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553Y1 - 분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분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553Y1
KR200406553Y1 KR2020050029163U KR20050029163U KR200406553Y1 KR 200406553 Y1 KR200406553 Y1 KR 200406553Y1 KR 2020050029163 U KR2020050029163 U KR 2020050029163U KR 20050029163 U KR20050029163 U KR 20050029163U KR 200406553 Y1 KR200406553 Y1 KR 200406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ipe
branch
pressure 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서영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Priority to KR2020050029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메인관의 적소에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고, 메인관과 분기관 사이의 수밀성, 밀봉성, 밀폐성을 향상시켜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메인관 내부에 흐르는 고압의 유체를 소정 장소로 분기시키거나 또는 분기관을 흐르는 유체를 메인관으로 유도하기 유리한 분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분기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메인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끼워지면서 위 분기공 외주연의 내면에 밀착되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본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삽입되어지되 그 외주연 끝단부에 상기 메인관 분기공의 외주연의 외면에 밀착되는 돌출턱을 가져 위 메인관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하측가압구,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을 가져 횡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써 삽입된 상기 분기관을 가압하는 내측가압구 및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위 내측가압구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을 가져 나사결합되는 외측가압구로 구성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다.
분기관, 연결구, 걸림턱, 돌출턱, 가압구, 절취, 돌기

Description

분기관 연결구{Connector for branching a pipe}
도 1은 선출원 분기관 연결구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도 1 분기관 연결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분기관 연결구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분기관 연결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도 1 분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내/외측 가압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분기관 연결구에 메인관 및 분기관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내/외측 가압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 본체 110 : 유입구
112 : 유출구 120, 122 : 조임홈
130 : 걸림턱 132 : 안착홈
134 : 러버스폰지 140, 140a : 돌출부
150 : 안착편 200 : 하측가압구
210 : 돌출턱 212 : 안착홈
214 : 러버스폰지 220 : 가압홈
300, 300a : 내측가압구 310 : 수나사
320 : 횡가압돌기 330 : 절개부
340 : 절취부 400 : 외측가압구
410 : 암나사 420 : 조임홈
430 : 종가압돌기 500 : 가압수단
600 : 분기관 700 : 메인관
710 :분기공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메인관의 적소에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고, 메인관과 분기관 사이의 수밀성, 밀봉성, 밀폐성을 향상시켜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메인관 내부에 흐르는 고압의 유체를 소정 장소로 분기시키거나 또는 분기관을 흐르는 유체를 메인관으로 유도하기 유리한 분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pipe)이라 함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 각종 산업 현장 및 상, 하수도용, 압력배관용, 열교환기용, 구조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금속 또는 비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즉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소정 장소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직경 또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고무재질의 호스 또는 금속재질의 관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였으나, 근래 들어 유체의 흐름 방향을 분류시키기 위해서 메인관의 일측에 분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유체 중 일부의 흐름 방향을 바꾸기 위해 메인관 일측에 분기관을 연결하여야 할 경우, 메인관 일측에 형성된 분기공과 연통하도록 분기관을 용접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분기관을 메인관 상에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합방식은 대개 호스 또는 관을 상호 일대일 대응되게 맞대어 접합하는 방식으로써 연결하려고 하는 각 호스의 단부를 상호 맞닿게 하여 연결시키도록 이루어져서 호스 또는 관의 진행방향이 직진 되도록만 이루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기타 다른 방향으로 호스 또는 관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호스 또는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소정 장소로 이송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상황 발생 시 작업자가 임의로 호스 또는 관의 적소에 구멍을 형성하고, 기타 다른 호스 또는 관을 구멍에 설치한 다음 테이프 또는 철선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하였으나 호스 또는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헐거워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연 결부위를 통하여 호스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그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그 작업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분기관 및 메인관 사이의 연결강도 및 밀봉성이 매우 취약하므로, 분기관이 메인관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기관 및 메인관 사이에서 누설이 발생하는 심각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본원 출원인은 체결이 용이하고 수밀이 우수한 분기관 연결구를 출원(출원번호 : 20-2005-0027153, 출원일 : 2005. 