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29Y1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6629Y1 KR200406629Y1 KR2020050031523U KR20050031523U KR200406629Y1 KR 200406629 Y1 KR200406629 Y1 KR 200406629Y1 KR 2020050031523 U KR2020050031523 U KR 2020050031523U KR 20050031523 U KR20050031523 U KR 20050031523U KR 200406629 Y1 KR200406629 Y1 KR 2004066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 water tank
- outflow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657 drainag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저장수가 담긴 메인수조와 공급수가 담긴 유출수조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의 밸브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신속히 상기 밸브를 수리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물이 계속 유입되는 유출수조에서 작업하기에 매우 위험하고, 또한 안전 및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작업하기도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에 제1,2차단벽(131)(132)을 형성하여 배수지 수조(100)를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와 설비실(130)로 구획하고, 상기 설비실(130)의 내부에는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140)을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관(140)에는 자동밸브(141)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를 형성하고, 상기 제1연결관(140)중 각각의 유지보수용 밸브(142) 바깥쪽에 비상밸브(151)가 구비된 제2연결관(150)의 양단과 직접 연결시키므로서, 제1연결관(140)의 자동밸브(141)에 이상이 생길 경우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로 제1연결관(140)을 차단시키고 제2연결관(150)을 이용하여 저장수(111)를 계속 유출수조(120)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공급수(121)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는 상기 설비실(130)의 내부에서 밸브 등의 수리등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배수지, 수조, 차단벽, 도류벽, 밸브, 연결관, 급수, 수위, 수압, 공급수,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배수지 수조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 2 는 종래 배수지 수조의 물 흐름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지 수조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지 수조의 물 흐름을 예시한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수지 수조 110 : 메인수조
111 : 저장수 120 : 유출수조
121 : 공급수 130 : 설비실
140 : 제1연결관 141 : 자동밸브
142,143 : 유지보수용 밸브 150 : 제2연결관
151 : 비상밸브
본 고안은 배수지에서 급수지역으로 이동되는 공급수의 수위를 조절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배수지에 형성된 수조에 공급수를 항상 적정한 수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수의 수위를 조절해주는 각종 밸브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관리 및 유지와 보수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지의 물을 급수지역으로 공급함에 있어서, 배수지에서 급수지역으로 공급되는 물은 높이차를 이용한 무동력의 자연급수방식과, 배수지에서 다른 배수지 또는 급수지역으로 펌프 등을 이용하여 공급하는 가압급수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자연급수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도 1 은 배수지 수조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배수지의 수조(10)는 차단벽(13)에 의해 메인수조(11)와 유출수조(12)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수조(11)와 유출수조(12)는 연결관(1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수조(11)의 저장수(11a)가 연결관(14)을 통해 유출수조(12)로 이동되면서 유출수조(12)의 내부에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공급수(12a)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관(14)에는 밸브(14a)가 설치되어 있어 연결관(14)을 통과하는 저장수(11a)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유출수조(12)의 상부에는 유출수조(12)에 저장되는 공급수(12a)의 수위를 측정해줄 수 있도록 수위계(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수조(11)에는 많은 량의 저장수(11a)가 저장되어 있는 반면에 유출수조(12)에는 상기 연결관(14)의 밸브(14a)와 수위계(16)에 의해 항시 적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공급수(12a)가 저장되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 유출수조(12)에 저장되는 공급수(12a)의 수위는 급수지역과의 높이차를 만들게 되면서 공급수(12a)의 수압에 변화를 주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수조(12)에 저장된 공급수(12a)의 수위가 H1 이하 일 경우에는 급수지역과의 높이차가 적정하게 되면서 급수지역으로 이동되는 공급수(12a)의 수압 또한 적정하여 배수지 수조(10)에서 급수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배관(20)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유출수조(12)에 저장된 공급수(12a)의 수위가 H2 이상 일 경우에는 배수지역과의 높이차가 커지게 되면서 급수지역으로 이동되는 공급수(12a)의 수압이 과다해지게 되고, 이는 배수지 수조(10)와 급수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배관(20)에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배관(20)중 어느 한부분 또는 그 이상에서 균열 등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균열된 