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775Y1 -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775Y1
KR200141775Y1 KR2019960005161U KR19960005161U KR200141775Y1 KR 200141775 Y1 KR200141775 Y1 KR 200141775Y1 KR 2019960005161 U KR2019960005161 U KR 2019960005161U KR 19960005161 U KR19960005161 U KR 19960005161U KR 200141775 Y1 KR200141775 Y1 KR 200141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power
stage
groove
pow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994U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201996000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775Y1/ko
Publication of KR9700559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Landscapes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라디오나 각종 전자제품에 부착되는 전기접속기구가, 접속홈(1a)이 형성된 몸체부(1)와 결합홈(2a)이 형성된 결합부(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1a)의 내부에는 접지단자(3)와 제1동력단자(4) 및 제2동력단자(5)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의 배면부에는 접지단(3a)과 제1동력단(4a) 및 제2동력단(5a)이 설치된 전기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단(4a)과 제2동력단(5a) 사이에는 개구부 (7a)와 퓨즈안착부 (7b)와 제1퓨즈단(8)과 제2퓨즈단(9) 및 덮개(10)로 이루어진 퓨즈박스(7)가 몸체부(1)의 배면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몰딩화되고, 상기 개구부(7a)의 내부로 조립 또는 분해되는 고정부(11a)와 이 고정부(11a)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립홈(11b)으로 이루어진 퓨즈박스커버(11)가 제1동력단자(4)와 제2동력단자(5)사이에 설치되어져 몸체부(1)의 배면부에 퓨즈박스커버(11)가 조립된퓨즈박스(7)가 일체로 몰딩화됨으로 인해 전기제품의 과열이나 과부하시 전기제품의 본체를 분해시키지 않고도 파손된 퓨즈(6)를 용이하게 교체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접속기구의 외형크기를 간소화시킴으로 인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박스가 몸체부의 배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박스의 조립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퓨즈박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5도 (A)는 종래 구조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제1도에 대응되는 전기접속기구의 사시도, (B)는 (A)의 배면사시도,
제6도 (A)와 (B)는 종래 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
제7도 (A)와 (B)는 종래 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부, 1a : 접속홈,
2 : 결합부, 2a : 결함홈,
3 : 접지단자, 3a : 접지단,
4 : 제1동력단자, 4a : 제1동력단,
5 : 제2동력단자, 5a : 제2동력단,
6 : 퓨즈, 6a : 제1접촉부,
6b : 제2접촉부, 7 : 퓨즈박스,
7a : 개구부, 7b : 퓨즈안착부,
8 : 제1퓨즈단, 9 : 제2퓨즈단,
10 : 덮개, 11 : 퓨즈박스커버,
11a : 고정부, 11b : 조립홈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즈박스가 일체로 몰딩(Molding)화된 인렛의 전체면적을 간소화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라디오나 각종 전기제품의 본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파손된 퓨즈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문제점]
일반적으로 인렛(Inlets)과 아웃렛(outlets)으로 분류되는 전기접속 기구는 라디오등의 각종 음향기기나 컴퓨터등의 전자제품(이하 전기제품이라 함)에 부착되는 바, 이러한 전기접촉기구에는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플러그가 접속됨과 더불어 전기제품이 과열되거나 과부하가 입력되었을 경우 화재나 기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가 내재된 퓨즈박스가 연결되어 있는데 종래의 전기접속기구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매개체인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사각박스모양의 접속홈(1a)이 형성된 몸체부(1)와, 이 몸체부(1)의 전면부 테두리부위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리벳이나 스크류등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2a)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결합부(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1a)의 내부에는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3)와 제1동력단자(4) 및 제2동력단자(5)가 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의 배면부에는 접지단자(3)와 연결된 접지단(3a)과 제1동력단자(4)와 연결된 제1동력단(4a) 및 제2동력단자(5)와 연결된 제2동력단(5a)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이 제2동력단(5a)은 와이어나 전도체를 매개로 본체의 내부소정위치에 장착된 퓨즈박스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홈(2a)에 스크류등의 결합부재를 삽입시켜 전기제품의 본체에 부착시킨 다음 전선의 플러그를 접속홈(1a)으로 삽입하여 접지단자(3)와 제1동력단자(4) 및 제2동력단자(5)와 접속시킨 후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원이 