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990Y1 -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 Google Patents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990Y1
KR200405990Y1 KR2020050030483U KR20050030483U KR200405990Y1 KR 200405990 Y1 KR200405990 Y1 KR 200405990Y1 KR 2020050030483 U KR2020050030483 U KR 2020050030483U KR 20050030483 U KR20050030483 U KR 20050030483U KR 200405990 Y1 KR200405990 Y1 KR 200405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auxiliary housing
box
relay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영
Original Assignee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0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퓨즈의 장착이 용이하면서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퓨즈릴레이박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는 각종 퓨즈 및 릴레이가 꽂이는 박스본체와, 박스본체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박스본체는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탈, 장착되는 보조하우징을 별도로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하우징은 퓨즈가 접속되고, 퓨즈에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된다. 즉, 전원공급단자가 박스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었다면, 본 고안은 이를 별도의 하우징에 형성시키고 이러한 보조하우징을 박스본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퓨즈박스의 전체적인 형상이 콤팩트하면서 심플하게 디자인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Fuse and relay box have a dualiz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보조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퓨즈릴레이박스 110 : 박스본체
113 : 소켓 120 : 보조하우징
125 : 전원공급단자
본 고안은 퓨즈릴레이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의 교체가 용이하면서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자동화에 따라 엔진이나 변속기와 같은 장치들의 제어가 전자제어기와 같은 CPU 내장장치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됨은 물론, 이외의 여러 편리장치 예를 들면, 파워윈도우나 각종 조명장치 등도 상기와 같은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운전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에는 각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전기배선이 요구되어 이의 효율적인 설치와 연결을 위해 통상, 차량의 소정부위로 구비된 퓨즈릴레이박스들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퓨즈릴레이박스들은 전기배선들을 소정간격으로 연결하여 주도록 차량의 소정부위에 다수개 구비되며, 각종 릴레이와 커넥터들이 꽂혀진 대략 사각형상의 박스로 이루어져 보올트와 너트나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차량의 소정부위에 장착되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퓨즈릴레이박스(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퓨즈(6) 및 릴레이(5)들을 수용하는 박스본체(2)와, 박스본체(2)의 상부를 덮어 퓨즈(6) 및 릴레이(5)들을 보호하는 어퍼커버(UPPER COVER, 3)와, 박스본체(2)의 하부를 덮어 퓨즈(6) 및 릴레이(5)가 꽂혀지는 접속단자 및 배선들을 보호하는 로워커버(LOWER COVER, 4)로 이루어진다.
좀더 자세하게는 박스본체(2)의 상부면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대략 이등분하여 한쪽에는 릴레이(5)들이 꽂히고, 다른 쪽에는 퓨즈(6)들이 꽂히게 된다. 이때, 릴레이(5)들은 박스본체(2)의 상부면상에 바로 장착될 수 있지만, 퓨즈(6)들은 전원을 공급해주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동일한 높이로 장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퓨즈(6)들이 장착되는 부분은 박스본체(2)보다 더 높게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하우징(11)을 더 형성시켜 퓨즈(6)들을 꽂게 된다.
그리고 보조하우징(11)에는 퓨즈(6)들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보조하우징 (11)의 측벽에 전원공급단자(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단자(10)는 보조하우징(11)의 측면보다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하우징(11)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보조하우징(11)이 박스본체(2)에 비해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덮어주는 어퍼커버(3)의 부피도 필요이상으로 커지게 되면서 모양도 복잡하게 되어 금형 제작비용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박스본체(2)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하우징(11)의 높이를 통상 30mm로 형성시키는데, 그 위에 다시 퓨즈(6)가 22mm의 높이로 장착되기 때문에 릴레이(5)와 퓨즈(6)와의 단차가 약 20mm 이상이 되어 그 상부를 덮는 어퍼커버(3)의 모양이 이상하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 퓨즈(6)를 교체하기가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조하우징(11)의 상부에 꽂혀진 퓨즈(6)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그 측벽에 형성된 전원공급단자(10)를 풀어줘야 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단자(10)가 릴레이(5)에 가려져 공구가 들어가지 못하므로 퓨즈(6)의 교체를 위해서는 반드시 릴레이(5)들을 모두 빼어낸 후 작업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본체에 릴레이와 퓨즈들을 별도로 묶어서 장착시킬 수 있도록 이원화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퓨즈 교체시 작업성이 편리하고, 퓨즈릴레이박스의 전체적인 형상이 콤팩트하면서 깔끔한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으로 인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각종 퓨즈 및 릴레이가 꽂히는 박스본체와, 박스본체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어퍼커버 및 로워커버로 이루어진 퓨즈릴레이박스에 있어서,
박스본체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릴레이부와 퓨즈부가 형성되고, 퓨즈부에는 사각틀 형상의 소켓이 형성되며, 소켓에는 보조하우징이 선택적으로 탈, 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보조하우징의 상부면상에는 퓨즈가 꽂히며, 보조하우징의 양측벽에는 퓨즈와 접속되는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100)는 박스본체(110)와, 보조하우징(120)을 구비한다.
