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138B1 - 다기능 제수밸브 - Google Patents

다기능 제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138B1
KR101538138B1 KR1020140144513A KR20140144513A KR101538138B1 KR 101538138 B1 KR101538138 B1 KR 101538138B1 KR 1020140144513 A KR1020140144513 A KR 1020140144513A KR 20140144513 A KR20140144513 A KR 20140144513A KR 101538138 B1 KR101538138 B1 KR 10153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opening
closing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방열
이승헌
김태형
안재엽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주)건양엔지니어링
김태형
안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주)건양엔지니어링, 김태형, 안재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4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actuating member for each valve, e.g. interconnected to form 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수와 퇴수의 기능을 하나의 밸브로 구현하여 밸브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더 구비되어 배관에서 이동 중인 물의 수질을 확인할 수 있는 다기능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배관 또는 주배관과 연통된 지관에서 이동 중인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양측단이 플랜지로 형성되어 주배관 또는 지관과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개폐로드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크와, 상기 개폐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수부와; 상기 몸체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분기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유체가 이동하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일측에 배치되되 일단이 분기관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파지구를 포함하는 밸브체가 구비된 퇴수부와, 상기 몸체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를 조작하여 개폐구가 토출관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시키는 조작구가 구비된 채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제수밸브{Sluice valve}
본 발명은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수와 퇴수의 기능을 하나의 밸브로 구현하여 밸브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더 구비되어 배관에서 이동 중인 물의 수질을 확인할 수 있는 다기능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수밸브는,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 설치되는 게이트밸브로서, 지하에 상수도관을 매설할 때 일정 구간마다 제수밸브를 매설하여 배관의 교환이나 수리 같은 공사시 해당 위치의 제수밸브를 제어하여 전체적인 단수를 피하고 부분적인 단수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제수밸브는 통상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배관과 결합되는 몸체와, 이 몸체에 제공되어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승하강시키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로 구성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개폐로드가 디스크를 승하강시켜 물의 흐름을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제수밸브의 공개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591921호(2006.06.14., 등록)가 있다.
이렇게 지하에 매설되는 상,하수도용 또는 산업용 배관 시설에는 적정 위치마다 유로의 개폐를 위한 제수밸브가 설치되며, 상,하수도 공사 또는 재해 발생시 제수밸브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수밸브는 지상에서 지수전 철개의 지수 덮개를 열고 개폐로드에 조작키 또는 핸들을 끼워 조작하게 된다.
또한, 주배관 및 주배관에서 분기된 지관에는 오염된 물을 하수구로 빼내기 위한 퇴수관이 구비되는데, 상기 퇴수관을 개폐하는 퇴수밸브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러한 퇴수밸브는 상기 제수밸브와 같이 지상과 연통된 형태의 밸브실을 통하여 조작된다.
따라서, 주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고 분기된 지관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각각의 제수밸브 및 퇴수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밸브실이 성형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각 밸브실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각 밸브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밸브실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밸브실로 들어가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용이하나, 밸브실의 크기가 작아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경우 각 밸브를 조작하는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도로의 보수 작업 등에 따라 지수전 철개의 높이가 높게 위치되는 경우 그 조작이 더욱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제수밸브와 퇴수밸브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오염된 물을 빼내는 과정에서 수질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시야에 의존하여 수질 상태를 파악하게 되어 적절한 수질의 물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에 설치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제수와 퇴수의 기능을 하나의 밸브를 통해서 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되는 밸브의 개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지상과 연통되는 밸브실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도로 및 지면 등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지면을 깎을 때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송되는 물의 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송 중인 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는 토출구를 더 형성하여 수질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배관 또는 주배관과 연통된 지관에서 이동 중인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양측단이 플랜지로 형성되어 주배관 또는 지관과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개폐로드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크와, 상기 개폐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수부와; 상기 몸체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분기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유체가 이동하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일측에 배치되되 일단이 분기관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파지구를 포함하는 밸브체가 구비된 퇴수부와, 상기 몸체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를 조작하여 개폐구가 토출관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시키는 조작구가 구비된 채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수와 퇴수의 기능을 하나의 밸브를 통해서 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되는 밸브의 개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지상과 연통되는 밸브실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도로 및 지면 등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지면을 깎을 때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다기능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송되는 물의 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송 중인 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는 토출구를 더 형성하여 수질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제수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의 퇴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의 토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채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제수밸브(1)는, 제수부(10)와, 퇴수부(20)와 채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수부(10)는,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에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이동시키거나 폐쇄하는 것으로, 양측단이 플랜지(111)로 형성되어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과 결합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 내부에 배치되며 개폐로드(13)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크(12)와, 상기 개폐로드(13)를 회전시키는 핸들(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는, 내부가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에 플랜지(111)가 형성되어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과 결합되며, 중앙에는 내부에 디스크(12)가 안치되는 중공부를 갖는 안치구(112)가 상측 방향으로 볼트(113)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안치구(112)는 개폐로드(13)에 의해 상승된 디스크(12)가 안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11)의 상방에 배치되되 배치된 상태의 높이는 디스크(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승된 디스크(12)가 몸체(11)의 내부로 흐르는 물, 기름 등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12)는 몸체(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개폐로드(13)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몸체(11)의 내부를 연통시키거나 폐쇄하는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판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개폐로드(13)가 나선 결합되는 결합공(121)이 형성되고, 하강시 외주면이 몸체(11)의 내주면에 맞닿으면서 유체의 흐름을 막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12)는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면을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인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재는 금속재질에 비해 마모가 빨리 발생하게 되므로, 금속재질로 원형판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 재질로 금속재 원형판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캡(122)을 형성하여 원형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2)의 마모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마모된 캡(122)을 교환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개폐로드(13)는, 디스크(12)의 상부에 결합되어 디스크(1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스크류가 형성되며 하단은 디스크(12)와 체결구(131)를 통해 결합되고, 상단은 핸들(14)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31)에는 내주연에 나사홈(133)이 형성된 부싱(132)이 구비되어 상기 부싱(132)이 개폐로드(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와 나선 결합된다.
