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084B1 -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084B1
KR100643084B1 KR1020060053621A KR20060053621A KR100643084B1 KR 100643084 B1 KR100643084 B1 KR 100643084B1 KR 1020060053621 A KR1020060053621 A KR 1020060053621A KR 20060053621 A KR20060053621 A KR 20060053621A KR 100643084 B1 KR100643084 B1 KR 10064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tributor
floor
water supply
col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주)오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주)오폼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03C1/023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with flow distribution, e.g. diver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내의 냉온수 및 난방 배관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지하에 시공되는 횡주관의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횡주관에 하나의 단일 입상관을 연결한 후 그 입상관에 층별로 하나의 계량기실을 연결하고, 상기 층별 계량기실 내부에는 세대수에 따른 집합 분배기를 설치함으로써, 배관 시공시 그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배관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누수 발생시 그 누수 발생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면서 건축마감재의 피해없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배관의 유지 보수 및 건축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배관시스템, 입상관, 횡주관, 계량기, 집합분배기, 이중관, 급수관

Description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Piping system and the form of construction work of building}
도 1은 종래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에 대한 전체 계통도.
도 2는 종래 세대별 배관 흐름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종래 지하에 시공되는 횡주관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에 대한 전체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세대별 배관 흐름의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지하에 시공되는 횡주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축물의 저층부에 위치하는 계량기실에 대한 배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축물의 고층부에 위치하는 계량기실에 대한 배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 매립형으로 이루어진 세대별 분배기함의 내부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관 고정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관 고정부의 높낮이 조절상태도.
도 12는 배관 시스템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고층형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저층용 집합분배기의 개략적인 배관 연결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고층형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고층용 집합분배기의 개략적인 배관 연결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저층형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저층용 집합분배기의 개략적인 배관 연결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시상수도관 12; 물탱크
13; 부스터펌프 14; 횡주관
20; 단일 입상관 30; 계량기실
41; 집합분배기 42; 제 1 차단밸브
43; 계량기 44; 감압밸브
50; 메인 분기관 51; 메인 차단밸브
60; 배관고정부 61; 절편
62; 고정프레임 63; 조절구
100; 분배기함 101; 분배기
102; 제 2 차단밸브 201; 이중관
202; 급수관 300; 입상슬리브
본 발명은 건축물내의 냉온수 및 난방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세대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건설현장에서 배관 시공시 그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배관의 유지 보수 및 건축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축물을 신축할 경우 그 건축물내에서의 냉온수 및 난방 배관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상 수도관(1)으로 연결되는 물탱크(2)를 시공한 후, 상기 물탱크(2)에는 또한 부스터펌프(3)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터펌프(3)에는 지하에 시공되는 횡주관(4)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횡주관(4)으로부터 층별 세대수에 따라 다수의 입상관(5)을 분기시켜 수직 배열함으로써 층별 세대수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층별 세대수에 따라 횡주관(4)에서 다수 분기되는 입상관(5)에는 층별 압력에 맞추어 감압밸브(6)를 설치함은 물론, 세대계량기(7)와 수격방지기(8)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세대 계량기(7)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질의 급수관이 삽입되는 다수의 이중관을 벽체내에 매립하는 상태로 시공 연결한 후, 상기 다수의 이중관을 분기시켜 세대 매립형의 분배기함에 연결하고, 상기 분배기함에는 다시 수전을 연결함으로써, 배관 시스템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횡주관(4)이 건물의 층별 세대수에 맞는 길이로서 시공되고, 입상관(5)의 경우에는 층별 세대수에 따라 횡주관(4)에서 다수 분기된 후 건물의 상측으로 수직 배열되는 관계로, 원자재비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자재 수급 등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횡주관(4)으로부터 층별 세대수에 따라 다수의 입상관(5)을 분기하여 수직 배열하는 관계로 연결 이음부가 많아질 수 밖에 없고, 이는 곧 연결부위에서의 누수 하자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누수 