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585Y1 -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 Google Patents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585Y1
KR200168585Y1 KR2019990018209U KR19990018209U KR200168585Y1 KR 200168585 Y1 KR200168585 Y1 KR 200168585Y1 KR 2019990018209 U KR2019990018209 U KR 2019990018209U KR 19990018209 U KR19990018209 U KR 19990018209U KR 200168585 Y1 KR200168585 Y1 KR 200168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hydraulic
water system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90018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5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계의 분기점에 설치된 제수변을 양측 수계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제수변을 이용 합리적인 수계의 수압 관리로써 빨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수변은 수계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수계를 구분할 수 있는 장치가 없으며, 큰 단위의 수계와 수계를 잇는 제수변의 경우에는 측정장치가 없으므로 양측 모두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더더욱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수변내의 디스크(13)를 기준하여 양측 밸브체(10)에 나사구멍(16a)(16b)을 각각 형성하고, 각 나사구멍에 개폐밸브(20a)(20b)를 조립하고, 개폐밸브 단부에 수압계(22a)(22b)의 수압유도관(23)을 각각 나사결합 하였으며, 수압유도관에 에어방출콕(25)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계의 수압관리로 문제점도출시(예 가압장 범위의 경우 자연수는 수압이 낮고 가압수는 높아야 되나 일정할 경우)를 위한 수압측정시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 그 조치 또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압유도관의 에어방출콕(25)을 통해 수압측정시 에어를 방출할 수 있고 또 제수변상부의 커버에 설치된 기포배출장치를 통해 관로내의 기포는 자동 배출되기 때문에 관로내의 기포로 인한 물의 공급장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A water control valve which is able to measure water-pressure of both of the height}
본 고안은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계의 분기점에 설치된 제수변 양측 수계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장치를 설치하여 합리적인 수계의 수압 관리를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상수도 관을 매설할 때 일정 구간마다 제수변을 매설하여 배관의 교체나 수리와 같은 공사시 해당위치의 제수변을 제어하여 전체적인 단수를 피하고 부분적인 단수로도 작업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수도 공급수계를 구획하여 그 분기점에도 제수변을 설치하는데, 이는 수계와 수계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기점에 설치되는 제수변은 특별히 관리된다.
이러한 제수변은 구획된 수계에서 수압의 분포를 일정하게 조절할 때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정상적인 수압을 유지하던 수계가 비정상적으로 수압이 떨어질 때 그 원인을 파악하여 대처해야 한다. 만일 물 소비량의 변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압이 떨어진다면 관로의 누수나 기포층이 발생한 것이고, 또 해당지역에 인구 및 시설의 증가하였다면 이는 물의 소비량의 증가로 인하여 수압이 떨어진 것이므로 그에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확한 원인파악을 위해서는 해당관로의 수압을 정확히 체킹하여 이를 비교하므로써 가능하다.
수압체킹방법으로는 제수변으로 연결되는 관로에 구멍을 뚫어 이에 수압계를 연결하여 압력을 측정하거나 양측 수계에 설치된 별도의 수압측정부에서 측정을 하였다. 따라서 수압계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또 수압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다시 제수변으로 이동하여 제수변을 개폐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들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수변에 구멍을 뚫고 이에 플러그를 나사결합하여 필요할 때 제수변을 밀폐시킨 후 플러그를 풀고 그 자리에 수압계를 설치하여 수압을 체킹하도록 한 것이 있다.
