050032471 U KR2020050032471 U KR 2020050032471U KR 20050032471 U KR20050032471 U KR 20050032471U KR 200407426 Y1 KR200407426 Y1 KR 200407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case
sorter
crushed
sh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창
Priority to KR202005003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류를 파쇄 선별하여 퇴비 또는 사료화 등을 하기 위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전처리 장치로 이용되며, 파쇄물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등을 용이하게 선별하며, 파쇄물의 크기를 설정하여 파쇄하면서 동시에 파쇄 효율을 증대시키는 파쇄 선별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파쇄 선별기는, 내부에 파쇄물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고 축 중심에서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파쇄물을 파쇄하는 복수의 파쇄 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제공되며, 파쇄된 파쇄물이 통과하는 간격이 조절되는 파쇄물 통과부를 포함하는 파쇄 선별기를 제공한다.
파쇄, 선별, 음식물, 쓰레기, 전처리, 발효, 퇴비, 간격, 송풍

Description

파쇄 선별기{Apparatus for disintegrating and selecting wast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파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등을 파쇄함과 동시에 선별하여 퇴비 또는 사료화시키기 위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전처리 장치로 이용되며, 비닐 등을 용이하게 선별하며 파쇄물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파쇄 효율을 증대시키는 파쇄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를 파쇄 선별기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여 퇴비 또는 사료화시키기 위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전처리기로, 발효 등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의 크기로 부수고 동시에 비닐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쇄 선별기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케이스,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을 파쇄하는 파쇄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저면 내부는 메쉬부재가 제공되어 메쉬부재의 구멍들을 통하여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가 이루어지고, 파쇄부재들이 회전하면서 일으키는 바람에 파쇄된 비닐 등이 날리면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비닐 등의 이물질 선별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에는 일측에 이물질 배출구가 마련되어 비닐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쇄 선별기는, 작동 중에 비닐 등의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쇄 선별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되는 크기가 기계장치를 제작할 때에 정해져 있어 필요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된 알갱이 크기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쇄 선별기는 파쇄부재가 음식물 쓰레기에 부딪히면서 파쇄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파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 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등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포함된 비닐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며, 파쇄 효율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알갱이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파쇄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파쇄물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고 축 중심에서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파쇄물을 파쇄하는 복수의 파쇄 부재,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제공되며, 파쇄된 파쇄물이 통과하는 간격이 조절되는 파쇄물 통과부를 포함하는 파쇄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파쇄 선별기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어 상기 송풍기의 송풍에 의하여 이동되는 비닐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부재들은 선단부가 축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부재의 선단부가 축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지는 각도는 25°~ 3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물 통과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제공되는 가이드 홈에 배치되며, 측면에 복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바(bar), 그리고 상기 바(bar)의 볼트구멍에 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바(bar) 사이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파쇄 선별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파쇄 선별기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배치되는 모터(M) 등의 구동원, 상기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 상기 회전축(3)에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을 파쇄하는 다수의 파쇄부재(5), 그리고 상기 파쇄부재(5)에 의하여 파쇄된 파쇄물이 통과하는 파쇄물 통과부(7)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는 대량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파쇄될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이 투입되는 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는 일부가 연장되어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9)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는 파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닐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부(11)가 상기 투입구(9)가 제공된 반대편 케이스(1)에 제공된다.