하자 발생시 그 누수 하자 발생 부위를 찾기가 어려움은 물론, 누수 하자 발생부위를 찾더라도 건축마감재를 파손하지 않고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횡수관(4)으로부터 입상관(5)의 분기가 다수 이루어지는 관계로, 횡수관(4)에서 입상관(5)을 거쳐 수전으로 공급되는 급수방향이 급격하게 변화되면서 수전 사용시 벽체내에 매립된 배관에서 급수 흐름에 따른 충격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건물 신축시나 준공 후 배관을 통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그 누수량에 따라 건축물을 파손시킴은 물론, 배관 교체 후 원래 상태로 복원시켜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과 시간적인 손실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에 시공되는 횡주관의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횡주관에 하나의 단일 입 상관을 연결한 후 그 입상관에 층별로 하나의 계량기실을 연결하고, 상기 층별 계량기실 내부에는 세대수에 따른 집합 분배기를 설치함으로써, 배관 시공시 그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배관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누수 발생시 그 누수 발생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면서 건축마감재의 피해없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배관의 유지 보수 및 건축 공사비를 최소화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건축물내의 배관시스템은, 시상 수도관과 연결되는 물탱크에 부스터펌프를 연결한 후, 상기 부스터펌프에 지하로 시공되는 횡주관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횡주관은 건축물의 층별 세대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시공하고, 상기 횡주관에는 건축물의 지하에서 고층으로 수직 배열되는 하나의 단일 입상관을 연결하며, 상기 단일 입상관이 수직 배열되는 각 층의 벽체에는 배관점검이 가능한 계량기실을 구성하고, 상기 계량기실내에는 세대별 분배기함에 일단이 연결되는 급수관의 타단을 연결 시공하는 집합분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단일 입상관에는 층별로 집합분배부가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분기관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 분기관에는 층별 급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차단밸브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집합분배부는 메인 분기관과 연결되는 집합분배기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집합분배기에는 층별 세대 매립형의 분배기함으로 분기 되는 다수의 급수관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집합분배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에는 세대별 급수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세대별 제 1 차단밸브, 그리고 세대별 계량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집합분배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에는 층별 압력에 대응하는 감압밸브를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는 건축물의 저층에 위치하는 집합분배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는 메인 분기관의 메인 차단밸브와 집합분배기의 사이에 하나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급수관은 이중관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되, 상기 이중관은 높낮이가 조절되는 배관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후 세대 매립형의 분배기함으로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배관고정부는 계량기실과 각 세대내의 분배기함이 위치하는 입상슬리브내에 시공하되, 입상슬리브내에 고정되는 분할형의 절편; 상기 분할형 절편에 양측면이 결합되고, 상면에 이중관이 통과되는 다수의 홀을 마련한 고정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중관의 길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절편에는 소정길이의 슬롯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은 상기 슬롯부와 고정홀에 체결되는 조절구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중관에 의해 보호되는 급수관은 세대 매립형 분배기함내의 분배기에서 분기되어 세대내 각 수요처로 급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차단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횡주관과 입상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세대별 배관 흐름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지하에 시공되는 횡주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축물의 저층부에 위치하는 계량기실에 대한 배관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건축물의 고층부에 위치하는 계량기실에 대한 배관 상세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벽체 매립형으로 이루어진 세대별 분배기함의 내부 상세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관 고정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관 고정부의 높낮이 조절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배관시스템은 횡주관(14), 입상관(20), 계량기실(30), 집합분배부(40), 배관 고정부(60), 벽체 매립형의 세대별 분배기함(100), 그리고 이중관(201)과 급수관(202)을 포함한다.
상기 횡주관(14)은 시상 수도관(11)과 연결되는 물탱크(12)에 부스터펌 프(13)를 연결시, 상기 부스터펌프(13)에 연결되며, 건축물의 층별 세대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시공된다.
상기 입상관(20)은 상기 횡주관(14)이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건축물의 지하에서 고층으로 수직 배열되는 단일관으로 그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계량기실(30)은 층별로 집합분배부(40)의 배치가 이루어질 때 그 집합분배부(40)내의 배관에 대한 수시 점검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일 입상관(20)이 통과되는 건축물의 각 층별 중앙 또는 일단에 마련된다.