박스본체(110)는 대략 사각형상을 가지면서 그 상부면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일측에는 릴레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퓨즈부가 형성된다.
먼저, 릴레이부에는 말 그대로 릴레이(5)가 끼워지는데, 이러한 릴레이(5)들이 끼워지도록 릴레이용 접속단자(112)가 형성된다.
한편, 퓨즈부에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소켓(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켓(113)은 퓨즈부에 사용될 별도의 보조하우징(120)이 장착될 부분으로 보조하우징(120)이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상 사방면에 탄성편(114, 115)들이 형성된다. 이때, 탄성편(114, 115)들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눌러줄 수 있도록 박스본체(110)의 상부면상보다 더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각 부에 따라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탄성편(114)과 제 2 탄성편(115)으로 구분된다. 즉, 제 1 탄성편(114)은 소켓(113)의 전, 후면측으로 형성되고, 제 2 탄성편(115)은 소켓(113)의 좌, 우면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113)의 내주면상 양측면(전, 후면측)에는 한 쌍의 돌출된 벽(116)이 형성되어 보조하우징(120)이 장착될 때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퓨즈부의 소켓(113)에 장착될 보조하우징(120)을 설명하면, 보조하우징(120)은 소켓(113)에 끼워지도록 이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보조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퓨즈(6)가 꽂혀질 수 있도록 퓨즈용 접속단자(12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보조하우징(120)의 양측벽면상(전, 후면)에는 소켓(113)에 형성된 벽(116)으로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124)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124)의 사이에 퓨즈용 접속단자(121)와 연결되어 퓨즈(6)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하우징(120)의 사방면상에는 소켓(113)에 형성된 탄성편(114, 115)들에 걸려 이탈이 억제되는 장착돌기(122, 123)들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돌기(122, 123)는 탄성편(114, 115)과 마찬가지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장착돌기(122) 및 제 2 장착돌기(123)로 구분된다. 제 1 장착돌기(122)는 제 1 탄성편(114)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조하우징(120)의 전, 후면측 하단부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장착돌기(123)는 제 2 탄성편(115)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조하우징(120)의 좌, 우면측 상단부에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퓨즈릴레이박스(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보조하우징(120)의 측벽에 형성된 전원공급단자(125)에 전원공급선(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한 후, 보조하우징(120)을 소켓(113)에 끼운다. 이때, 보조하우징(120)과 소켓(113)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 2 장착돌기(123)와 제 2 탄성편(115)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하우징(120)이 안으로 깊숙이 자리 잡히면 제 2 장착돌기(123)가 제 2 탄성편(115)에 걸려 록킹된다. 록킹된 후, 도 1에서 도시된 어퍼커버(3) 및 로워커버(4)를 닫는다.
한편, 퓨즈 및 릴레이를 교체하게 될 때에는 박스본체(110)에 꽂혀 있던 릴레이(5)는 그냥 뽑아서 교체하면 되고 보조하우징(120)에 꽂힌 퓨즈(6)는 제 2 탄성편(115)들을 제쳐 제 2 장착돌기(123)로부터 이탈시킨 후, 보조하우징(120)을 들어올리면 쉽게 빠지게 된다. 그리고는 전원공급단자(125)를 풀어 퓨즈(6)를 교체하면 된다.
여기에서, 소켓(113)과 보조하우징(120)은 여러 개의 탄성편(114, 115)들과 장착돌기(122, 123)들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록킹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보조하우징(120)이 소켓(113)에 끼워질 때, 첫 번째로 제 1 탄성편(114)에 제 1 장착돌기 (122)가 록킹되어 멈추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자(125) 및 퓨즈(6)들을 탈, 장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밀어 넣으면 제 2 탄성편(115)에 제 2 장착돌기(123)가 록킹되면서 안착되는 것이다. 반대로 보조하우징(120)을 이탈시킬 때에도, 먼저, 제 2 탄성편(115)을 제쳐 보조하우징(120)을 빼내면 보조하우징(120)이 외부로 이탈되다가 제 1 탄성편(114)에 제 1 장착돌기(122)가 록킹되면서 멈추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퓨즈릴레이박스는 박스본체의 통상적인 형상을 심플하면서 콤팩트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크게는 금형제작기간 및 제작비용이 적게 들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단순하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전체적인 외관이 깔끔해지는 잇점이 있다.