부위로부터 누수가 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지하에 매설된 긴 구간의 배관(20)중 어느 부분이 누수된지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지고, 많은 인력과 장비를 사용하게 되어 비용의 증가는 물론 작업성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출수조(12)에 설치된 수위계(16)가 유출수조(12)에 저장되는 공급수(12a)의 정확한 수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면서 연결관(14)의 밸브(14a)와 연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밸브 (14a)에 의해 연결관(14)을 통과하는 저장수(11a)의 이동이 제어되어 유출수조(12)에는 공급수(12a)가 항상 적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상기 연결관(14)의 밸브(14a)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유출수조(12)에 저장되는 공급수(12a)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서 급수지역으로 이동되는 공급수(12a)의 수압이 커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히 유출수조(12)의 내부로 들어가 상기 밸브(14a)를 점검 및 수리 또는 교체 등의 작업을 해야 하지만 밸브(14a)의 고장으로 유출수조(12)에는 공급수(12a)의 수위가 점점 올라가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위험해질 수 있는 것이며, 신속히 밸브(14a)를 수리하지 못할 경우 급수지역으로 이동되는 공급수(12a)의 수압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지 수조 내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부를 두고 저장수가 저장된 부위와 공급수가 저장된 부위를 연결해주는 연결관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연결관의 밸브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추가된 보조의 연결관을 통해 저장수가 지속적으로 공급수가 저장된 부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급수의 수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연결관의 밸브의 점검 및 수리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공간부에서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지의 공급수를 급수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 제1차단벽과 제2차단벽을 형성하여 저장수가 저장되는 메인수조와 공급수가 저장되는 유출수조와 설비실로 구획시켜 구성하고, 상기 설비실의 내부에는 메인수조와 유출수조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관에는 자동밸브와 상기 자동밸브의 양쪽에 위치되는 유지보수용 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1연결관에서 유지보수용 밸브의 바깥쪽에 위치한 부분에 제2연결관의 양단을 연결시켜 서로 통하도록 하며, 상기 제2연결관은 비상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저장수가 저장된 메인수조와 공급수가 저장된 유출수조가 제1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관에 설치된 자동밸브에 의해 유출수조로 이동되는 저장수의 량이 조절되면서 유출수조에 저장되는 공급수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밸브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제2연결관에 의해 메인수조의 저장수가 유출수조로 계속 이동될 수 있어 유출수조에 저장된 공급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자동밸브의 점검 및 수리는 작업자가 물이 없는 설비실에 들어가서 안전하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지 수조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지 수조의 물 흐름을 예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배수지의 공급수를 급수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수지 수조(100)를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로 구성한 점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지 수조(100)는 메인수조(110) 아래에 별도의 유출수조(120)를 분리된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수지 수조(100) 내부에 제1차단벽(131)과 제2차단벽(13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1차단벽(131)과 제2차단벽(132)에 의해 저장수(111)가 저장되는 메인수조(110)와 공급수(121)가 저장되는 유출수조(120)와 물이 유입되지 않는 설비실(130)로 구획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비실(130)에는 메인수조(110)의 내부와 유출수조(120)의 내부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제1연결관(140)을 설치하며, 상기 제1연결관(140)에는 자동밸브(141)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를 형성하고, 비상밸브(151)에 의해 제어되는 제2연결관(150)의 일단은 제1연결관(140)중 제1차단벽(131)과 한쪽 유지보수용 밸브(142) 사이의 한 지점에 연결시키며, 제2연결관(150)의 타단은 제1연결관(140)중 제2차단벽(132)과 다른 한쪽 유지보수용 밸브(143) 사이의 한 지점에 연결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2)는 메인수조(110)의 내부로 저장수(111)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이며, (122)는 유출수조(120)로의 공급수(121)를 급수지역으로 배출 하기 위한 공급관이고, (160)은 상기 제2연결관(150)을 보조하여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를 유출수조(120)의 공급수(121)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연결관이며, (161)은 상기 보조연결관(160)을 제어하는 보조밸브이고, (170)은 메인수조(110)의 내부에 형성된 도류벽이며, (180)은 유출수조(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를 측정해주는 수위계이고, (200)은 유출수조(120)의 공급수(121)가 급수지역으로 이동되는 경로에 위치한 배관(200)의 일부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수지 수조(100)의 공급수(121)가 일정한 수위를 계속 유지하면서 급수지역으로 적정한 수압에 의해 자연낙하되어 공급되도록 함에 있어서,