09. 21., 명칭 : 분기관 연결구, 이하 "선출원"이라 함)한 바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고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선출원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였으며, 도 1은 선출원 분기관 연결구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도 1 분기관 연결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분기관 연결구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분기관 연결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1 분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선출원의 분기관 연결구(1)는 일측과 타측에 메인관(3)의 분기공(7)을 통하여 그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1)와 분기관(5)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13)를 갖는 중공상의 파이프형상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 상부 적소에서 하방향으로 나사산형상의 돌출편(15)이 형성되는 본체(10)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연에 나사산형상의 돌출홈(31)이 형성되는 고정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하부면 단부 외주연에 걸림턱(17)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부(50)의 하부면 단부 외주연에 돌출턱(58)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7)과 상기 돌출턱(58)의 단부 외주연은 만곡부와 절곡부가 순차적으로 연장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17)과 상기 돌출턱(58)의 단부 외주연은 일측에서 소정위치까지 하방향으로 만곡부가 형성되고, 소정위치에서 타측까지 상방향으로 절곡부가 연장형성되며, 다시 타측에서 소정위치까지 하방향으로 만곡부가 연장형성되고, 소정위치에서 일측까지 상방향으로 절곡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7)과 상기 돌출턱(58)의 단부 외주연은 만곡부와 절곡부가 순차적으로 연장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7)과 상기 돌출턱(58)의 단부 외주연이 만곡부와 절곡부가 순차적으로 연장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기관 연결구(1)를 메인관(3)의 분기공(7)에 설치 시 메인관(3)의 길이방향 내주연과 외주연 및 원주방향 내주연과 외주연에 보다 밀착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7)의 하부면 적소에 원주방향으로 스프링(14)을 갖는 스프링홈(16)이 형성되어 스프링(14)의 탄발력에 의하여 걸림턱(17)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고, 상기 돌출턱(58)의 하부면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고무링(19)을 갖는 끼움홈(18)이 형성되어 메인관(3)에 상기 분기관 연결구(1)의 결합 시 밀봉 및 밀폐력을 향상시켜 분기관(5)을 통하여 분기되는 유체의 외부유출을 막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부(50) 및 본체(10)의 외주연 적소에 체결홈(33, 33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33, 33a)에 스테인레스 재질로써 소정의 폭을 갖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부에 체결부재(37, 37a)를 갖는 체결밴드(35, 35a)가 구비되어 상기 분기관 연결구(1)와 이에 결합되는 분기관(5)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 5는 선출원 분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메인관, 분기관 및 체결밴드가 구성되기 전의 도면이며, 걸림턱, 돌출턱 및 실릴부재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먼저 걸림턱(17)과 돌출턱(58)의 크기를 좀더 크게 하고, 이 걸림턱(17) 상부면과 돌출턱(58)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안착홈(60)을 형성하여 경도가 낮아 압력이 가해지면 쉽게 변형되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인 러버 스폰지(Rubber Sopnge)(62, 64)를 각각 개재하여 이 러버 스폰지(62, 64)가 압축되면서 메인관(3) 분기공(7)의 외측의 내/외주면에 밀착되어 완벽한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선출원"은 종래 분기관 연결구에 비하여 수밀성, 체결의 용이성 등의 효과가 있으나, 고정부(50)를 본체(10)의 외주면에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야 하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종래 분기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메인관의 적소에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메인관에 체결된 후 쉽게 분리 및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메인관과 분기관 사이의 수밀성, 밀봉성, 밀폐성을 향상시켜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메인관 내부에 흐르는 고압의 유체를 소정 장소로 분기시키거나 또는 분기관으로부터 메인관으로 유체를 집수하기 유리한 분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또한 선출원에서 예상하지 못한 체결방법과 수밀을 높일 수 있는 신규의 분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한 기술적과제는 내부에 분기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메인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끼워지면서 위 분기공 외주연의 내면에 밀착되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본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삽입되어지되 그 외주연 끝단부에 상기 메인관 분기공의 외주연의 외면에 밀착되는 돌출턱을 가져 위 메인관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하측가압구,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을 가져 횡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써 삽입된 상기 분기관을 가압하는 내측가압구 및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위 내측가압구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을 가져 나사결합되는 외측가압구로 구성된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과 돌출턱의 단부 외주연이 만곡부와 