상기 모터(M)는 모터 축에 구동풀리(P1)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풀리(P1)는 피동풀리(P2)에 벨트(B) 또는 체인으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피동풀리(P2)는 회전축(3)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회전축(3)은 모터(M)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동력전달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축(3)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파쇄부재(5)들이 결합된다. 상기 파쇄부재(5)는 상기 회전축(3)에 중심에서 외주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측면에서 보아 4등분되는 모양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쇄부재(5)의 배치 구조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등 파쇄물의 파쇄가 이루어지는 경우 밸런스를 유지하여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재(5)는 등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의 파쇄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부재(5)는 선단부와 회전축의 중심과 약 25°~ 35°정도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에서 각도 a로 표시함). 이러한 파쇄부재(5)들의 선단부가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 a를 가지는 것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바(19, bar)의 모서리에 파쇄부재(5)의 선단부가 접촉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여 파쇄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1)에는 축과 연직하는 방향으로 3개의 가이드 홈(13, 15, 17, 도 3에 도시하고 있음)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홈(13, 15, 17)은 케이스(1)의 저면에 라운드 형태로 배치되며, 케이스(1)를 정면에서 보아 양측 및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19, bar)들이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21, 도 6에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음)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가이드 홈(13, 15, 17)들이 3개로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쇄물 통과부(7)는, 상기 가이드 홈(13, 15, 17)에 바(19)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바(19)는 측면에 볼트 구멍(21)들이 제공되고, 상기 볼트 구멍(21)에는 볼트 부재(23)들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바(19)와 볼트부재(23) 사이에는 결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너트(25)들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너트(25)는 볼트부재(23)와 바(19)가 결합되는 경우 나사산의 공차로 인하여 흔들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25)는 상기 바(19)와 상기 볼트부재(23)를 견고하게 고정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물 통과부(7)는 가이드 홈(13, 15, 17)들에 상기 너트(25) 및 볼트부재(23)가 결합된 상태의 바(19)들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상기 바(19) 사이에 공간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쇄물 통과부(7)에서 상기 바(19)들이 이루는 간격은 볼트부재(23)와 바(19)의 결합 위치에 따라 그 거리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6은 바(19)에 볼트부재(23)를 끝까지 채워 가이드 홈(13, 15, 17)들에 배치된 예로 바(19)들의 간격(L1)이 최소한으로 좁혀진 상태이고, 도 7은 바(19)에 볼트부재(23)를 풀어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여 가이드 홈(13, 15, 17)들에 배치된 예로 바(19)들의 간격(L2)이 어느 정도 벌어진 상태이다.
한편, 상기 바(19)들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3, 15, 17)들에 삽입되어 양끝단에 배치되는 바(19)들은 별도의 또 다른 볼트(31) 등의 고 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3, 15, 17)들에 삽입되어 양끝단에 배치되는 상기 바(19)들이 케이스(1)에 고정되는 것은 상술한 볼트(31)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상기 바(19)들을 케이스(1)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 한편으로, 상기 투입구(9)의 일측에는 송풍기(13)가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13)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일정한 풍량 및 압력을 가지는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기(13)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11)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송풍기(13)의 바람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케이스(1)의 내부에서 파쇄될 때 발생한 비닐 등의 이물질을 이동시켜 케이스(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파쇄 선별기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모터(M) 등의 구동원을 구동시키면 구동풀리(P1), 벨트(B), 그리고 피동풀리(P2)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3)이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이 회전함에 따라 파쇄부재(5)들 역시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을 투입구(9)로 투입한다. 그러면 파쇄부재(5)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파쇄물이 부수어지거나 또는 파쇄부재(5)의 선단부와 바(19)의 모서리 사이에 파쇄물이 끼면서 절단된다. 또한, 상기 파쇄부재(5)의 선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3)의 중심에서부터 일정한 각도 a(약 30°)정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여 작두와 같은 작용을 하여 파쇄물에 포함되어 있 을 수 있는 나무(나무젓가락 등) 또는 뼈 등 단단한 재질이 용이하게 절단되어 파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송풍기(13)를 구동시키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된 비닐(쓰레기용 비닐 봉투 등)이 절단되어 송풍기(13)의 바람에 의하여 배출구(11) 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물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은 바(19)들이 이루는 간격 사이로 배출된다. 