상기 집합분배부(40)는 건축물의 층별로 마련되는 상기 계량기실(30)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집합분배기(41)를 포함하며, 상기 집합분배기(41)는 메인 차단밸브(51)가 연결되는 메인 분기관(50)을 통해 상기 단일 입상관(20)과 연결됨은 물론, 층별 세대 매립형의 분배기함(100)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급수관(202)이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202)에는 세대별 급수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세대별 제 1 차단밸브(42)와 세대별 계량기(43)가 연결되는 한편, 층별 압력에 대응하는 감압밸브(44)가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감압밸브(44)는 세대별 급수의 공급을 위해 마련되는 다수의 급수관(202)에 각각 연결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분기관(50)의 메인 차단밸브(51)와 집합분배기(41)의 사이에 통합적으로, 상기 메인 차단밸브(51)와 직렬로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감압밸브(44)는 압력이 낮게 형성되는 건축물의 저층에 위치 하는 집합분배기(41)의 급수관(202)에 연결되는 반면, 압력이 높게 형성되는 건축물의 고층에 위치하는 집합분배기(41)에는 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상기 배관 고정부(60)는 상기 계량기실(30)내에서 입상슬리브(300)내에 매립되는 구조물로서 집합분배기(41)로부터 분기되는 급수관(202)이 이중관(201)에 의해 보호될 때, 상기 이중관(201)을 정렬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절편(61)과 고정프레임(62)을 포함한다.
상기 절편(61)은 분할형으로 입상슬리브(300)내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나사(5)를 통해 고정되며, 각각 소정길이의 슬롯부(61a)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프레임(62)은 상면에 이중관(201)이 결합되는 다수의 홀(미도시)을 마련한 것으로, 그 양측면으로는 상기 분할형 절편(61)이 결합되어, 상기 이중관(201)의 길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그 높낮이 조절을 위해 양측면에는 고정홀(62a)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62)의 높낮이 조절은 조임작업을 위한 조절구(6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조절구(63)는 상기 고정홀(62a) 및 슬롯부(61a)에 체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합분배기(41)에서 분기되는 급수관(202)은 입상슬리브(300)를 따라 세대별로 마련되는 벽체 매립형 분배기함(100)내의 분배기(101)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분배기(101)를 통해 세대내의 각 수요처(예; 욕실, 화장실, 세탁실, 발코니, 주방, 보일러실 등)로 분기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분배기(101)에서 분기되는 급수관(202)에는 각각 급수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차단밸브(102)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101a는 분배기(101)에 설치되는 자동공기변이고, 101b는 상기 분배기(101)에 설치되는 수격방지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내에 시상 수도관(11)이 시공되는 경우, 상기 시상 수도관(11)을 건축물내의 물탱크(12)에 연결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물탱크(12)에는 세대별 급수를 위해 동작하는 부스터 펌프(13)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부스터 펌프(13)에는 지하로 시공되는 횡주관(14)을 연결하되, 상기 횡주관(14)은 건축물의 층별 세대 중앙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횡주관(14)에 단일 입상관(20)의 일단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단일 입상관(20)은 건축물의 지하에서 고층으로 수직 배열한 후, 각 층별로 상기 단일 입상관(20)에 메인 차단밸브(51)가 연결된 메인 분기관(50)을 분기시킨다.
즉, 상기 메인 분기관(50)은 각 층별로 마련되는 계량기실(30)로 그 분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계량기실(30)내에 집합분배부(40)에 포함되는 집합분배기(41)를 배치한 후, 상기 집합분배기(41)를 상기 메인 분기관(50)과 연결하는 한편, 일면으로는 다수의 급수관(202)을 연결 시공한다.