배수지 수조(100)의 메인수조(110)에 저장된 저장수(111)를 유출수조(120)로 이동시켜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를 일정하게 해주는 연결관의 밸브를 배수지 수조(100)내의 물이 없는 별도의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밸브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보조로 설치된 다른 연결관에 의해 저장수(111)는 유출수조(120)로 계속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이 생긴 밸브는 작업자가 상기 물이 없는 별도의 공간에서 안전하면서 효과적으로 관리 및 보수를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밸브 및 연결관이 습기가 차단된 부위에 위치됨에 따라 밸브 및 연결관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지 수조(100)의 구성을 보면 배수지 수조(100)의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다수개의 도류벽(170)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지 수조(100)의 한쪽에는 배수지 수조(100)의 내부로 저장수 (111)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급수지역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지 수조(100)의 내부는 제1차단벽(131)과 제2차단벽(132)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배수지 수조(100)의 내부가 상기 제1차단벽(131)과 제2차단벽(132)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때 배수지 수조(100)의 한쪽면과 제1차단벽(131)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이 메인수조(110)가 되며, 상기 메인수조(110)에는 저장수(111)가 일정한 높이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지 수조(100)의 반대쪽면과 제2차단벽(132)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이 유출수조(120)가 되는 것이며, 상기 유출수조(12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수조(110)로부터 저장수(111)가 유입되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공급수(121)가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차단벽(131)과 제2차단벽(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설비실(130)이 되는 것인데, 상기 설비실(130)에는 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는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 변화에 따라 공급의 지속 또는 중지가 결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메인수조(110)의 내부와 유출수조(120)의 내부를 제1연결관(140)의 양단과 연결시켜 서로 통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제1연결관(140)은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의 사이에 위치한 설비실(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140)에는 중앙부위에 자동밸브(141)가 설치되는데, 상기 자동밸브(141)는 유출수조(120)의 수위계(180)와 연동되면서 유출수조(120)에 저장된 공급수(121)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도의 변화(0~100%)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가 상기 자동밸브(141)의 제어를 받으면서 제1연결관(140)을 통해 유출수조(120)로 이동됨에 따라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는 항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140)의 자동밸브(141) 전후 양쪽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동방식의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를 각각 형성한 것이며, 이와 함께 상기 제1연결관(140)중 제1차단벽(131)과 한쪽 유지보수용 밸브(142)의 사이 한 지점 및 제2차단벽(132)과 다른 한쪽 유지보수용 밸브(143)의 사이 한 지점을 별도의 제2연결관(150) 양단과 서로 통하도록 연결시키고, 상기 제2연결관(150) 또한 수동방식의 비상밸브(15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가 제1연결관(140)을 통해 유출수조(120)로 이동될 때 수위계(180)와 상기 제1연결관(140)에 구비된 자동밸브(141)에 의해 정확히 제어되면서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1연결관(140)에 형성된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는 열려진 상태가 되어야 하고, 제2연결관(150)의 비상밸브(151)는 잠겨진 상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자동밸브(141)가 파손 또는 오동작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가 설비실(130)로 들어간 상태에서 열려져 있던 제1연결관 (140)의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를 잠그고, 제2연결관(150)의 비상밸브(151)는 열어주게 되면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가 제1연결관(140)을 통해 유출수조(120)로 이동되지 못하고, 대신 제2연결관(150)을 통해 비상밸브(151)의 제어를 받으면서 유출수조(120)로 이동됨에 따라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는 계속 적정수위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그동안 작업자는 설비실(130)로 들어가 자동밸브(141)를 점검 및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140)의 자동밸브(141)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제2연결관(150)에 의해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가 유출수조(120)로 계속 이동될 수 있어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를 항시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는 물이 없는 설비실(130)에서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상기 자동밸브(141)를 점검 및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관(150)은 제1연결관(140)의 자동밸브(141)를 점검 및 수리 또는 교체하는 동안 임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2연결관(150)만으로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조절을 정확히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수조(110)의 내부와 유출수조(120)의 내부를 직접 연결해주는 보조연결관(160)을 설비실(130)에 별도로 설치하고, 상기 보조연결관(160)에는 수동으로 조절되는 보조밸브(161)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보조연결관(160)과 제2연결관(150)을 이용하여 유출수조(120)에 저장되는 공급수(121)의 수위조절을 보다 효과 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지 수조의 메인수조에 저장된 저장수가 연결관에 의해 유출수조로 이동되어 유출수조의 내부에 공급수가 적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저장되도록 함에 있어서,