상기 핸들(14)은, 개폐로드(13)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거나 조작키 등이 체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로드(13)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수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14)을 회전시켜 개폐로드(13)를 회전시키고, 개폐로드(13)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2)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몸체(11) 내부를 연통시키거나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수부(10)는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을 교체하거나 내부를 청소하는 공정에서 디스크(12)를 하강시켜 몸체(11) 내부를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고, 공정이 완료된 뒤 디스크(12)를 상승시켜 몸체(11) 내부를 연통하여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수부(10)에는 몸체(11)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표시부(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 내부에 배치되어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151)와, 상기 센서(151)에서 감지한 압력값을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구(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15)는 통상적인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압력센서는 내부 구성 및 표시되는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자식, 반도체식 등이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퇴수부(20)는,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 내부에서 이동 중인 유체를 하수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1)에서 일측으로 분기된 분기관(21)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기관(21)은 몸체(11)의 내부와 연통되며, 몸체(11)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끝단에 하수처리되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하수관(120)이 결합된다. 이때 분기관(21)과 하수관(120)은 플랜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하는 부위에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패킹 등과 같은 별도의 밀폐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체(22)는, 분기관(21)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관(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유체가 이동하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회전구(221)와, 상기 회전구(221)의 상측에 배치되어 회전구(221)를 회전시키며 분기관(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파지구(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22)는 작업자가 파지구(222)를 조작하여 회전구(221)를 회전시켜 분기관(21) 내부를 연통시키거나 폐쇄하여 유체를 하수처리 하게 된다.
이러한 퇴수부(20)는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 내부에 슬러지 또는 공사 중 쌓이는 토사물 등이 유체에 섞여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측의 제수부(10)를 조작하여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의 일부를 폐쇄한 뒤 퇴수부(20)의 밸브체(22)를 조작하여 분기관(21)을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후, 유체를 공급하여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의 내부에 쌓인 슬러지 또는 토사물과 오염된 물이 분기관(21)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분기관(21)으로 이동된 물은 분기관의 외측 끝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분기관과 결합된 하수관(120)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채수부(30)는, 제수부(10)를 통과하는 물을 채수(採水)하여 수질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1)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토출관(31), 토출관(31)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토출관(31)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구(32)와, 상기 개폐구(32)와 결합되며 일단이 토출관(31)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작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관(31)은, 원형의 관체로서 몸체(11) 또는 퇴수부(20)의 분기관(21)과 연통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저장용 컵 등과 같은 저장구를 토출관(31)의 외측 끝단측에 배치하여 채수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관(31)의 외측 끝단은 하부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한 번에 많이 배출되지 않도록 외측 끝단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토출관(31)이 몸체(1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몸체(11)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될 수 있고, 수평하게 돌출된 끝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구(32)는, 원판형 또는 구(球)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구(33)가 개폐구(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구의 동작에 의해 토출관(31)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토출관(31)에는 개방된 외측 끝단을 개폐하는 덮개(34)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덮개(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산(341)이 형성되고 토출관(31)의 외주면에 대응나사산(342)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토출관(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줄(343)을 통해 토출관(3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덮개(34)의 내측면에는 토출관(31)으로부터 배출된 물의 질을 확인할 수 있는 진단시트(34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단시트(344)는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등과 같이 물의 수질을 검사할 수 있는 시약이 도포된 진단용 종이와 같은 것으로서, 덮개(34)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며 사용이 끝단 진단시트(344)는 덮개(34)로부터 분리한 뒤 새로운 진단시트(344)를 삽입하게 된다.
