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61Y1 - 고기구이판 보조구 - Google Patents

고기구이판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61Y1
KR200407361Y1 KR2020050030473U KR20050030473U KR200407361Y1 KR 200407361 Y1 KR200407361 Y1 KR 200407361Y1 KR 2020050030473 U KR2020050030473 U KR 2020050030473U KR 20050030473 U KR20050030473 U KR 20050030473U KR 200407361 Y1 KR200407361 Y1 KR 200407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grilled
handle
grilled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현
Original Assignee
오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현 filed Critical 오상현
Priority to KR2020050030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 상에 구워진 고기를 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기구이판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운 고기를 올려놓기 위한 판부와, 상기 판부에 놓여진 구운 고기가 고기구이판의 열에 의하여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를 고기구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구이판, 고기, 석쇠

Description

고기구이판 보조구{ASSISTANT APPARATUS FOR MEAT ROASTED PLAT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판부가 망상으로 형성된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판상의 판부에 다공이 형성된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의 경우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중앙에 링이 형성된 판부를 구비한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의 손잡이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손잡이가 구비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고기구 이판에 올려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기구이판 보조구 30: 판부
310: 다공 330: 관통공
332: 링 50: 지지부
70: 손잡이 80: 고기구이판
90: 솥뚜껑형 고기구이판 910: 손잡이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 상에 구워진 고기를 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기구이판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운 고기를 올려놓기 위한 판부와, 상기 판부에 놓여진 구운 고기가 고기구이판의 열에 의하여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를 고기구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구워 시식하기 위하여 고기구이판을 널리 사용한다. 고기구이판에 열을 가한 상태에서 고기를 올려놓아 구워 시식한다. 고기가 알맞게 익은 상태에서 시식하지 않은 경우 고기가 바싹 마르거나 타는 등 고기의 제맛을 느끼지 못하거나 시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고기가 알맞게 구워진 상태에서 바로 시식하지 못할 경우 고기가 바싹 마르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시 등을 준비한 후 접시에 옮겨 담고, 후에 시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접시에 고기를 옮겨 담아 놓는 경우 고기가 식고 또한 접시에 고기에 잔존해 있는 기름이 고이는 등 고기의 제맛을 잃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여러 고안 및 고안이 제안되었고, 그 중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06557호는 손잡이부가 달린 솥뚜껑으로 이루어진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솥뚜껑의 상단 손잡이부 상단에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한 끼움부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중앙부에 끼움구멍이 형성된 솥뚜껑보다 크기가 작은 데움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다 익은 고기를 데움판으로 이동시켜 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고기를 식히지 않고 후에 시식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데움판을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 이외의 구이판에 사용할 수 없는 등의 호환성이 전혀 결여된 문제가 있다.
특히 구이판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솥뚜껑과 데움판을 분리해야하고, 데움판을 솥뚜껑으로부터 분리시 데움판에 올려 놓여진 고기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구이판 교체 후 다시 데움판의 끼움꾸멍을 솥뚜껑의 끼움부에 맞춰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기구이판을 이용하여 구워진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고기의 제맛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종래에 널리 이용되는 각종의 고기구이판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호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세척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운 고기를 올려놓기 위한 판부와, 상기 판부에 놓여진 구운 고기가 고기구이판의 열에 의하여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를 고기구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판부의 일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는 적어도 표층부를 포함한 부분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부는 판상(板狀) 또는 망상(網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판부가 판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판부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에 상기 판부의 관통공을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판부(30)가 망상으로 형성된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판상의 판부(30)에 다공(310)이 형성된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는 판부(30)와 지지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판부(30)는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굽기 위한 고기구이판을 이용하여 구워진 고기를 고기구이판에 가해진 열에 의하여 바싹 마르거나 타지 않도록 올려놓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와 같이 망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와 같이 판부(30)가 망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구워진 고기에 잔존해 있는 기름이 원활하게 빠짐으로써 시식자가 고기의 제맛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부(30)가 판상인 경우 구워진 고기에 잔존해 있는 기름이 고기구이판(80)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다공(3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판부(30)를 장방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기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0)는 고기구이판(80)과 접하여 상기 판부(30)를 고기구이판(8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는 상기 지지부(50)를 상기 판부(30)의 좌측 및 우측의 모서리의 하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U자형의 좌·우 지지부(50)재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판부(30)를 고기구이판(80)으로부터 안정된 자세로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는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예를 들면 4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지거나, 3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부(30) 및 지지부(50)재의 재질은 금속재질, 세라믹, 나무, 대나무, 황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판부(30)상에 올려 놓여진 구워진 고기에 적정의 열을 전달하여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10)는 종래에 사용되는 여러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모든 고기구이판(80)에 사용할 수 있는 등 호환성이 우수하고, 시식자가 간편한 방법에 의하여 고기를 태우지 않고 적정한 온기를 유지한 상태로 시식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세척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의 경우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중앙에 링(332)이 형성된 판부(30)를 구비한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80)의 손잡이(70)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10)는 도 4와 같이 제1실시예와 달리 판부(30)의 중앙부에 관통공(330)이 형성된다.
상기 판부(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3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고기구이판(80) 중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90)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910)에 통과시켜 고기구이판 보조구(10)가 일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90)의 경우 도 7과 같이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910)를 기준으로 외주연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는 구조로 되어 있 기 때문에 고기구이판(90)의 경사면에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올려놓을 경우 고기구이판 보조구(10)가 일측으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 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와 같이 판부(30)의 중앙부에 관통공(330)을 형성하고,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90)의 손잡이(910)에 상기 관통공(330)을 통과시켜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고기구이판(90)에 고정함으로써,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10)가 일측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판부(30)가 망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도 5와 같이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90)의 손잡이(910)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링(332)을 판부(30)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망상의 와이어와 접합시켜 상기 링(332)에 의하여 관통공(330)을 형성할 수 도 있고,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링(332)을 사용하지 않고, 판부(30)의 중앙의 와이어의 교차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를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90)의 손잡이(9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다공(310)이 형성된 판부(30)의 중앙부에도 도 6과 같이 관통공(33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손잡이(70)가 구비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고기구이판(80)에 올려놓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인 고기구이판 보조구(10)는 제1실시예와 달리 판부(30)의 일측에 사용자가 손쉽게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7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에서 도시된 손잡이(70)의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이면 족하다.
장시간 동안 열이 가해진 고기구이판(80) 상에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10)가 올려 놓여진 경우 고기구이판(80)의 열이 고기구이판 보조구(10)에 전도되어 고기구이판 보조구(10)의 온도가 사용자가 뜨겁다고 느낄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손잡이(70)를 파지하여 고기구이판 보조구(10)를 취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손잡이(70)의 표층부를 포함한 재질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70) 자체를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심부는 상기 판부(30) 및 지지부(50)와 같은 재질로 형성하고, 심부를 감싸는 표층부에 한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란 예를 들면, 목재, 합성수지재 등 기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을 말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는 구운 고기를 올 려놓기 위한 판부와, 상기 판부를 고기구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고기구이판 상에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올려놓고 고기구이판 상에 구워진 고기를 즉시 사용자가 시식하지 못할 경우 구워진 고기를 상기 판부상에 올려놓아 구워진 고기에 계속 열이 가해져 바싹 마르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의 경우 종래에 사용되는 고기구이판 상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등 호환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판부의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할 경우 사용자의 취급이 간편하여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용이하게 고기구이판 상에 올려놓거나 고기구이판으로부터 내려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판을 이용하여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굽는 경우 고기를 주의 깊게 굽지 않는 경우 고기구이판의 상부면이 쉽게 시커멓게 탐으로써 자주 고기구이판을 교체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고기구이판 교체작업시 손쉽게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고기구이판으로부터 내려놓을 수 있는 이점이다. 특히 상기 손잡이의 적어도 표층부를 포함한 재질 즉, 손잡이의 표층부 또는 손잡이의 전체부분이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손으로 파지하여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의 구성 중 상기 판부를 망상으로 형성하거나 다공이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워진 고기에 잔존해 있는 기름이 원활하게 상기 판부로부터 고기구이판으로 흘러내리는 등 기름이 잘 빠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기구이판 보조구의 구성 중 상기 판부의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고기구이판이 솥뚜껑 형상으로 이루진 경우라도 고기구이판 보조구가 일측으로 미끄러지는 등의 염려 없이 고기구이판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에 상기 판부의 관통공을 관통시킨 상태로 고기구이판에 고기구이판 보조구를 안착시킴으로써 고기구이판 보조구가 고기구이판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Claims (6)

