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504B1 -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504B1
KR102170504B1 KR1020200062542A KR20200062542A KR102170504B1 KR 102170504 B1 KR102170504 B1 KR 102170504B1 KR 1020200062542 A KR1020200062542 A KR 1020200062542A KR 20200062542 A KR20200062542 A KR 20200062542A KR 102170504 B1 KR102170504 B1 KR 10217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ressure measuring
water pressur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만
Original Assignee
윤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만 filed Critical 윤용만
Priority to KR102020006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1/00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 G01L11/004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by the use of counterbalancing forces
    • G01L11/006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 G01L7/00 or G01L9/00 by the use of counterbalancing forces hydraulic or pneumatic counterbalanc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rrecting or regul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어, 물의 낭비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WATER PRESSURE MASUREMENT APPARATUS AND WATER PRESSURE M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건축 설비에 있어서 수도관, 배수관 등 물의 급수와 배수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관이다. 이러한 배관은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에 설치된 이후 수압을 체크하여 누수 등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먼저, 배관의 일측 지점을 차단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시킨다. 그 후, 배관의 타측 지점에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설치하고, 이어서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 물을 만관시킨다. 그 후 수압 측정 장치에 설치된 압력계를 확인하여, 누수 여부를 검토한다.
한편, 종래 수압 측정 방법은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 물을 만관시킨 이후, 펌프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측정 수압만큼 수압을 상승시켜야 한다. 그러나 펌프를 이용하여 수압을 상승시키는 작업은 다량의 물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작업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245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과 공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서 배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지지관; 상기 플랜지의 타측에서 배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지지관; T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 상기 제 1 지지관에 연결되도록 제 1 개방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 2 개방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제 3 개방구가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제 2 개방구에 연결되는 수압측정부; 상기 제 3 개방구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유입밸브; 및 상기 제 2 지지관으로 물이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물유입밸브를 포함하고, 배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물유입밸브를 조작하고, 배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밸브를 조작하여, 상기 수압측정부가 측정하는 압력이 기 지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관은 상기 제 1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지지관은 상기 제 2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플랜지로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중 배관의 개구부의 크기와 일치하는 플랜지가 배관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기 제 2 결합구는 상기 플랜지의 크기에 상관 없이 기 지정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판형 또는 90도로 절곡된 엘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개방구와 상기 수압측정부 사이에 유도관이 장착되고, 상기 유도관의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 형상의 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에 있어서, 배관의 양 단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밸브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물유입밸브가 오픈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상기 물유입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물유입밸브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하는 제 4 단계; 상기 공기유입밸브가 오픈되도록 제어하는 제 5 단계; 상기 수압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기 지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6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압측정부가 측정하는 압력을 전달받아 배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중 배관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를 선택하는 제 1 준비단계; 상기 제 1 준비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플랜지를 배관의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제 2 준비단계; 및 상기 플랜지의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에 상기 제 1 지지관과 상기 제 2 지지관이 각각 결합되는 제 3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어, 물의 낭비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의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플랜지를 구비하므로, 다양한 배관의 개구부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에 형성되는 제 1, 2 결합구는 기 지정된 크기로 형성되므로, 플랜지의 크기에 따라 제 1, 2 지지관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어, 다양한 크기의 제 1, 2 지지관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고,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형상별로 플랜지의 형상이 판형 또는 엘보형으로 선택되므로, 플랜지는 다양한 형상의 배관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관에 나선부가 형성되므로, 유체가 나선부를 지나갈 때, 유체는 원심력에 의하여 나선부를 따라 회오리 형상으로 유도되어, 유도관 내부의 수압이 안정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의 유도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가 배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의 유도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100)는 플랜지(110), 제 1 지지관(120), 제 2 지지관(130), 연결관(140), 유도관(150), 수압측정부(160), 공기유입밸브(170) 및 물유입밸브(180)를 포함한다.
플랜지(110)는 배관(P: 도 3 도시)의 개구부(P1: 도 3 도시)에 장착되는 것으로, 배관(P)의 형상에 따라 판형 또는 90°로 절곡된 엘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관(P) 형상별로 플랜지(110)의 형상이 판형 또는 엘보형으로 선택되므로, 플랜지(110)는 다양한 형상의 배관(P) 및 설치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랜지(1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플랜지(110)가 제공될 수 있다. 현장에서는 복수 개의 플랜지(110) 중 배관(P)의 개구부(P1)의 크기와 일치하는 플랜지(110)가 선택되고, 선택된 플랜지(110)가 배관(P)의 개구부(P1)에 결합된다. 이처럼 배관(P)의 개구부(P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플랜지(110)를 구비하므로, 다양한 배관(P)의 개구부(P1)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랜지(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지지관(1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결합구(112)와, 제 2 지지관(1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결합구(11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1 결합구(112)는 플렌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길이만큼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고, 제 2 결합구(114)는 플렌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길이만큼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한편, 제 1 결합구(112)와 제 2 결합구(114)는 플랜지(110)의 크기에 상관 없이 기 지정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배관(P)의 개구부(P1) 크기에 맞도록 플랜지(110)의 구경을 변경한다 하더라도, 제 1, 2 결합구(112, 114)는 항상 기 지정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110)의 크기에 따라 제 1, 2 지지관(120, 130)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어, 다양한 크기의 제 1, 2 지지관(120, 130)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 2 결합구(112, 114)와 제 1, 2 지지관(120, 130)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제 1, 2 결합구(112, 114)의 내주연에는 예를 들면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1, 2 지지관(120, 130)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면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관(120)은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결합구(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지지관(120)이 제 1 결합구(112)에 결합되면, 제 1 지지관(120)은 배관(P)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지지관(120)의 길이는 수압 측정 조건에 따라 150 ㎜ 내지 1000 ㎜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관(130)은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결합구(1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지지관(130)이 제 2 결합구(114)에 결합되면, 제 2 지지관(130)은 배관(P)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지지관(130)은 예를 들면 제 1 지지관(12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40)은 "T"관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제 1 지지관(120)에 연결되도록 제 1 개방구(142)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제 2 개방구(144)가 형성되고,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측부에 제 3 개방구(146)가 형성된다.
