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97B1 - 경계변용 제수밸브 - Google Patents

경계변용 제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97B1
KR101389797B1 KR1020130086076A KR20130086076A KR101389797B1 KR 101389797 B1 KR101389797 B1 KR 101389797B1 KR 1020130086076 A KR1020130086076 A KR 1020130086076A KR 20130086076 A KR20130086076 A KR 20130086076A KR 101389797 B1 KR101389797 B1 KR 101389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discharge pipe
pipe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3008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81Guillotine or blade-type valves, e.g. no passage through the valv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관 설치 중, 수압 조정과 누수 수리, 수로의 개폐 등에 사용되는 제수밸브를 제공하되, 관로의 녹물, 이물질 등 퇴수 기능을 하며 다양한 퇴수용 밸브와 함께 사용가능한 배출관을 더 구비하여, 퇴수밸브의 기능 또한 겸비하도록 하되, 상기 배출관의 경우 밸브몸체의 일측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밸브몸체의 양측에서 퇴수가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는 퇴적물의 퇴적을 위한 퇴적홈이 형성되어 있되, 이러한 퇴적홈과 대응연통되며 저면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배출관을 더 구비하도록 하며, 이러한 배출관은 시공현장의 조건 및 요건에 따라 다양하게 분리/조립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경계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계변용 제수밸브{WATER VALVE FOR BOUNDARY AREA}
본 발명은 제수밸브에 있어서, 시공현장요건에 따라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를가지는 배출관을 형성하여, 별도의 퇴수밸브를 설치하지 않고도 밸브 디스크 양측방향에 선택적으로 퇴수 및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경계변용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상수도관을 매설할 때 일정 구간마다 제수밸브를 매설하여 배관의 교환이나 수리 같은 공사시 해당 위치의 제수밸브를 제어하여 전체적인 단수를 피하고 부분적인 단수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그리고 상수도 공급수계를 구획하여 그 분기점에도 제수밸브를 설치하는데, 이는 수계와 수계 사이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점에 설치되는 제수밸브는 보다 주의깊게 관리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수도 설치시에는 전술된 제수밸브 외에, 공사 시행 후 퇴수를 위하여 별도의 퇴수시설(소화전 또는 퇴수 밸브)을 갖추어야 한다.
즉, 현재 상수도관의 공사에 따른 퇴수 및 정체수 수질 관리를 위하여 별도의 소화전 및 퇴수 밸브를 시공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상수도관에도 유지관리상 필요에 따라 퇴수 밸브를 계속하여 신설해 나가고 있어 이에 따른 예산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별도의 소화전 및 퇴수 밸브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공사시행 구간 및 기타 퇴수가 필요한 지점에서 퇴수를 시행할 수 없고, 인접한 지역에 설치된 퇴수 밸브 등에서 퇴수를 하기 때문에 물의 낭비가 심하고, 불필요한 단수 등을 하여야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퇴수 밸브가 설치된 경우에도, 퇴수 유출말단을 하수도까지 연장하여 설치해 왔기 때문에 퇴수 완료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수도관 설치시, 배수의 균형을 꾀하기 위한 수압 조정과 누수 수리, 수로의 개폐 등에 사용되는 제수 밸브를 제공하되, 다양한 공사 시행 후 퇴수를 하거나 또는 관로 내 녹물 및 이물질을 배출하는 퇴수의 기능을 겸비토록, 내부에 퇴적물이 퇴적을 위한 퇴적홈과 더불어, 시공현장여건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분리/결합되어 개폐가 제어되는 배출관 등이 구비된 지수밸브 또는 볼 밸브 등의 제어수단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계변용 제수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유로(11)를 개폐하는 밸브 디스크(15)가 설치되어 있는 밸브 몸체(10);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 저면에 유로방향을 향해 상호간 이격되며, 소정깊이(D)로 파여져 형성되는 복수개의 퇴적홈(20); 상기 밸브 몸체(10)의 일측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 위치에 각각 천공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퇴적홈(20)에 각각 대응되며 연통되어, 천공 저면이 퇴적홈(20)의 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연결공(30); 상기 연결공(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40); 상기 배출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출관(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수밸브에 관로 내 녹물 및 이물질 등의 배출을 위한 퇴수밸브의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수가 되는 배출관의 경우, 설치되는 시공현장여건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향 및 길이로 조절되어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수밸브 내 퇴적물이 퇴적되는 퇴적홈을 형성하고, 배출관이 이러한 퇴적홈의 저면과 대응되며 수평을 이뤄 연통되도록 하여, 퇴적물의 배출 또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몸체의 일측에서 밸브 디스크의 좌, 우방향에 각각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밸브 디스크를 통해 밸브몸체를 밀폐했을 경우, 밸브 디스크의 양방향 어느쪽으로도 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수용 밸브로 지수밸브 또는 볼 밸브 등 다양한 밸브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변용 제수밸브의 첫번째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변용 제수밸브의 두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변용 제수밸브의 세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내부에 유로(11)를 개폐하는 밸브 디스크(15)가 설치되어 있는 밸브 몸체(10);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 저면에 유로방향을 향해 상호간 이격되며, 소정깊이(D)로 파여져 형성되는 복수개의 퇴적홈(20); 상기 밸브 몸체(10)의 일측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 위치에 각각 천공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퇴적홈(20)에 각각 대응되며 연통되어, 천공 저면이 퇴적홈(20)의 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연결공(30); 상기 연결공(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40); 상기 배출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출관(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40)은 