전기접속기구를 매개로 전기제품에 공급됨으로 인해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퓨즈박스가 전기제품의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져 과부하가 공급되거나 과열되어 퓨즈가 파손되었을 경우, 이 파손된 퓨즈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본체를 분해해야하는 등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위해 제5도와는 다른 전기접속기구가 고안되었는 바, 이 전기접속기구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매개체인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사각박스모양의 접속홈(1a)이 형성된 몸체부(1)와, 이 몸체부(1)의 전면부 테두리부위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리벳이나 스크류등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2a)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결합부(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1a)의 내부에는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3)와 제1동력단자(4) 및 제2동력단자(5)가 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의 배면부에는 접지단자(3)와 연결된 접지단(3a)과 제1동력단자(4)와 연결된 제1동력단(4a) 및 제2동력단자(5)와 연결된 제2동력단(5a)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전기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홈(1a)과 일체로 몰딩화되어 칸막이(21)를 매개로 분리된 퓨즈박스홈(22)에는 고정홈(23a)에 퓨즈(24)가 끼워저 단단히 고정된 퓨즈박스(23)가 탈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의 배면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2동력단(5a)은 제2동력단자(5)로부터 공급된 동력을 퓨즈(24)에 공급하기 위해 두개의 퓨즈단(26)중 한개의 퓨즈단(26)과 전도체(25)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상기 접속홈(1a)과 퓨즈박스(23)가 일체로 몰닝화되어 과부하 또는 과열로 인한 퓨즈(24)의 파손시 전기제품의 본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파손된 퓨즈(24)를 용이하게 교환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은 해소되었지만, 전기접속기구의 전체적인 외형이 커짐에 따라 몰딩부재가 많이 소모되어 제조단가가 비싸게 될 뿐만 아니라 전기제품에 전기접속기구의 부착시, 이 전기접속기구가 부착되어 부착되는 공지되어 표준화된 부착홈의 구조가 크게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고안의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부하 또는 과열로 인한 퓨즈의 파손시 전기제품의 본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파손된 퓨즈를 용이하게 교환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공지되어 표준화된 부착홈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접속홈과 퓨즈박스를 일체로 몰딩화시킨 전기접속기구용퓨즈박스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전기접속기구는,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접속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전기제품의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의 내부에는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와 제1동력단자 및 제2동력단자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의 배면부에는 접지단과 제1동력단 및 제2동력단이 설치된 전기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단과 제2동력단사이에는 개구부와 퓨즈안착부와 제1푸즈단과 제2퓨즈단 및 덮개로 이루어진 퓨즈박스가 몸체부의 배면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몰딩화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로 조립 또는 분해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립홈으로 이루어진 퓨즈박스커버가 제1동력단자와 제2동력단자사이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기구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로서, 본 고안 전기접속기구는, 전원공급매개체인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사각박스모양의 접속홈(1a)이 형성된 몸체부(1)와, 이 몸체부(1)의 전면부 테두리부위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리벳이나 스크류등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전기제품의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2a)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결합부(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1a)의 내부에는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3)와 제1동력단자(4) 및 제2동력단자(5)가 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의 배면부에는 접지단자(3)와 연결된 접지단(3a)과 제1동력단자(4)와, 연결된 제1동력단(4a) 및 제2동력단자(5)와 연결된 제2동력단(5a)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전기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단(4a)과 제2동력단(5a)사이에는 제1접촉부(6a)와 제2접촉부(6b)로 이루어져 과열 또는 과부하시 전기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6)가 삽입되는 원형상의 