수압측정부(160)는 제 2 개방구(144)에 연결된다. 이러한 수압측정부(160)는 오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수압을 측정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유도관(15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개방구(144)와 수압측정부(160)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유도관(150)의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 형상의 나선부(1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개방구(144)에서 나선부(152)를 지나 수압측정부(160)로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체가 나선부(152)를 지나갈 때, 유체는 원심력에 의하여 나선부(152)를 따라 회오리 형상으로 유도되므로, 유도관(150) 내부의 수압이 안정화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공기유입밸브(170)는 제 3 개방구(146)에 장착되어 제 3 개방구(146)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컴프레셔(미도시)가 공기유입밸브(170)에 장착되어, 공기유입밸브(170)가 오픈된 이후, 컴프레셔가 제 3 개방구(146)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물유입밸브(180)는 제 2 지지관(130)에 장착되어, 제 2 지지관(130)으로 물이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직수관(미도시) 또는 펌프(미도시) 등이 물유입밸브(180)에 장착되어, 물유입밸브(180)가 오픈된 이후, 직수관 또는 펌프가 제 2 지지관(130)으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밸브에는 소방호스가 연결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공기유입밸브(170) 및 물유입밸브(180)는 작업자가 직접 오픈 또는 클로즈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기유입밸브(170) 및 물유입밸브(180)는 각각 전자밸브로 구성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는 수압측정부(160)가 측정한 수압을 전달받아 공기유입밸브(170) 및 물유입밸브(180)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압 측정 장치(100)는 배관(P)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물유입밸브(180)를 조작하고, 배관(P)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밸브(170)를 조작하여, 수압측정부(160)가 측정하는 압력이 기 지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관(P)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배관(P)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어, 물의 낭비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P)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가 배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측정 장치(100)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은 먼저, 복수 개의 플랜지(110) 중 배관(P)의 개구부(P1)에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플랜지(110)를 선택한다(S10). 이후, 선택된 플랜지(110)를 배관(P)의 개구부(P1)에 결합시킨다(S11). 그 후, 플랜지(110)의 제 1 결합구(112)와 제 2 결합구(114)에 제 1 지지관(120)과 제 2 지지관(130)이 각각 결합된다(S12).
이어서, 배관(P)의 양 단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유입밸브(170)가 클로즈되도록 제어된다(S20). 그 후 물유입밸브(180)가 오픈되도록 제어된다(S21). 그 후, 물유입밸브(180)를 통하여 배관(P)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S22). 그리고 배관(P) 내부에 물이 가득 차면, 물유입밸브(180)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한다(S23).