상호간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시공현장조건에 따라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연결관(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41) 중 하나는 중단이 사전설정각도(α)를 가지며 절곡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유로방향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41) 중 하나는 중단이 사전설정각도(α)를 가지며 절곡되되, 타단이 지면과 직립되는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또는 유로방향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눕혀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유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50)은 일단에 연장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51)를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51)에는 사용시 개방되고, 미사용시 밀폐용으로 사용되는 커버(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50)은 지수밸브 또는 볼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10)의 타측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측 유로를 상호간 연통연결하되, 개폐가 가능한 개폐수단(61)이 구비됨으로써, 밸브 몸체(10) 내 차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변용 제수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계변용 제수밸브는 밸브 몸체(10), 퇴적홈(20), 연결공(30), 배출관(40),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10)는 상, 하수도를 이루는 배관(P)과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경계변용 제수밸브의 몸통으로써, 내부는 비어있으며, 개구된 양단에 배관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물론, 상기 밸브 몸체(10)에는 밸브 몸체(10) 내부를 통과하여 배관과 배관사이를 유동되는 유체의 이동을 유동 및 차단하는 제어를 하기 위해, 내부에는 밸브 디스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밸브 디스크(15)의 외주연에 상단에는 조작봉(1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작봉(13)은 밸브 몸체(10)의 상단을 관통하여 조작봉(13)을 회전시키는 회전체(14)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회전체(1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 디스크(15)를 밸브 몸체(10)에서 회전시켜, 유로(11)를 개방 또는 밀폐하는 형태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밸브 몸체(10)의 양단에는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어, 각 배관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대응되며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퇴적홈(20)은 전술된 밸브 몸체(10)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밸브 몸체(10)의 저면에서 소정깊이(또는 사전설정된 깊이, D)로 파여짐으로써, 상기 배관과 배관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의 각종 이물질 등이 유동되다가 밸브 몸체(10) 저면에 파여져 형성되어 있는 퇴적홈(20)에 퇴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퇴적홈(20)은 본 발명에서 복수개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복수개의 퇴적홈(20)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어 밸브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되, 상기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측(밸브 디스크(15)를 중심으로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측에 하나씩)에 각각 위치되어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상기 퇴적홈(20)의 단면 형태는 후술될 배출관(40)과 대응되며 연통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40)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배출관(40)의 원형 단면일 경우, 상기 배출관(40)은 반구의 형태로 파여지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상호간 대응되는 형태로 연통될 수 있도 할 수 있음이다.
즉, 이러한 복수개의 퇴적홈(20)은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11)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도록 파여지는 것이며, 상기 밸브 몸체(10)의 저면에서 폭방향을 향해 파여질 수 있음이다.
상기 연결공(30)은 전술된 퇴적홈(20)과 마찬가지로 전술된 밸브 몸체(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연결공(30)을 밸브 몸체(10)의 일측에 상호간 이격시켜 복수개 천공형성하는 것이되, 전술된 복수개의 퇴적홈(20)과 각각 연통되는 연통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복수개의 퇴적홈(20)과 각각 연통되는 형태로 복수개의 연결공(30)이 밸브 몸체(10)에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복수개의 연결공(30) 또한 복수개의 퇴적홈(20)과 마찬가지로 밸브 몸체(10) 내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천공형성되어 있는 배치를 가진다. 또한 이렇기에, 상기 연결공(30)의 하단은 퇴적홈(20)의 저면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형태가 된다.(이때, 실시예에 따라, 연결공(30)의 상단은 밸브 몸체(10)의 유로(11) 저면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배치를 가진다.)
상기 배출관(40)은 전술된 밸브 몸체(10)의 외주연에서 복수개의 연결공(30)에 각각 대응되며 연통체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전술된 복수개의 연결공(30)이 복수개의 퇴적홈(20)과 연통되는 형태로, 상기 밸브 몸체(10)의 일측에 복수개 천공형성되어 있기에, 이러한 복수개의 연결공(30)에 체결되는 배출관(40) 또한 밸브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복수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배출관(40)은 시공현장요건, 요구,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리 및 조립이 되어 일체를 이루는 다수의 연결관(41)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수의 연결관(41)은 상호간 대응되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단에는 나사산이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나사산이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호간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 또는 각 연결관(41)의 단부마다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호간 고정수단(볼트, 너트 등)에 의해 상호간 체결되는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를 가진다.