이때, 건축물의 각 층별 입상슬리브(300)를 통해 이중관(201)을 시공한 후, 상기 이중관(201)의 일단은 계량기실(30)내에 위치시키고, 타단은 세대별로 벽체에 매립되는 분배기함(100)내의 분배기(101)에 연결시킨다.
그러면, 상기 계량기실(30)과 분배기함(100)내에 위치하는 이중관(201)의 양단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고정부(60)의 고정프레임(62)에 마련되는 다수의 홀에 결합되는 바,
상기 집합분배기(41)로부터 분기되는 급수관(202)을 이중관(201)내에 삽입한 후 상기 분배기(101)에 상기 급수관(202)의 끝단부를 연결시키고, 다음으로 상기 분배기(101)로부터 다시 급수관(202)을 분배한 후 그 분배된 급수관(202)을 세대내의 각 수요처인 욕실, 화장실, 세탁실, 발코니, 주방, 보일러실 등으로 분기시킨다.
이때, 상기 계량기실(30)내의 집합분배기(41)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급수관(202)에는 각각 세대별 제 1 차단밸브(42)와 세대별 계량기(43)를 연결하는 한편, 건축물의 저층부에 위치하는 급수관(202)에는 압력변화에 대응하도록 감압밸브(44)를 연결하고, 상기 세대별 벽체 매립형의 분배기함(100)의 분배기(101)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급수관(202)에는 제 2 차단밸브(102)를 연결하여 둔다.
그러면, 부스터펌프(13)의 동작으로부터 물탱크(12)에 저장된 물이 횡주관(14)을 통해 단일 입상관(20)으로 안내될 때, 상기 단일 입상관(20)이 통과되는 각 층별 계량기실(30)에서는 집합분배기(41)를 통해 세대별로 급수 공급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기계실 배관 방식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횡주관(14)의 시공 길이를 대폭 줄이면서, 도 4에서와 같이 각각의 존별로 분기 되어 저층부터 고층까지 단일의 입상관(20)을 시공하는 한편, 건축물의 각 층별로 하나의 별도 계량기실(30)을 마련한 후 그 내부에 단일 입상관(20)과 연결되는 집합분배기(41)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집합분배기(41)에서는 도 4 및 도 7,8에서와 같이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세대내의 분배기함(100)에 이중관(201)을 이용하여 급수 공급을 위한 급수관(202)을 연결하고, 상기 급수관(202)을 다시 분배기함(100)내의 분배기(101)를 통해 각 세대내의 수요처로 분기시킨 것으로, 이를 통해 각 세대내의 수요처에서는 필요로 하는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배관 시스템 시공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이는 수직 배열되는 세대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한 후 그 그룹별로 하나의 집합분배부(40)를 건축물의 지하 바닥면에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집합분배부(40)로부터 수직배열되는 세대내의 벽체 매립형 분배기함(100)으로 급수관(202)이 인입되는 이중관(201)을 분기시켜 연결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시상 수도관(1)과 물탱크(2) 및 부스터펌프(3)를 연결한 후, 상기 부스터펌프(3)에는 지하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횡주관(4)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횡주관(4)에는 수직 배열되는 그룹단위의 세대에 대응하는 급수관(202)을 분기시키도록 저층용 및 고층용의 계량기실을 형성한 후 그 저층 및 고층용의 계량기실내에 각각 저층용 및 고층용의 집합분배부(40)(40')를 연결 구성한다.
즉, 상기 횡주관(4)은 물론, 다수의 계량기실(30) 및 집합분배부(40)(40')는 모두 건축물의 지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위치시킨 것이다.