이후, 물의 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덮개(34)에 토출관(3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담고, 담겨진 물은 진단시트(344)를 통해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덮개(34)에는 상기 진단시트(344)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부(3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부(35)는 사용 전의 진단시트(344)를 보관하는 것으로, 덮개(34)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진단시트(344)를 보관하거나 빼고, 개방된 일측이 덮개(34)의 상부 테두리에 끼워져 덮개(34)와 결합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제수밸브 100 : 주배관 110 : 지관 120 : 하수관
10 : 제수부 11 : 몸체 12 : 디스크 13 : 개폐로드
14 : 핸들 15 : 표시부
111 : 플랜지 112 : 안치구 113 : 볼트 121 : 결합공
122 : 캡 131 : 체결구 132 : 부싱 133 : 나사홈
151 : 센서 152 : 표시구
20 : 퇴수부 21 : 분기관 22 : 밸브체
221 : 회전구 222 : 파지구
30 : 채수부 31 : 토출관 32 : 개폐구 33 : 조작구
34 : 덮개 35 : 저장부
341 : 나사산 342 : 대응나사산 343 : 연결줄 344 : 진단시트

Claims (1)

  1. 주배관 또는 주배관과 연통된 지관에서 이동 중인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양측단이 플랜지(111)로 형성되어 주배관(100) 또는 지관(110)과 결합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 내부에 배치되며 개폐로드(13)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크(12)와,
    상기 개폐로드(13)를 회전시키는 핸들(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수부(10)와;
    상기 몸체(11)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분기된 분기관(21)과,
    상기 분기관(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앙에 유체가 이동하는 구멍이 관통 형성된 회전구(221)와, 상기 회전구(221)의 일측에 배치되되 일단이 분기관(21)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조작하는 파지구(222)를 포함하는 밸브체(22)가 구비된 퇴수부(20)와;
    상기 몸체(11)와 연통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토출관(31)과,
    상기 토출관(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구(32)와,
    상기 개폐구(32)를 조작하여 개폐구가 토출관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전시키는 조작구(33)가 구비된 채수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12)는 원형판 형상을 하고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12)의 외주면을 감싸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2);
    상기 토출관(31)의 개방된 외측 끝단을 개패하는 덮개(34);
    상기 덮개(3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41);
    상기 토출관(31)의 개방된 외측 끝단부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341)에 대응되게 형성된 대응나사산(342);
    상기 덮개(34)의 상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하며 착탈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저장부(35);
    상기 저장부(35)의 내부에 보관되며 크로마토그래프로 이루어지는 진단시트(34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제수밸브.
KR1020140144513A 2014-10-23 2014-10-23 다기능 제수밸브 KR10153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513A KR101538138B1 (ko) 2014-10-23 2014-10-23 다기능 제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513A KR101538138B1 (ko) 2014-10-23 2014-10-23 다기능 제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138B1 true KR101538138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513A KR101538138B1 (ko) 2014-10-23 2014-10-23 다기능 제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8229A (zh) * 2020-10-13 2021-01-05 扬州智鹏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联网式高安全性高可靠性流体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473U (ja) * 1984-08-24 1986-03-26 横須賀市 消火栓付きバルブ
JPH0666380A (ja) * 1992-06-16 1994-03-08 Japan Organo Co Ltd 滞留防止機能を有するバルブ
KR200455896Y1 (ko) * 2008-09-29 2011-09-30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다기능 밸브
KR101389797B1 (ko) * 2013-07-22 2014-04-29 (주) 삼진정밀 경계변용 제수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5473U (ja) * 1984-08-24 1986-03-26 横須賀市 消火栓付きバルブ
JPH0666380A (ja) * 1992-06-16 1994-03-08 Japan Organo Co Ltd 滞留防止機能を有するバルブ
KR200455896Y1 (ko) * 2008-09-29 2011-09-30 주식회사 조흥밸브앤파이프 다기능 밸브
KR101389797B1 (ko) * 2013-07-22 2014-04-29 (주) 삼진정밀 경계변용 제수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8229A (zh) * 2020-10-13 2021-01-05 扬州智鹏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联网式高安全性高可靠性流体控制系统
CN112178229B (zh) * 2020-10-13 2022-04-05 扬州智鹏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联网式高安全性高可靠性流体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138B1 (ko) 다기능 제수밸브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200485133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US7044149B2 (en) Pipe fitting
CN208024427U (zh) 一种放油工装
CN207194024U (zh) 一种防洪用井盖结构及组合式内外井盖装置
CN105839698B (zh) 一种园林用雨水收集装置
CN213952461U (zh) 一种预制泵站
EP2157342B1 (en)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utlets of a fluid distributor valve
CN209553998U (zh) 一种混凝土外加剂液体储罐
CN101270852B (zh) 管道检漏器
EP3006790A1 (en) Valve unit
CN207648171U (zh) 一种阀门的引流装置
US20070119764A1 (en) Enhanced separation tank with pH control
CN201723980U (zh) 低压埋地煤气管道排水装置
CN207163744U (zh) 一种用于排水管道的水质取样检测装置
KR101126841B1 (ko) 상수도용 토탈 채수 장치
CN205369511U (zh) 一种污水收集与自动排放井
JP4547651B2 (ja) 弁装置
JPS621330Y2 (ko)
KR200486870Y1 (ko) 스트레이너 장치
KR200353970Y1 (ko)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RU2644423C2 (ru) Лопастная машин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злом, способ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а такж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CN109946118A (zh) 一种便携式油气水取样装置
KR200353969Y1 (ko)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