절곡부가 순착적으로 연장형성되며, 위 걸림턱의 상부면 또는 위 돌출턱 하부면의 소정위치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경도가 낮아 압력이 가해지면 쉽게 변형되는 러버 스폰지(Rubber Sopnge)를 개재하여 메인관 분기공 외주연의 내/외측면에 밀착되어 수밀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위 안착홈은 상기 걸림턱 또는 돌출턱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여 위 러버스폰지를 개재 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또는 결합과정을 간단하게 할 수도 있으며 위의 러버 스폰지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가압구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외주연을 좀더 가압하여 상기 분기관의 외주연을 좀더 가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위 내측가압구가 원주방향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횡가압돌기가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가압구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면에서 시작하여 상면쪽으로 일정부까지 삼각형상의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가압구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하부측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좀더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가압구의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씨형 클램프(C type clamp)와 같은 조임구의 일단이 끼워져서 위 외측가압구를 돌려서 상기 내측가압구에 용이하게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홈이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가압구의 하부에는 위 외측가압구 보다는 두께가 얇은 종가압돌기가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가압구의 상면에는 이 종가압돌기가 끼워 질 수 있는 가압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위 외측가압구가 나사 결합되면서 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되면 위 종가압돌기가 위 가압홈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 하측가압구 및 상기 돌출턱에 마련된 러버스폰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메인관 분기공의 외주연의 외측면에 좀더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 본체 및 하측가압구는 고무재질로서 이루어지되 그 경도에 있어서는 하측가압구의 경도가 본체의 경도보다는 높은 경도를 가지는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가압구 및 외측가압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외주연 적소에 하나 이상의 조임홈이 형성되고, 이 조임홈 중 하나에는 상기 내측가압구가 끼워지고, 나머지 조임홈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써 소정의 폭을 갖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부에 체결부재를 갖는 체결밴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측가압구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지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직경에 있어서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 수 있는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 시에 본체 외주연의 직경에 구애받음이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설명의 편의상 유체는 메인관에서 분기관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내/외측 가압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분기관 연결구가 메인관 및 분기관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내/외측 가압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선출원에서 예상하지 못한 구성을 추가하거나 또는 변경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첨부 도면은 선출원을 기본적으로 하며 단면도의 기본적인 구성은 선출원 도 3의 횡단면과 유사하나, 걸림턱(130)과 돌출턱(210)의 크기를 크게하여 접촉면적을 넓히고, 본체(10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던 돌출편을 없애고 신규의 가압수단(500)이 부가되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내부에 분기관(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입구(110)와 유출구(112)를 갖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상하에는 일반적인 체결밴드(도시하지 않았음) 및 하술하는 내측가압구(3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조임홈(120, 122), 그 하부의 외측에는 메인관(700)에 형성된 분기공(710)에 끼워지면서 위 분기공(710) 외주연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30), 이 걸림턱(130)의 상부면의 소정위치에 안착홈(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132)에는 압력이 가해지면 쉽게 변형되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러버 스폰지(Rubber Sopnge)(134)가 개재되어 있고, 그 상부의 내 주면에는 분기관(600)과 밀착되도록 하는 돌출부(140), 그 하부의 내측에는 분기관(60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는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안착편(150)이 형성된 본체(100);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10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지되 그 외주연 끝단부에 상기 메인관(700) 분기공(710)의 외주연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턱(210), 이 돌출턱(210)의 하부면 소정위치에 안착홈(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홈(212)에는 압력이 가해지면 쉽게 변형되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러버 스폰지(Rubber Sponge)(214)가 개재되어 위 메인관(70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면서 원주상에 형성된 가압홈(220)으로 구성된 하측가압구(200);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10)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 