이후, 상기 지하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위치하는 집합분배부(40)(40')로부터 수직 배열되는 층별 세대내의 벽체 매립형 분배기함(100)으로 이중관(201)을 분기시킨 후, 상기 분배기함(100)으로 연질의 급수관(202)을 인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202)을 수전이 마련된 세대내의 수요처로 연결하면, 건축물에 대한 배관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하에 위치하는 저층용 및 고층용의 집합분배부(40)(40')에서 수직배열되는 건축물의 저층으로 급수관(202)을 분기시, 저층용 계량기실내의 집합분배부(40)에 연결되는 저층 분기용의 급수관(202)에는 각각 압력 조절용의 감압밸브(44)를 연결하고, 고층용 계량기실내의 집합분배부(40')에 연결되는 고층 분기용의 급수관(202)에는 상기 압력조절용의 감압밸브(44)를 연결시키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저층용 집합분배부(40)에는 도 13에서와 같은 분기가 이루어지는 급수관(202)에 제 1 차단밸브(42)와 계량기(43)가 연결 구성되면서 압력계(45)가 마련된 집합분배기(41)를 사용하는 한편, 상기 집합분배기(41)의 급수 인입측에는 감압밸브(44)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층용 집합분배부(40')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분기가 이루어지는 급수관(202)에 제 1 차단밸브(42)와 계량기(43)가 연결 구성되면서 압력계(45)가 마련된 집합분배기(41')를 사용한 것이다.
한편, 도 13,14는 공동주택(특히 고층 아파트)에 적합한 집합분배기(41)(41')를 사용한 것으로, 만약 저층형 공동주택(특히 3∼5층 정도의 빌라 또 는 연립 등)의 경우에는 도 15에서와 같은 집합분배기(41")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저층형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도 15의 집합분배기(41")는 인입측에 하나의 메인계량기(46)를 연결하고, 다수 분기되는 급수관(202)에는 각각 제 1 차단밸브(42)를 적용하는 한편, 상기 분기되는 다수의 급수관(202)은 그 직경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을 시공할 때 지하 횡주관을 줄이고 각각의 존으로 형성되는 입상관을 하나의 단일 입상관으로 형성하는 한편, 각각의 층별 계량기실을 두어 이에 층별 세대 집합 분배기를 설치한 후 급수관을 시공함으로써, 각각의 세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입상관 누수시 그 하부층 세대내의 누수 피해를 완전히 없애고, 하자 처리시 건축 바닥재, 마감재의 훼손을 최소화하며, 입상관을 줄여 배관 이음부위를 최소화 하면서 내구연한 도래시 부득이한 건축물의 파손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자재 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 공사 원가를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질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의 건축물 준공 후 초기에 청수 발생을 최소화 하고, 금속관 자재의 특성상 탄성 및 강도가 높아 수전 급폐쇠시 발 생되는 수격현상을 급수관 시공으로 최소화 함은 물론, 건축 골조 작업시 철근 배근과 함께 이중관을 시공함으로써 설비와 건축공정이 병행되어 공정 관리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 배근 작업시 매립시공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노출되는 배관이 세대내에서는 없게 하여 설비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고, 추후 리모델링이 용이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유지 보수 및 배관 교체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는 등 주택의 총 생애 비용(Life Cycle Cost)의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7)

  1. 시상 수도관과 연결되는 물탱크에 부스터펌프를 연결한 후, 상기 부스터펌프에 지하로 시공되는 횡주관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횡주관은 건축물의 층별 세대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하에 시공하고,
    상기 횡주관에는 건축물의 지하에서 고층으로 수직 배열되는 하나의 단일 입상관을 연결하며,
    상기 단일 입상관이 수직 배열되는 각 층의 벽체에는 배관점검이 가능한 계량기실을 구성하고,
    상기 계량기실내에는 세대별 분배기함에 일단이 연결되는 급수관의 타단을 연결 시공하는 집합분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입상관에는,
    층별로 집합분배부가 연결되는 하나의 메인 분기관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 분기관에는 층별 급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메인 차단밸브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분배부는,