  1. 구운 고기를 올려놓기 위한 판부와, 상기 판부에 놓여진 구운 고기가 고기구이판의 열에 의하여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부를 고기구이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일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적어도 표층부를 포함한 부분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판상(板狀) 또는 망상(網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가 판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솥뚜껑 형상의 고기구이판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에 상기 판부의 관통공을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보조구.
KR2020050030473U 2005-10-27 2005-10-27 고기구이판 보조구 KR200407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73U KR200407361Y1 (ko) 2005-10-27 2005-10-27 고기구이판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73U KR200407361Y1 (ko) 2005-10-27 2005-10-27 고기구이판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61Y1 true KR200407361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473U KR200407361Y1 (ko) 2005-10-27 2005-10-27 고기구이판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52B1 (ko) 2016-06-28 2018-05-11 이정훈 고기받침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52B1 (ko) 2016-06-28 2018-05-11 이정훈 고기받침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6970A1 (en) System and Device for Grilling Foods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490601B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KR200407361Y1 (ko) 고기구이판 보조구
KR101187145B1 (ko) 구이판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0923335B1 (ko) 회전형 육류구이판
ES1288954U (es) Sistema de utensilio de cocina con mangos extraibles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20080094872A (ko) 보온판이 구비된 고기구이 불판
US5465652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KR20090013077U (ko) 고기구이판
KR20090012688U (ko) 황토 옹기를 이용한 구이기구
KR200434697Y1 (ko) 육류 조리기용 보조구
KR200433973Y1 (ko) 야외용 바비큐 구이통
KR200317017Y1 (ko)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US20130216675A1 (en) Pliable support for a food product or preparation in a roasting pan
KR200355866Y1 (ko) 압력불판
KR19990037800A (ko) 황토를이용한고기구이판
JP2003189993A (ja) 皿ユニット、及び皿ユニットを用いた加熱調理方法
KR200392586Y1 (ko) 화덕
KR20070121432A (ko) 조리용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