수직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횡가압돌기(320)가 마련되어 횡방향으로 상기 본체(100)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써 삽입된 상기 분기관(600)을 가압함과 동시에 원주방향의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내측가압구(300); 및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위 내측가압구(300)의 수나사산(310)과 대응되는 암나사산(410)을 가져 나사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씨형 클램프(C type clamp)와 같은 통상의 클램프의 일단이 끼워져서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홈(420), 하부에는 두께가 얇아 위 하측가압구(200)의 가압홈(220)에 끼워지면서 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종가압돌기(430)가 형성된 외측가압구(400)가 구성된 가압수단(5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내측가압구(300)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지는 절개부(330)를 형성하여 내측가압구(300)가 끼워질 수 있는 본체(100)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더라고, 특히 좀 크더라도 절개부(330)에 의하여 벌려지게 되므로, 본체(100) 외주연의 직경에 구애받음이 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내측가압구(300a) 및 본체(100) 돌출부(140a)의 구성을 달리한 것으로서, 내측가압구(300a)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면에서 시작하여 상면쪽으로 일정부까지 삼각형상의 절취부(340)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가압구(400)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하부측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좀더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며, 돌출부(140a)는 물결무늬로 형성하여 분기관(600)을 좀더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분기관 연결구의 결합관계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관(700)의 외주연 일측 소정위치에 소정크기의 분기공(710)을 형성시킨 다음 분기관 연결구의 본체(100)를 유입구(110)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분기공(710)에 삽입한 후 끌어올려서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메인관(700)에 형성되는 분기공(710)의 직경이 상기 본체(100)의 직경 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메인관(700)의 분기공(710)에 끼움결합 시 상기 본체 (1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30)의 상단부에 분기공(710)의 내면 가장자리가 위치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메인관(700)의 소정위치에 상기 본체(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분기공(710)을 형성한 다음 상기 본체(100)를 그 유입구(110)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힘을 부가하여 끼움 결합시켜 설치하도록 이루어지며, 결합 후 작업자는 유출구(112)에서 손을 집어넣은 후 걸림턱(130) 부분을 파지한 후 상기 분기공(710)의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100)의 걸림턱(130)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본체(100)를 상방향으로 끌어올린다. 여기서 위 걸림턱(130)의 안착홈(132)에는 러버스폰지(134)가 이미 개재되어 있으므로 좀더 밀접한 밀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하부의 외주연이 만곡부와 절곡부가 순착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턱(130)의 끝단이 메인관(710) 내주면의 호(弧)를 따라 무리 없이 밀착이 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0)의 외주연에 러버스폰지(214)가 개재된 하측가압구(200)를 끼움결합시킨다. 이때에는 작업자의 한쪽 손은 유출구(112)측에서 집어넣은 후 걸림턱(130)을 잡고 있고, 다른 손은 하측가압구(200)를 잡고서 본체(100)와 결합시킨다. 이때 하측가압구(200)를 최대한 하방향으로 밀착시켜서 돌출턱(210)의 끝단이 메인관(700) 외주면의 호(弧)를 따라 무리 없이 밀착이 될 수가 있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내측가압구(300)를 본체(100)의 조임홈(122)에 끼운 후 외측가압구(400)를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한다. 이때 외측가압구(400)는 맨손 또는 씨형 클램프 또는 밴드 클램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종가압돌기(430)가 하측가압구(200)의 윗부분을 가압하여 러버스폰지(214)와 돌출턱(210)이 메인관(700) 외주면에 좀더 밀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횡방향으로는 횡가압돌기(320)에 의하여 더욱더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횡가압돌기(320)가 본체(100)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외측가압구(400)의 나사결합 시 원주방향의 좌우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 조임홈(120)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체결밴드를 가 체결한 후 분기관(600)을 본체(100)의 내부로 압력을 가하여 그 끝단이 안착편(150)에 닿을 때까지 끼운 후 위 체결밴드를 조여주어 본체(100)에 분기관(600)이 단단히 끼워져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140)에 의하여 분기관(600)이 좀더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런 결합과정을 거치게 되면 메인관(700)을 흐르는 유체가 결합된 분기관(600)을 통하여 분기되고, 이때 연결되는 부분인 분기공(710)은 걸림턱(130), 돌출턱(210) 및 러버스폰지(214, 134)에 의하여 밀착되어 있으므로 누수가 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체(1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분기관(600)의 방향은 고정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고무의 탄성 한계 내에서는 움직임이 허용되어 분기관(600)의 타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또는 정확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위 실시예의 결합관계 및 설치과정과 거의 동일한 과정을 취하기는 하지만, 본체(100a)를 분기공(710)에 끼운 후에 절취부(340)가 형성된 내측가압구(300a)를 조임홈(122)에 끼움결합하고, 외측가압구(400)를 초기결합하고 나서 분기관(600)을 안착편(150)에 닿을 때까지 삽입한 후 위 외측가압구(400)를 돌려서 나사 결합을 하게 되면 결합과정이 끝나게 된다.