이어서, 공기유입밸브(170)에 컴프레셔가 장착되도록 한 후, 공기유입밸브(170)가 오픈되도록 제어한다(S24). 그 후, 컴프레셔를 작동하여 공기유입밸브(170)를 통하여 배관(P)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S25). 그리고 수압측정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기 지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면 컴프레셔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관(P)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배관(P)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어, 물의 낭비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관(P)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압측정부(160)가 측정하는 압력을 전달받아 배관(P)의 누수 여부를 확인한다(S6). 즉, 배관(P)에 누수가 없다면, 수압측정부(160)가 측정하는 압력에 변화가 없을 것이고, 배관(P)에 누수가 있다면, 수압측정부(160)가 측정하는 압력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관(P)의 누수 테스트가 마무리되면, 물유입밸브(180)가 오픈되도록 제어하여 배관(P) 내부의 물과 공기를 제거한다(S27).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수압 측정 장치
110: 플랜지 112: 제 1 결합구
114: 제 2 결합구 120: 제 1 지지관
130: 제 2 지지관 140: 연결관
142: 제 1 개방구 144: 제 2 개방구
146: 제 3 개방구 150: 유도관
152: 나선부 160: 수압측정부
170: 공기유입밸브 180: 물유입밸브

Claims (7)

  1. 배관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서 배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지지관;
    상기 플랜지의 타측에서 배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지지관;
    T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 상기 제 1 지지관에 연결되도록 제 1 개방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 2 개방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제 3 개방구가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제 2 개방구에 연결되는 수압측정부;
    상기 제 3 개방구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유입밸브; 및
    상기 제 2 지지관으로 물이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물유입밸브를 포함하고,
    배관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물유입밸브를 조작하고, 배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밸브를 조작하여, 상기 수압측정부가 측정하는 압력이 기 지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수압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관은 상기 제 1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2 지지관은 상기 제 2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플랜지로 구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중 배관의 개구부의 크기와 일치하는 플랜지가 배관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기 제 2 결합구는 상기 플랜지의 크기에 상관 없이 기 지정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판형 또는 90도로 절곡된 엘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방구와 상기 수압측정부 사이에 유도관이 장착되고,
    상기 유도관의 내주연을 따라 나사산 형상의 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
  6. 제 1 항 기재의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에 있어서,
    배관의 양 단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밸브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물유입밸브가 오픈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단계;
    상기 물유입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물유입밸브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하는 제 4 단계;
    상기 공기유입밸브가 오픈되도록 제어하는 제 5 단계;
    상기 수압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기 지정된 압력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공기유입밸브를 통하여 배관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6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압측정부가 측정하는 압력을 전달받아 배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복수 개의 상기 플랜지 중 배관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를 선택하는 제 1 준비단계;
    상기 제 1 준비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플랜지를 배관의 개구부에 결합시키는 제 2 준비단계; 및
    상기 플랜지의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에 상기 제 1 지지관과 상기 제 2 지지관이 각각 결합되는 제 3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KR1020200062542A 2020-05-25 2020-05-25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KR10217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42A KR102170504B1 (ko) 2020-05-25 2020-05-25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42A KR102170504B1 (ko) 2020-05-25 2020-05-25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504B1 true KR102170504B1 (ko) 2020-10-28

Family

ID=730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542A KR102170504B1 (ko) 2020-05-25 2020-05-25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75A (ko) 2022-02-07 2023-08-16 엄영호 수전금구류용 듀얼 수압측정검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451Y1 (ko) 1994-11-22 1998-04-09 김시화 버터플라이 밸브의 관내 수압 측정장치
JP2001281088A (ja) * 2000-03-31 2001-10-10 Tekken Constr Co Ltd 排水管の漏洩試験方法及び試験用治具
JP2012021800A (ja) * 2010-07-12 2012-02-02 Daiwa Detsubi Kk 排水管の漏洩試験装置
JP2013117510A (ja) * 2011-11-02 2013-06-13 Sekisui Chem Co Ltd 排水設備の漏洩検査装置
CN204085819U (zh) * 2014-09-26 2015-01-07 陕西北元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石墨块打压试漏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451Y1 (ko) 1994-11-22 1998-04-09 김시화 버터플라이 밸브의 관내 수압 측정장치
JP2001281088A (ja) * 2000-03-31 2001-10-10 Tekken Constr Co Ltd 排水管の漏洩試験方法及び試験用治具
JP2012021800A (ja) * 2010-07-12 2012-02-02 Daiwa Detsubi Kk 排水管の漏洩試験装置
JP2013117510A (ja) * 2011-11-02 2013-06-13 Sekisui Chem Co Ltd 排水設備の漏洩検査装置
CN204085819U (zh) * 2014-09-26 2015-01-07 陕西北元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石墨块打压试漏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75A (ko) 2022-02-07 2023-08-16 엄영호 수전금구류용 듀얼 수압측정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504B1 (ko) 수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측정 방법
CN108088749A (zh) 管道压力试验装置及管道压力试验系统
US20130247674A1 (en) Fluid Flow Testing System
KR101448819B1 (ko) 제수밸브 시험장비
CN109751045B (zh) 一种溢流井漏监测方法及装置
CN110260166A (zh) 一种地下管道气密性检查装置及其使用方法
US4932241A (en) Reusable plumbing test pipe
US112489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monitoring a fluid within a pressurized pipe
CN205532590U (zh) 一种新型双回路双端封堵测漏系统
CN105181271A (zh) 用于管道泄漏监测系统性能测试的泄放装置及测试方法
RU24702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из напор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KR102016944B1 (ko) 고압반응기의 기체 누설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867223B1 (ko) 수압테스트 장치
US4344319A (en) Pipe joint sealed test method
CN210141963U (zh) 一种排水管道灌水试验装置
CN109883519B (zh) 一种采用双井的水位计检测校准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521073B1 (ko) 휴대용 수압계
KR20140003020U (ko) 수압 테스트를 위한 파이프 라인 구조
CN208060354U (zh) 一种用于管材管件测试的冷热水循环系统
KR20220026165A (ko)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한 유량계 교정 시스템
CN211178608U (zh) 流量检测装置和管道设备
RU215698U1 (ru)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дренчерный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CN214467893U (zh) 一种小口径模拟管路收发球的动力装置
KR890004368B1 (ko) 누수 시험장치
CN220118301U (zh) 一种高压力、大流量液压泵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