또한, 퓨즈부는 여러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부품공용화로 인한 금형제작시 퓨즈부는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퓨즈부를 여러 차종에 공용으로 적용함으로서, 사용수량이 증가하여 부품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퓨즈부와 릴레이부의 높이가 동일하여 어퍼커버로 높이를 조절하여 릴레이 및 퓨즈 이탈방지 구조의 설계가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각종 퓨즈(6) 및 릴레이(5)가 꽂히는 박스본체(110)와, 상기 박스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어퍼커버(3) 및 로워커버(4)로 이루어진 퓨즈릴레이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10)는 그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릴레이부와 퓨즈부가 형성되고, 상기 퓨즈부에는 사각틀 형상의 소켓(113)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113)에는 보조하우징(120)이 선택적으로 탈, 장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상부면상에는 퓨즈(6)가 꽂히며,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양측벽에는 상기 퓨즈와 접속되는 전원공급단자(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13)의 내주면상 전, 후면측 및 좌, 우면측에는 상기 보조하우징(120)을 록킹 시켜주기 위한 제 1 탄성편(114) 및 제 2 탄성편(115)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전, 후면측 하단부 및 좌, 우면측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편(114, 115)에 대응되는 제 1 장착돌기(122) 및 제 2 장착돌기(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13)의 전, 후면측 중앙부에는 한쌍의 벽(116)이 돌출되고, 상기 보조하우징(120)의 전, 후면측에는 상기 벽(116)에 끼워져 안내 되는 가이드(124)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124)의 중앙 안쪽에 상기 전원공급단자(1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KR2020050030483U 2005-10-27 2005-10-27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KR200405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83U KR200405990Y1 (ko) 2005-10-27 2005-10-27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83U KR200405990Y1 (ko) 2005-10-27 2005-10-27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990Y1 true KR200405990Y1 (ko) 2006-01-11

Family

ID=4175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483U KR200405990Y1 (ko) 2005-10-27 2005-10-27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99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53B1 (ko) 2006-01-31 2007-03-29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모듈형 정션박스의 구조
KR100743170B1 (ko) 2006-03-17 2007-07-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아이씨엠 릴레이 모듈
KR100922156B1 (ko) 2008-02-25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박스
KR101044040B1 (ko) 2008-12-29 2011-06-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엔진룸 박스
KR102048916B1 (ko) * 2018-06-01 2019-11-26 ㈜알파오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KR102085980B1 (ko) * 2018-11-08 2020-03-06 현대자동차(주) 도난 방지용 파워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53B1 (ko) 2006-01-31 2007-03-29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모듈형 정션박스의 구조
KR100743170B1 (ko) 2006-03-17 2007-07-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아이씨엠 릴레이 모듈
KR100922156B1 (ko) 2008-02-25 2009-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박스
KR101044040B1 (ko) 2008-12-29 2011-06-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엔진룸 박스
KR102048916B1 (ko) * 2018-06-01 2019-11-26 ㈜알파오 퓨즈박스용 터미널 및 퓨즈박스
KR102085980B1 (ko) * 2018-11-08 2020-03-06 현대자동차(주) 도난 방지용 파워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990Y1 (ko) 이원화 구조를 갖는 퓨즈릴레이박스
KR100516513B1 (ko) 차량용 정션박스 및 그 조립방법
JP5333849B2 (ja) 電気接続箱
JP5688625B2 (ja) 回路遮断器の取付構造
US20050013095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0820432B2 (en) Board unit with a tool-insertion recessed portion to release engagement between the case and the cover
US732128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4213561B2 (ja) 回路板収納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JP3141489U (ja) モジュール型ソケット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JP4361474B2 (ja) 電気回路ユニットと電気接続箱との着脱方法および着脱構造
KR101321178B1 (ko) 보안등 점멸기 외함의 부품 설치구조
JP2002101526A (ja) 電気接続箱の電源接続構造
CN111613909B (zh) 电子模块
KR20160122515A (ko) Bdu용 조립식 케이스
JP5965763B2 (ja) 電気接続箱
WO2023085145A1 (ja) Usbコンセント
JP2005039881A (ja) 電気接続箱
KR200800865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681949B1 (ko) 자동차의 암전류 차단용 퓨즈 고정구조
JP6576671B2 (ja) 電気接続箱
JP2022190616A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と拡張用電気接続箱との接続構造
KR200141775Y1 (ko)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KR100650662B1 (ko) 슬림형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장치
JP2017016922A (ja) 回路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