하지만 선출원된 종래의 제수변은 수계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제수변의 경우에는 적용이 되나, 큰 단위의 수계와 수계를 잇는 제수변의 경우에는 양측 모두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더더욱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수변은 단순히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밸브장치일 뿐 에어를 방출하는 장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계 분기점에 설치된 제수변 양측에 수압측정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수계의 수압관리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압측정장치를 갖는 제수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압측정장치 및 제수변상부에 기포배출장치를 설치하여 관로내의 기포로 인한 물의 공급장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측정 장치가 부착된 제수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방출장치가 부착된 제수변의 단면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밸브체 11a,11b - 플랜지 12a,12b - 송,수관
13 - 디스크 14 - 커버 15 - 작동축
16a,16b,17 - 나사구멍 20a,20b - 개폐밸브 21 - 엘보
22a,22b - 수압계 23 - 수압유도관 24 - T관
25 - 에어방출콕 30 - 자동에어방출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이에 송,수관이 연결되는 밸브체의 내부에 작동축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디스크를 내장하고 그 상부에 커버로 밀폐된 통상의 제수변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양측 밸브체에 나사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나사구멍에 개폐밸브를 조립하고, 상기 개폐밸브 단부에 수압계를 각각 나사결합하여 제수변이 설치된 위치에서 양측 수계의 수압을 체킹할 수 있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압측정 장치가 설치된 제수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방출장치가 설치된 제수변의 단면 구조도이다.
참조번호 10은 관의 양측에 송,수관(12a)(12b)이 연결용 플랜지(11a)(11b)를 갖는 밸브체로서, 그 중앙부 내측에는 관로를 개폐하는 디스크(1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커버(14)가 결합되어 있으며, 디스크(13)는 커버(14)를 관통하여 회전되는 작동축(15)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수변의 밸브체(10)의 양측에 나사구멍(16a)(16b)을 각각 형성하고, 각 나사구멍(16a)(16b)에 개폐밸브(20a)(20b)를 조립하였다. 나사구멍(16a)(16b)을 형성할 때에는 가능한 한 관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개폐밸브(20a)(20b) 단부에 엘보(21)를 체결하고 수직으로 수압계(22a)(22b)의 수압유도관(23)을 각각 나사결합하였다. 이때 수압계(22a)(22b)는 수압유도관(23)의 상단에서 상향을 바라보도록 꺾여 상부에서 게이지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압유도관(23)의 중앙부에는 별도의 T관(24)을 연결 설치하고, 이에 에어방출콕(25)을 연결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디스크(13)를 기준으로 양측 밸브체(10)에 수압계(22a)(22b)를 설치한 본 고안은 특정 수계에 전체적으로 이상 수압차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압을 잰다. 수압측정은 단순히 본 고안의 제수변이 설치된 맨홀의 맨홀 뚜껑을 열고 상부에서 제수변내의 디스크(13)를 하강시킨 후 그 상태에서 개폐밸브(20a)(20b)를 개방시킨다. 관로내의 물은 개폐밸브(20a)(20b)를 통해 수압유도관(23)으로 유입되고 그 압력은 수압계(22a)(22b)에 전달되어 양측의 수압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맨홀의 상부에서 간편하게 수압을 체킹할 수가 있다.
관로내로 물이 흐르게 되면 자연히 기포가 발생되기 마련인데 이러한 기포는 높은 곳으로 모이게 된다. 제수변은 대부분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관로 내에 발생된 기포는 제수변으로 모이게 된다. 기포층이 커지게 되면 높은 수압을 걸어도 출력되는 쪽의 수압은 낮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반드시 배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관로 내에 기포층이 존재하는 것을 예상하여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개폐밸브(20a)(20b)를 개방시킬 때 에어방출콕(25)을 개방시켜 둔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수압계(22a)(22b)로 유입되는 물과 함께 에어가 승강되어 에어방출콕(25)을 통해 방출된다. 에어가 모두 방출되게 되면 물이 배출되게 되므로 이때 에어방출콕(25)을 닫고 정확한 수압을 체킹하면 된다. 수압체킹을 완료하게 되면 다시 개폐밸브(20a)(20b)를 잠그어 수압에 의해 수압 게이지가 물리적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수변에 에어가 차면 이를 상술한 방법으로 에어를 방출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조작은 관리자가 수시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힘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수변에 에어가 발생되면 이를 자동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수변의 커버(14) 상부에 자동에어방출장치(30)를 설치하였다. 즉, 커버(14)의 상부에 나사구멍(17)을 관통 형성하고, 이에 자동에어방출장치(30)를 설치하였다.