    메인 분기관과 연결되는 집합분배기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집합분배기에는 층별 세대 매립형의 분배기함으로 분기되는 다수의 급수관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 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분배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에는 세대별 급수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세대별 제 1 차단밸브, 그리고 세대별 계량기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분배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에는 층별 압력에 대응하는 감압밸브를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건축물의 저층에 위치하는 집합분배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메인 분기관의 메인 차단밸브와 집합분배기의 사이에 하나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이중관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되, 상기 이중관은 높낮이가 조절되는 배관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후 세대 매립형의 분배기함으로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계량기실과 각 세대내의 분배기함이 위치하는 입상슬리브내에 시공하되,
    상기 입상슬리브내에 고정되는 분할형의 절편;
    상기 분할형 절편에 양측면이 결합되고, 상면에 이중관이 통과되는 다수의 홀을 마련한 고정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의 길이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절편에는 소정길이의 슬롯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은 상기 슬롯부와 고정홀에 체결되는 조절구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에 의해 보호되는 급수관은 세대 매립형 분배기함내의 분배기에서 분기되어 세대내 각 수요처로 급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차단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13. 시상 수도관과 물탱크 및 부스터펌프를 연결한 후, 상기 부스터펌프에 건축물의 층별 세대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하로 시공되는 횡주관을 연결하는 공정;
    상기 횡주관에 단일 입상관을 연결하면서 그 단일 입상관을 건축물의 지하에서 고층으로 수직 배열하는 공정;
    상기 단일 입상관이 수직 배열되는 각 층에 하나의 계량기실을 마련한 후 그 계량기실에 집합분배기를 설치하는 공정;
    상기 하나의 집합분배기에서 층별 세대내의 각 벽체 매립형 분배기함으로 이중관을 분기시켜 시공하는 공정;
    상기 분기 시공된 이중관내에 급수관을 삽입한 후, 급수관의 일단은 집합분배기에 연결하고, 타단은 분배기함으로 연결하는 공정;
    상기 집합분배기내의 급수관에 세대별 차단밸브와 세대별 계량기를 각각 설치하고, 층별 세대내의 분배기함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차단밸브를 설치하는 공정;
    상기 분배기함내의 분배기를 통해 다수의 급수관을 분기시킨 후 그 분기된 다수의 급수관을 수전이 마련된 세대내의 수요처로 연결하는 공정; 으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저층에 마련되는 층별 계량기실내에는 감압밸브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시공방법.
  15. 시상 수도관과 물탱크 및 부스터펌프를 연결한 후, 상기 부스터펌프에 지하 매설형의 횡주관을 연결하는 공정;
    상기 지하 매설형의 횡주관에 수평라인의 세대수에 따라 저층용 및 고층용의 계량기실을 마련한 후 그 계량기실내에 저층용 및 고층용의 집합분배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공정;
    상기 저층용 집합분배기는 저층에 위치하는 세대내의 각 벽체 매립형 분배기함으로 이중관을 분기시켜 시공하고, 상기 고층용 집합분배기는 고층에 위치하는 세대내의 각 벽체 매립형 분배기함으로 이중관을 분기시켜 시공하는 공정;
    상기 분기 시공된 이중관내에 급수관을 삽입한 후, 급수관의 일단은 집합분배기에 연결하고, 타단은 분배기함으로 연결하는 공정;
    상기 집합분배기내의 급수관에 세대별 차단밸브와 세대별 계량기를 각각 설치하고, 층별 세대내의 분배기함에 연결되는 급수관에 차단밸브를 설치하는 공정;
    상기 분배기함내의 분배기를 통해 다수의 급수관을 분기시킨 후 그 분기된 다수의 급수관을 수전이 마련된 세대내의 수요처로 연결하는 공정; 으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층용 집합분배기에는 압력계, 그리고 분기가 이루어지는 급수관에 제 1 차단밸브와 계량기를 연결 구성하되, 상기 저층용 집합분배기에는 압력계, 그리고 분기가 이루어지는 급수관에 제 1 차단밸브와 계량기를 연결 구성하고, 집합분배기의 급수 인입측 배관에 감압밸브를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형 집합분배기는 저층형 공동주택에서 그 사용 이 가능하도록, 급수 인입측의 배관에 하나의 메인계량기를 연결하고, 다수 분기되는 급수관에는 각각 제 1 차단밸브를 적용하되, 상기 다수 분기되는 급수관은 그 직경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KR1020060053621A 2006-05-22 2006-06-14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43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10 2006-05-22
KR20060045510 2006-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084B1 true KR100643084B1 (ko) 2006-11-10

