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781Y1 - 조합형 화분 - Google Patents

조합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781Y1
KR200406781Y1 KR2020050029889U KR20050029889U KR200406781Y1 KR 200406781 Y1 KR200406781 Y1 KR 200406781Y1 KR 2020050029889 U KR2020050029889 U KR 2020050029889U KR 20050029889 U KR20050029889 U KR 20050029889U KR 200406781 Y1 KR200406781 Y1 KR 20040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rotrusion
combination
coupling groove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희
Original Assignee
한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희 filed Critical 한태희
Priority to KR2020050029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방향으로 연속으로 끼워 상호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어서, 정리가 손쉽고,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면서, 화분갈이가 매우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조합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화분에 있어서, 그 일측 외측면에는 돌기(4)가 형성되고,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4)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을 상호 결합하여 측면방향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합형 화분{Combinative flowerpo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합형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조합형 화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조합형 화분의 조합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화분 4. 돌기
6. 결합홈 8. 칸막이
본 고안은 조합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방향으로 연속으로 끼워 상호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어서, 정리가 손쉽고,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면서, 화분갈이가 매우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조합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꽃이나 크기가 작은 나무 등을 심어 기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분을 일반적인 항아리 형상으로 제작되어 여러개 관리할 경우, 특히 작은 화분의 개수가 많을 경우, 각 화분의 정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종류나 화분의 배열에 따라, 화분의 높낮이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같이, 화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화분의 경우, 묘목을 심어 기르다가 어느정도 크기로 자라면 화분갈이를 하거나 땅에 이식하여야 한다. 그런데, 화분갈이나 이식을 하기 위해서는 화분에서 묘목을 빼내야 하는데, 뿌리에 흙이 엉겨붙어 있을 뿐 아니라, 흙이 화분에 단단하게 달라붙어 잘 빠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묘목을 빼내기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뿌리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리가 손쉬울 뿐 아니라, 각 화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고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화분에 심어져 있는 식물을 손쉽게 빼내어 화분갈이를 하거나 땅에 이식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화분에 있어서, 그 일측 외측면에는 돌기(4)가 형성되고,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4)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을 상호 결합하여 측면방향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합형 화분은 상측둘레부와 하측둘레부의 규격이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은 외측면의 하측에서 상측에 걸쳐 형성되어, 이 돌기(4)와 결합홈(6)을 상호 높이가 다르게 결합하여, 각 화분(2)의 높낮이를 다르게 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합형 화분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분(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8)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합형 화분을 도시한 것으로, 이 화분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꽂이나 묘목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화분(2)은 합성수지를 사각통 형상으로 사출성형하여 구성되며, 그 일측 외측면에는 돌기(4)가 형성되고,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4)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6)이 형성되어, 어려개의 화분(2)을 측면방향으로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화분(2)은 상측둘레부와 하측둘레부의 규격이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은 외측면의 상하방향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각 화분(2)의 높낮이를 다르게 상호 결합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2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4)와 결합홈(6)을 상호 끼워 측면방향으로 연결하여, 여러개의 화분(2)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분(2)을 옮길 때도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화분(2)이 결합되는 위치를 다 르게 하여, 화분(2)의 높이나 전후방 위치를 각기 다르게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별도의 받침대 없이 화분(2)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5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화분(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8)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칸막이(8)는 2개의 판을 십자형으로 결합하여 화분(2)의 내부공간을 4개로 나눌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화분(2)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결합부(10)에 끼워 고정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2는 상기 화분(2)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뿌리돌림방지용 돌출부를 도시한 것으로, 화분(2)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이 돌출부(12)를 따라 하측으로 자라도록 유도하여, 뿌리가 엉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식물을 땅에 이식하거나 화분갈이를 할 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8)를 빼어내면 칸막이(8)의 두께만큼 흙의 사이에 공간(14)이 발생되어, 화분(2)에 담겨진 흙이 유동될 수 있으므로, 화분(2)을 흔들어 흙이 화분(2)의 내벽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후, 간단하게 식물을 빼낼 수 있으며, 화분갈이나 땅에 이식하는 것이 매우 간편할 뿐 아니라, 화분갈이나 이식을 할 때 식물을 무리하게 잡아당겨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화분은 묘목을 기를 때 사용하는 육묘포트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화분(2)을 사각통 형상으로 성형하였으나, 이 화분(2)은 사각통 형상 이외에, 삼각통이나 육각통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이 형성되는 면은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2)의 재질은 전술한 합성수지 이외에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8)를 십자형태로 구성하여, 화분(2) 내부의 공간을 4개로 분할하도록 하였으나, 이 칸막이(8)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2)의 외측면에 돌기(4)와 이 돌기(4)에 대응되는 결합홈(6)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화분(2)의 내부에 칸막이(8)를 설치하여, 이 칸막이(8)를 빼낸 후 화분갈이나 이식을 하도록 하므로써, 정리가 손쉬울 뿐 아니라, 각 화분(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고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화분(2)에 심어져 있는 식물을 손쉽게 빼내어 화분갈이를 하거나 땅에 이식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화분에 있어서, 그 일측 외측면에는 돌기(4)가 형성되고, 타측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4)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을 상호 결합하여 측면방향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조합형 화분은 상측둘레부와 하측둘레부의 규격이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4)와 결합홈(6)은 외측면의 하측에서 상측에 걸쳐 형성되어, 이 돌기(4)와 결합홈(6)을 상호 높이가 다르게 결합하여, 각 화분(2)의 높낮이를 다르게 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8)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화분.
KR2020050029889U 2005-10-20 2005-10-20 조합형 화분 KR200406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89U KR200406781Y1 (ko) 2005-10-20 2005-10-20 조합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89U KR200406781Y1 (ko) 2005-10-20 2005-10-20 조합형 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284A Division KR100703072B1 (ko) 2005-10-20 2005-10-20 조합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781Y1 true KR200406781Y1 (ko) 2006-01-24

Family

ID=4929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89U KR200406781Y1 (ko) 2005-10-20 2005-10-20 조합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36A1 (ko) * 2013-02-12 2014-08-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재배 용기 형성용 판상 부재, 식물 재배 용기 및 식물 재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36A1 (ko) * 2013-02-12 2014-08-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재배 용기 형성용 판상 부재, 식물 재배 용기 및 식물 재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1315C (en) Covers for plant-growing media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US8635808B1 (en) Partitioned planter
EP3035789B1 (en) Basket for an orchid plant having aerial roots
US20160050857A1 (en) Plant pot system
KR200406781Y1 (ko) 조합형 화분
JP4972655B2 (ja) 鑑賞植物の栽培容器
KR100703072B1 (ko) 조합형 화분
KR200400137Y1 (ko) 선인장 지지장치
CN207491637U (zh) 一种花盆
JP5300457B2 (ja) 植栽基盤及びそれを使用した植栽方法
CN215011949U (zh) 一种园艺用固定爪台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20110001647U (ko) 원예용 용기
JP4116023B2 (ja) 育苗ポット及び苗床
KR100235227B1 (ko) 화분과 그 제조방법
JP3845676B2 (ja) 花などの植物がよく育ち、水やりが少なくてすむコンテナ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KR20220000995U (ko) 확장형 화분
CN209806582U (zh) 一种多用途育苗杯
KR102106693B1 (ko) 화분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CN115702623A (zh) 一种园艺用固定爪台
KR20230136491A (ko) 식물의 뿌리 손상이 방지되는 이식용 화분
JPH0611444U (ja) 多段可変式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