이 자동에어방출장치(30)에 의해 관로 내에 발생된 에어는 제수변에 모여 자동 배출되므로 항상 원활한 물의 흐름을 얻을 수가 있다.
참조번호 31은 에어실 이고 32는 뜨개, 33은 에어방출구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계 분기점에 설치된 제수변 양측에 수압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수계의 수압관리를 위한 수압측정시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 그 조치 또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압유도관에 설치된 에어방출콕에 의해 수압측정시 에어를 방출하고 또 제수변상부의 커버에 설치된 기포배출장치에 의해 관로내의 기포는 자동 배출되기 때문에 관로내의 기포로 인한 물의 공급장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양단에 플랜지(11a)(11b)가 형성되어 이에 송,수관(12a)(12b)이 연결되는 밸브체(10)의 내부에 작동축(15)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디스크(13)를 내장하고 그 상부에 커버(14)로 밀폐된 통상의 제수변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3)를 기준 하여 나뉘어진 양측 밸브체(10)에 나사구멍(16a)(16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나사구멍(16a)(16b)에 개폐밸브(20a)(20b)를 조립하고, 상기 개폐밸브(20a)(20b) 단부에 수압계(22a)(22b)의 수압유도관(23)을 각각 나사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유도관(23)에 에어방출콕(2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계(22a)(22b)를 상향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4)의 상부에 나사구멍(17)을 관통 형성하고, 이에 공지의 자동에어방출장치(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KR2019990018209U 1999-08-30 1999-08-30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KR200168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09U KR200168585Y1 (ko) 1999-08-30 1999-08-30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09U KR200168585Y1 (ko) 1999-08-30 1999-08-30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585Y1 true KR200168585Y1 (ko) 2000-02-15

Family

ID=1958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09U KR200168585Y1 (ko) 1999-08-30 1999-08-30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5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0365A (zh) * 2019-04-09 2019-06-11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附机构、水压测试装置、锁附方法及水压测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0365A (zh) * 2019-04-09 2019-06-11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附机构、水压测试装置、锁附方法及水压测试方法
CN109870365B (zh) * 2019-04-09 2024-03-29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附机构、水压测试装置、锁附方法及水压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18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bidirectional multi-phase fluid flow in a conduit
CN105507886B (zh) 一种溢流和井漏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JPH02248834A (ja) 流体導管系の漏れモニター方法及び装置
KR100856540B1 (ko) 컨트롤타입 유압엑츄에이터용 테스트블럭
WO2021133662A1 (en) Mechanical seal testing
KR200168585Y1 (ko) 양측수계의 수압측정이 가능한 제수변
CN208011156U (zh) 一种基于液氮的市政管道封堵装置
KR20120088949A (ko) 원자력발전소 주증기차단밸브 동작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KR102170504B1 (ko)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KR101477577B1 (ko) 배관 압력시험용 수압캡
US3336584A (en) Tell-tale system for jacketed piping systems
KR100838759B1 (ko) 콘크리트 복공이 있는 수로터널의 정밀 누수검사 및지하수압 조절장치
US7950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pressure testing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CN208983001U (zh) 空冷凝汽器疏水系统
CN110345388B (zh) 综合管廊给排水管道爆管监测方法
KR102018835B1 (ko) 주유배관 누설 방지장치
KR200406629Y1 (ko)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KR100713632B1 (ko) 배수지 공급수의 수위 조절장치
NL193559C (nl) Alarmklepstation.
KR200377628Y1 (ko) 밸브 성능 시험기
CN219712700U (zh) 一种管道辅助排气装置
CN210194775U (zh) 一种同层排水回填层中污水管检漏与排水一体化系统
CN208533612U (zh) 一种预制地埋式无负压二次供水设备
US10400933B2 (en) Pip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