이러한 다수의 연결관(41) 중 하나는 중단이 사전설정각도(α)로 절곡되어 유로(11)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서는 2개의 직선 연결관(41A, 41B)과 하나의 절곡 연결관(41C)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관(40) 구성을 사용하는데, 상기 연결공(30)에 직선 연결관(41A) 하나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이후 절곡 연결관(41C)을 연결 후, 나머지 직선 연결관(41B)을 마져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수 연결관(41)의 구성은, 전술된 바와 같이,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3개가 아닌 2개 또는 3개 이상의 연결관(41)이 상호간 체결되어 일체를 이루어 사용되거나, 또는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관(41) 중 절곡 연결관(41C)은 사용되지 않고 사용되거나 또는 절곡되는 절곡 연결관(41C)의 사전설정각도(α)의 절곡각도가 예각, 직각, 둔각 등 다양한 형태가 되는 절곡 연결관(41C)을 사용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첫번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관(41)을 사용하되, 사전설정각도(실시예에서는 90°)를 가지고 있는 절곡 연결관(41c)의 일단부를, 연결공(30)에 연결된 직선 연결관(41A)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되는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번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공(30)에 직선 연결관(41A)을 연결후, 절곡 연결관(41C)을 연결시, 상기 절곡 연결관(41C)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면서 본 발명에 따른 경계변용 제수밸브의 유로방향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절곡 연결관(41C)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상부를 향해 직립되는 형태가 되도록 사용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전술된 배출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40)의 단부를 밀폐하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50)은 온/오프(on/off)기능을 가지는 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밸브를 사용하거나, 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0)을 지수밸브로 사용할 수 있음이며, 본 발명에서 제시된 제어수단(볼 밸브 및 지수밸브)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퇴수용으로 다양한 밸브가 본 발명의 제수밸브에 퇴수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다.
물론, 첫번째 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절곡 연결관(41C)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에 볼 밸브의 제어수단(50)이 사용되었고,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절곡 연결관(41C)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면서, 지수밸브의 제어수단(50)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절곡 연결관(41C)의 절곡 각도와 제어수단(50)의 종류는 상호간 다양하게 변경되어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제어수단(50)의 단부에는 퇴수 작동시 유체 배출을 위한 연장관(연장호스 등)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51)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이러한 체결부(51)에는 착탈가능한 커버(52)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40)을 사용하지 않을 시 체결부(51)를 밀폐하여 배출관(40)이 밀폐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관(40)을 사용시에는 벗겨내어 체결부(51)가 개방되도록 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바이패스부(60)는 전술된 밸브 몸체(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된 배출관(40) 및 제어수단(50)이 밸브 몸체(10)의 일측(전방면)에 형성되어 있다면, 이러한 배출관(40)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 몸체(10)의 반대면인 타측(후방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바이패스부(60)는 일단이 밸브 디스크(15)를 기준으로, 밸브 몸체(10)의 후방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좌측에 연통연결되고, 타단은 밸브 몸체(10)의 후단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우측에 연통연결되는 형태가 되되, 중단에는 개폐수단(ex: 밸브)(61)이 구비되도록 하여, 바이패스부(60)의 유로개방 및 밀폐가 가능토록 한다.