Family

ID=3765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621A KR100643084B1 (ko) 2006-05-22 2006-06-14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0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219B1 (ko) * 2006-09-15 2007-03-16 신기빈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1208667B1 (ko) * 2011-09-30 2012-12-06 유지만 감압에 따른 손실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용 감압장치
KR20200002587A (ko) 2018-06-29 2020-01-08 오영래 배관정렬 모듈구조물을 설치현장에 설치하는 방법
KR20200002586A (ko) 2018-06-29 2020-01-08 오영래 배관정렬 모듈구조물 및 배관정렬 모듈구조물의 건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856U (ko) * 1988-07-06 1990-01-25
JPH0229951U (ko) * 1988-08-15 1990-02-26
JPH0369733A (ja) * 1989-08-09 1991-03-26 Sekisui Chem Co Ltd 多階層建物における配管方法
JPH07248074A (ja) * 1994-03-10 1995-09-26 Takenaka Komuten Co Ltd 建物内配管構造
JPH0994305A (ja) * 1995-09-29 1997-04-08 Bosai Kikaku:Kk 消火スプリンクラー配管
JP2001164612A (ja) * 1999-12-08 2001-06-19 Sekisui House Ltd 3階建て住宅のヘッダー式給水・給湯配管
KR200372535Y1 (ko) * 2004-10-19 2005-01-14 이정수 생수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856U (ko) * 1988-07-06 1990-01-25
JPH0229951U (ko) * 1988-08-15 1990-02-26
JPH0369733A (ja) * 1989-08-09 1991-03-26 Sekisui Chem Co Ltd 多階層建物における配管方法
JPH07248074A (ja) * 1994-03-10 1995-09-26 Takenaka Komuten Co Ltd 建物内配管構造
JPH0994305A (ja) * 1995-09-29 1997-04-08 Bosai Kikaku:Kk 消火スプリンクラー配管
JP2001164612A (ja) * 1999-12-08 2001-06-19 Sekisui House Ltd 3階建て住宅のヘッダー式給水・給湯配管
KR200372535Y1 (ko) * 2004-10-19 2005-01-14 이정수 생수공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219B1 (ko) * 2006-09-15 2007-03-16 신기빈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1208667B1 (ko) * 2011-09-30 2012-12-06 유지만 감압에 따른 손실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용 감압장치
KR20200002587A (ko) 2018-06-29 2020-01-08 오영래 배관정렬 모듈구조물을 설치현장에 설치하는 방법
KR20200002586A (ko) 2018-06-29 2020-01-08 오영래 배관정렬 모듈구조물 및 배관정렬 모듈구조물의 건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0643084B1 (ko) 건축물의 배관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3774631A (en) Prefabricated modular rough plumbing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47103A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JP2004244865A (ja) メーター配管ユニットの結合構造
KR100761927B1 (ko) 슬라브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박스
RU2645315C1 (ru) Инженерный модуль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KR101029791B1 (ko) 드레인관을 구비한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CN114396114A (zh) 一种装配式卫生间水电集成墙体模块
KR200473804Y1 (ko) 냉온수 분배기
KR100780797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CN208563477U (zh) 一种室外降板50-80mm、有地暖不降板3L水同层排水系统
JP2002070093A (ja) 給水・排水・給湯一体型配管工法
KR100840928B1 (ko) 온수의 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배관 시공방법
KR100732939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37227A (ko) 급수설비 및 그 시공 방법
CN218894456U (zh) 装修用排水防返味工艺材料模拟间及教学参观展示装置
EP3399113A1 (en) Plumbing unit
KR20080103369A (ko) 급수 분배함의 누수 배출구조 및 누수 배출이 가능한 급수 시스템
JPH09165804A (ja) 複数階層建築物の給水配管及び給水配管方法
KR100504159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102006001586; OPPOSITION DATE: 20061204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