상기 파쇄부재(5)는 선단부가 회전축의 중심에서부터 일정한 각도 a로 경사진 상태로 회전되므로 케이스(1) 내부에서 바람이 발생되고, 이러한 바람은 일측으로 방향성을 가지므로 비닐 또는 쇠조각 등을 한쪽으로 몰아주므로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선별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본 고안과 같은 파쇄 선별기를 통하여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의 크기를 조절하여 발효 과정 등에서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한다면, 파쇄물 통과부(7)를 이루는 바(19)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파쇄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바(19)에 결합된 볼트부재(23)를 회전시키면 바(19)와 볼트부재(23)의 머리 부분의 간격이 늘어나면서 결국 바(19)들의 간격(L1에서 L2, 도 6 및 도 7에 도시하고 있음)이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바(19)들을 케이스(1)에 제공된 가이드 홈(13, 15, 17)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양단을 볼트(31)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바(19)의 간격들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바(19)들의 간격 조정은 본 고안의 파쇄 선별기의 작동 전에 세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파쇄물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등이 강제 송풍에 의하여 배출구를 구비한 배출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의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 하부에 배치되는 파쇄물 통과부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및 사용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쇄부재의 선단부가 중심축과 일정한 각을 이루어 경사져 배치되므로 파쇄부재와 상기 바(bar)가 서로 나무 또는 뼈 등 단단한 재질의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함과 동시에 파쇄가 이루어져 파쇄 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파쇄물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고 축 중심에서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파쇄물을 파쇄하는 복수의 파쇄 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제공되며, 파쇄된 파쇄물이 통과하는 간격이 조절되는 파쇄물 통과부;
    를 포함하는 파쇄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선별기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어 상기 송풍기의 송풍에 의하여 이동되는 비닐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파쇄 선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들은
    선단부가 축 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파쇄 선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의 선단부가 축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25°~ 35°의 범위에 있는 파쇄 선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 통과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제공되는 가이드 홈에 배치되며, 측면에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바(bar);
    상기 바(bar)의 볼트구멍에 결합되는 볼트부재;
    를 포함하는 파쇄 선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와 상기 바(bar) 사이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파쇄 선별기.
KR2020050032471U 2005-11-16 2005-11-16 파쇄 선별기 KR200407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471U KR200407426Y1 (ko) 2005-11-16 2005-11-16 파쇄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471U KR200407426Y1 (ko) 2005-11-16 2005-11-16 파쇄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26Y1 true KR200407426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471U KR200407426Y1 (ko) 2005-11-16 2005-11-16 파쇄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26B1 (ko) 2008-01-16 2008-07-31 김태영 음식물 선별 분쇄장치
KR20200089022A (ko) * 2019-01-16 2020-07-24 정상균 식품잔반 폐기물 파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26B1 (ko) 2008-01-16 2008-07-31 김태영 음식물 선별 분쇄장치
KR20200089022A (ko) * 2019-01-16 2020-07-24 정상균 식품잔반 폐기물 파쇄기
KR102222766B1 (ko) * 2019-01-16 2021-03-04 정상균 식품잔반 폐기물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5397B1 (en) Particle reduction device
KR101135104B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CN202590913U (zh) 卧式碎浆机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14639Y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파쇄기
FI102465B (fi) Laite puun hienontamiseksi
CN102698845A (zh) 卧式碎浆机
US6039277A (en) Pulverizer
KR101546356B1 (ko) 타격 풍력식 폐기물 선별 장치
WO1988004200A1 (en) Device for disintegrating material, such as waste
KR200407426Y1 (ko) 파쇄 선별기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20210016961A (ko) 트롬멜 선별기
KR100574063B1 (ko) 음식물 파쇄기
KR102234951B1 (ko) 음식물 폐기물의 미세 파쇄 및 선별 장치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JP2713866B2 (ja) 破砕機
JP2002095990A (ja) 粉砕分別機
HU214070B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utting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wastes
KR102361059B1 (ko) 고형연료용 폐합성수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장치
JP2000189823A (ja) 粉砕装置
KR102254807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용 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파쇄장치
KR102390182B1 (ko) 일체형파쇄선별기
KR200387222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