즉, 이러한 상기 바이패스부(60)는 밸브 몸체(10) 내의 밸브 디스크(15)가 잠겨, 상기 밸브 몸체(10) 내의 유로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 이후, 다시 밸브 디스크(15)를 오픈시키고자 할 때, 밸브 몸체(10) 내부에 걸려있는 차압에 의해 밸브 디스크(15)의 온/오프(ON/OFF)가 잘 되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바이패스부(60)를 오픈시켜 유로(11)를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밸브 몸체(10) 내 차압을 감소시켜 밸브 디스크(15)의 작동이 원활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밸브 몸체 11: 유로
12: 플랜지 13: 조작봉
14: 회전체 15: 밸브 디스크
20: 퇴적홈 30: 연결공
40: 배출관 41: 연결관
41A, 41B: 직선 연결관 41C: 절곡 연결관
50: 제어수단 51: 체결부
52: 커버 60: 바이패스부
61: 개폐수단

Claims (7)

  1. 내부에 유로(11)를 개폐하는 밸브 디스크(15)가 설치되어 있는 밸브 몸체(10);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 저면에 유로방향을 향해 상호간 이격되며, 소정깊이(D)로 파여져 형성되는 복수개의 퇴적홈(20);
    상기 밸브 몸체(10)의 일측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측 위치에 각각 천공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퇴적홈(20)에 각각 대응되며 연통되어, 천공 저면이 퇴적홈(20)의 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연결공(30);
    상기 연결공(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관(40);
    상기 배출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출관(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
    상기 밸브 몸체(10)의 타측에서 밸브 디스크(15)의 좌, 우측 유로를 상호간 연통연결하되, 개폐가 가능한 개폐수단(61)이 구비됨으로써, 밸브 몸체(10) 내 차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40)은 상호간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시공현장조건에 따라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연결관(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관(41) 중 하나는 중단이 사전설정각도(α)를 가지며 절곡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유로방향이 변경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관(41) 중 하나는 중단이 사전설정각도(α)를 가지며 절곡되되, 타단이 지면과 직립되는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또는 유로방향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눕혀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유로가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일단에 연장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51)를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51)에는 사용시 개방되고, 미사용시 밀폐용으로 사용되는 커버(5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지수밸브 또는 볼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변용 제수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86076A 2013-07-22 2013-07-22 경계변용 제수밸브 KR10138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76A KR101389797B1 (ko) 2013-07-22 2013-07-22 경계변용 제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76A KR101389797B1 (ko) 2013-07-22 2013-07-22 경계변용 제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797B1 true KR101389797B1 (ko) 2014-04-29

Family

ID=5065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076A KR101389797B1 (ko) 2013-07-22 2013-07-22 경계변용 제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38B1 (ko) * 2014-10-23 2015-07-22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다기능 제수밸브
KR102140481B1 (ko) 2020-02-05 2020-08-04 (주) 삼진정밀 맨홀 하단에 장착되어 퇴수기능을 가지는 경계밸브용 제수밸브
WO2022243661A1 (en) * 2021-05-17 2022-11-24 John Manning Means for flushing scale and sand from gate valv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364A (ja) * 1997-08-22 1999-03-05 Maeda Corp 配管の着脱方法
KR200350971Y1 (ko) * 2003-07-28 2004-05-22 정필수 제수변의 바이패스 밸브장치
JP2004524460A (ja) * 2000-11-22 2004-08-12 ハイ−ラム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管継手
KR20090000712U (ko) * 2008-09-29 2009-01-22 임공영 다기능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364A (ja) * 1997-08-22 1999-03-05 Maeda Corp 配管の着脱方法
JP2004524460A (ja) * 2000-11-22 2004-08-12 ハイ−ラム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管継手
KR200350971Y1 (ko) * 2003-07-28 2004-05-22 정필수 제수변의 바이패스 밸브장치
KR20090000712U (ko) * 2008-09-29 2009-01-22 임공영 다기능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38B1 (ko) * 2014-10-23 2015-07-22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다기능 제수밸브
KR102140481B1 (ko) 2020-02-05 2020-08-04 (주) 삼진정밀 맨홀 하단에 장착되어 퇴수기능을 가지는 경계밸브용 제수밸브
WO2022243661A1 (en) * 2021-05-17 2022-11-24 John Manning Means for flushing scale and sand from gate valves
GB2612005A (en) * 2021-05-17 2023-04-26 Patrick Manning John Method and means for flushing scale and sand from gate val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797B1 (ko) 경계변용 제수밸브
KR100915391B1 (ko) 소방용 개폐밸브
CN104278732A (zh) 一种用于城市排水管道修复时的临时排水装置
KR102294906B1 (ko) 점검구겸 세척 퇴수 제수밸브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CN203383314U (zh) 一种用于城市排水管道修复时的临时排水装置
KR101764772B1 (ko) 상하수도 관로 바이패스용 삼방밸브
KR101558159B1 (ko) 관로용 통밸브
US7429147B2 (en) Anti-flooding device for the exploitation of water energy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20110019911A (ko) 유로 가변식 배수 점검구
KR102440380B1 (ko)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JP6832754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CN108844763A (zh) 可多级流量调节的排水系统试验装置
KR102140481B1 (ko) 맨홀 하단에 장착되어 퇴수기능을 가지는 경계밸브용 제수밸브
CN209397667U (zh) 一种汇流集成式供水系统
CN205012443U (zh) 厨卫双水槽完全防臭防堵拱形下水管
CN204826107U (zh) 一种排污管道防倒流装置
CN202017781U (zh) 自来水防冻空芯阀门
CN219100279U (zh) 适用于重力流的进水安全闸门井及重力流地下污水处理厂
NL1042649B1 (en) Drain pipe connection device and diverter device
KR20090006859U (ko) 수도용 수직조작형 새들분수전
JP3210573U (ja) 屋根融雪用排水弁付きエルボ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KR20160000409U (ko) 앵글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