수조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인 설비실을 만들고, 상기 설비실에 상기 연결관을 위치시키며, 상기 연결관에는 기존의 자동밸브와 함께 유지보수용의 밸브와 보조의 연결관을 설치함에 따라 기존의 자동밸브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유지보수용 밸브와 보조의 연결관에 의해 메인수조의 저장수가 계속적으로 유출수조로 이동되어 유출수조의 공급수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물이 유입되지 않는 설비실에 작업자가 들어가 기존의 자동밸브의 유지보수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자동밸브 및 유지보수용 밸브와 연결관이 물이 유입되지 않는 설비실에 위치됨에 따라 습기의 차단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 배수지 수조(100)를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로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배수지 수조(100)를 구성하는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의 사이에 격리되는 설비실(130)을 구성하고,상기 메인수조(110)의 저장수를 유출수조(120)로 공급하는 제1연결관(140)은 일단이 설비실(130)에 놓이도록 설치하며,그 설비실(130)에 놓인 제1연결관(140) 부위에는 유출수조(12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180)에 의해 개폐 조절되는 자동밸브(141)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밸브(141)의 전/후에 유지보수용 밸브(142)(143)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설비실(130)에 놓인 제1연결관(140)의 유지보수용 밸브(142)(143) 전후로 제2연결관(15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관(150) 상에는 자동밸브(141) 고장시 사용할 비상밸브(15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설비실(130)의 내부에는 양단이 메인수조(110)와 유출수조(120)의 내부와 연결되어 메인수조(110)의 저장수(111)를 유출수조(120)에 보조 공급하도록 보조밸브(161)가 구비된 보조연결관(160)을 추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523U KR200406629Y1 (ko) | 2005-11-07 | 2005-11-07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523U KR200406629Y1 (ko) | 2005-11-07 | 2005-11-07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6091A Division KR100713632B1 (ko) | 2005-11-07 | 2005-11-07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6629Y1 true KR200406629Y1 (ko) | 2006-01-23 |
Family
ID=4175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1523U KR200406629Y1 (ko) | 2005-11-07 | 2005-11-07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6629Y1 (ko) |
-
2005
- 2005-11-07 KR KR2020050031523U patent/KR2004066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3950B1 (ko) |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지하수계량기 및 수압계 동파방지장치 | |
US7073976B1 (en) | Under-dispenser containment system | |
KR200406629Y1 (ko)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
KR100713632B1 (ko) |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 |
KR20140092464A (ko) |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 |
KR101389797B1 (ko) | 경계변용 제수밸브 | |
KR101056147B1 (ko) |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 |
KR100643084B1 (ko) |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JP7058527B2 (ja) | 継手および汚水排出システム | |
KR102629407B1 (ko) | 수도법 시행령 규제 대응을 통한 복합기능 일체형 부단수 밸브 | |
RU2330960C2 (ru) |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крепью | |
KR102058937B1 (ko) | 배관부가 이중으로 구비된 장스팬타입의 가동보 | |
KR20110017209A (ko) | 상하수도 관로의 임시 차수 시스템 | |
KR100932469B1 (ko) | 상수도 공급시스템용 관말의 정체수 순환장치 | |
KR101062894B1 (ko) | 유류 배출 밸브용 인디게이터 | |
KR100838759B1 (ko) | 콘크리트 복공이 있는 수로터널의 정밀 누수검사 및지하수압 조절장치 | |
KR200168585Y1 (ko) |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 |
CN111855110A (zh) | 一种pvc-u内螺旋排水管道分层灌水试验方法 | |
KR100654634B1 (ko) | 상수도 제수밸브 관리용 조립식 맨홀 | |
KR101090206B1 (ko) |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장치 | |
JP6828082B2 (ja) | 真空式排液収集システムおよび排液収集方法 | |
KR101681127B1 (ko) | 취수탑의 수문 보수용 차단장치 | |
KR20100005294U (ko) | 천정 매립형 에어컨의 드레인파이프 누수 확인 장치. | |
JP6525597B2 (ja) | 真空式排液収集システムおよび排液収集方法 | |
KR200418526Y1 (ko) | 수도미터기용 역지변용 앵글밸브의 설치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