이때 위 내측가압구(300a)는 그 하단의 지름이 상단의 지름 보다는 크게 형성이 되어 있으므로, 외측가압구(400)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함에 따라 내측가압구(300a)의 하단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게 되고 위 절취부(340)가 맞닿을 정도로 결합이 되면 내측가압부(300a)의 하단의 직경이 오히려 상단의 직경보다 작게 되고, 본체(100a)의 내주면이 분기관(600)의 외주면에 더욱더 밀착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돌출부(140a) 역시 분기관(600)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분기관(6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하측가압구(200), 내측가압구(300, 300a) 및 외측가압구(400)를 본체(100, 100a)에 미리 결합하여 놓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내측가압구와 외측가압구를 나사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라면 나머지 기술적 구성의 변화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게 되고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메인관의 적소에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메인관에 체결된 후 쉽게 분리 및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메인관과 분기관 사이의 수밀성, 밀봉성, 밀폐성을 향상시켜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메인관 내부에 흐르는 고압의 유체를 소정 장소로 용이하게 분기시킬 수 있으며, 분기관과 연결되는 본체가 연성의 고무로 이루어져 있어서 고무의 탄성 한계 내에서 분기관의 움직임이 허용되는 분기관의 타 끝단에 고정되는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또는 정확한 장소에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사식으로 가압 수단을 체결하게 되므로 하방향으로 좀더 압력을 가할 수가 있으므로 메인관의 분기공 주변을 좀더 밀착시켜서 향상된 수밀효과를 누릴 수가 있으며, 횡가압돌기에 의하여 본체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분기관을 좀더 밀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측가압구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어 외측가압구의 체결이 좀더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내측가압구의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커지게 하여 나사 결합시 분기관의 외주면을 좀더 밀착시킬 수가 있으므로 그 체결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메인관의 분기공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분기관으로 분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분기관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분기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메인관에 형성된 분기공에 끼워지면서 위 분기공 외주연의 내면에 밀착되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는 본체; 및
    일정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삽입되어지되 그 외주연 끝단부에 상기 메인관 분기공의 외주연의 외면에 밀착되는 돌출턱을 가져 위 메인관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하측가압구,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을 가져 횡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주연을 가압함으로써 삽입된 상기 분기관을 가압하는 내측가압구 및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위 내측가압구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을 가져 나사결합되는 외측가압구로 구성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과 돌출턱의 단부 외주연이 만곡부와 절곡부가 순착적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압구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지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외주연을 좀더 가압하여 상기 분기관의 외주연을 좀더 가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횡가압돌기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압구의 하부에는 위 외측가압구 보다는 두께가 얇은 종가압돌기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압구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하면에서 시작하여 상면쪽으로 일정부까지 삼각형상의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부면과 상기 돌출턱 하부면의 어느 한곳 또는 양쪽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에 경도가 낮아 압력이 가해지면 쉽게 변형되는 러버 스폰지(Rubber Sopnge)를 마련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스폰지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하측가압구는 고무재질로서 이루어지되 그 경도에 있어서는 하측가압구의 경도가 본체의 경도보다는 높은 경도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압구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지는 절개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압구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지는 절개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가압구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지는 절개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연결구.
KR2020050029163U 2005-10-13 2005-10-13 분기관 연결구 KR200406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63U KR200406553Y1 (ko) 2005-10-13 2005-10-13 분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63U KR200406553Y1 (ko) 2005-10-13 2005-10-13 분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553Y1 true KR200406553Y1 (ko) 2006-01-23

Family

ID=4175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163U KR200406553Y1 (ko) 2005-10-13 2005-10-13 분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5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86B1 (ko) * 2010-11-18 2011-09-27 (주)에코폴리텍 하수관용 원터치 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86B1 (ko) * 2010-11-18 2011-09-27 (주)에코폴리텍 하수관용 원터치 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8226B2 (ja) 弁の接続
CA2764001C (en) Quick connection coupling
US10487969B2 (en)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US10718452B1 (en) Hose coupling
AU2005289401A2 (en) Connector
US20120326439A1 (en) Valve and Other Connections
KR20180001632U (ko)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JP2013130244A (ja) 流路閉塞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流路閉塞システム及び流路閉塞方法
CN108953793A (zh) 一种建筑装修用的水管接头结构
KR200406553Y1 (ko) 분기관 연결구
US20100170578A1 (en) Separable faucet
JP2004504576A (ja) 軟質ホース分岐用クランプ部材
US20100170577A1 (en) Separable faucet using plastic control valve
CN204459565U (zh) 快速接头
KR100772118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1783208B1 (ko) 분기파이프 연결장치
KR101053127B1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CN214789559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快速连接头
CN107002924A (zh) 管接头及淋浴软管连接结构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CN211145669U (zh) 一种便于连接的消防管件卡箍结构
JP6533154B2 (ja) 蛇口接続継手
US20060180219A1 (en) Adapter for branching a hose
JP3694689B2 (ja) 菅継手
JP7383309B2 (ja) 配管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