개구부(7a)와, 삽입된 퓨즈(6)가 내재되도록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퓨즈안착부(7b)와, 제3도 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촉부(6a)의 양측면부를 단단히 고정시켜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1차절곡되고 그 양끝부는 탄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부로 2차 절곡된 제1퓨즈단(8)과, 상기 제2접촉부(6b)와 완전한 접속을 이루도록 끝부위가 V자 모양으로 1차 절곡되고 그 연결부는 수평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2동력단자(5)로 부터 공급된 동력을 퓨즈(6)에 공급하기 위해 전도체를 매개로 제2동력단(5a)과 연결된 제2퓨즈단(9)과 상기 제1퓨즈단(8)의 상부에 직각형으로 형성된 요부홈(7c) 및 이 요부홈(7c)에 삽입되어 단단히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10a)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가 개방된 퓨즈 안착부(7b)를 밀폐시켜 제1퓨즈단(8)의 파손시 용이하게 교환시킬 수 있도록 개방하게 되는 덮개(10)로 이루어진 전체형상이 원통모양으로 된 퓨즈박스(7)가 몸체부(1)의 배면부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7a)의 내부로 삽입되어 퓨즈박스(7)에 내재된 퓨즈(6)의 제2접촉부(6b) 끝부를 단단히 압착시키기 위한 원형상의 돌기인 고정부(11a)와 드라이버등의 조립공구를 사용해 고정부(11a)를 개구부(7a)에서 조립 또는 분해시킬 수 있도록 전면부에 형성된 조립홈(11b)으로 이루어진 퓨즈박스커버(11)가 상기 제1동력단자(4)와 제2동력단자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기제품의 사용시 과열이나 과부하로 인해 퓨즈(6)가 파손되었을 경우 드라이버류등의 조립공구를 접속홈(1a)으로 삽입시켜 조립홈(11b)을 회전하여 퓨즈 커버박스(7)를 분해시킨 다음 파손된 퓨즈(6)를 꺼내고 새로운 퓨즈(6)를 개구부(7a)로 삽입시켜 제1접촉부(6a)를 제1퓨즈단(8)에 고정시킴과 더불어 단단히 접속시키고 제2접촉부(6b)를, 제2퓨즈단(9)에 접속시킨 후, 퓨즈박스커버(11)를 상기 접속홈(1a)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삽입시켜 개구부(7a)의 내부로 조립시키게 되면 고정부(11a)가 제2접촉부(6b)의 끝부를 압착시킴으로 인해 퓨즈(6)가 퓨즈박스(7)내에 단단히 고정되게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제1퓨즈단(8)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요부홈(7c)에서 돌기부(10a)를 분리시킴과 더불어 덮개(10)를 퓨즈박스(7)에서 상부로 분리시키게 되면 새로운 제1퓨즈단(8)을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접속기구가, 접속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의 내부에는 접지단자와 제1동력단자 및 제2동력단자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의 배면부에는 접지단과 제1동력단 및 제2동력단이 설치된 전기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단과 제2동력단사이에는 개구부와 퓨즈안착부와 제1퓨즈단과 제2퓨즈단 및 덮개로 이루어진 퓨즈박스가 몸체부의 배면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몰딩화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부로 조립 또는 분해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립홈으로 이루어진 퓨즈박스커버가 제1동력단자와 제2동력단자 사이에 설치되어져, 몸체부의 배면부에 퓨즈박스커버가 조립된 퓨즈박스가 일체로 몰딩화됨으로 인해 전기제품의 과열이나 과부하시 전기제품의 본체를 분해시키지 않고도 파손된 퓨즈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지되어 표준화된 부착홈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2)

  1. 라디오등의 각종 음향기기나 컴퓨터등의 전자제품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한 플러그가 접속되는 전기접속기구가, 전원공급매개체인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단면형상이 사각박스모양의 접속홈(1a)이 형성된 몸체부(1)와, 이 몸체부(1)의 전면부 테두리부위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리벳이나 스크류등의 결합 부재를 매개로 전기제품의 본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2a)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결합부(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홈(1a)의 내부에는 삽입된 플러그와 접속되기 위한 접지단자(3)와 제1동력단자(4) 및 제2동력단자(5)가 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의 배면부에는 접지단자(3)와 연결된 접지단(3a)과 제1동력단자(4)와, 연결된 제1동력단(4a) 및 제2동력단자(5)와 연결된 제2동력단(5a)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전기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단(4a)과 제2동력단(5a)사이에는 제1접촉부(6a)와 제2접촉부(6b)로 이루어져 과열 또는 과부하시 전기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6)가 삽입되는 개구부(7a)와, 삽입된 퓨즈(6)가 내재되도록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퓨즈안착부(7b)와, 상기 제1접촉부(6a)의 양측면부를 단단히 고정시켜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ㄷ자모양으로 1차절곡되고 그 양끝부는 탄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부로 2차 절곡된 제1퓨즈단(8)과, 상기 제2접촉부(6b)와 완전한 접속을 이루도록 끝부위가 V자 모양으로 1차 절곡되고 그 연결부는 수평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2동력단자(5)로 부터 공급된 동력을 퓨즈(6)에 공급하기 위해 전도체를 매개로 제2동력단(5a)과 연결된 제2퓨즈단(9)과 상기 제1퓨즈단(8)의 상부에 형성된 요부홈(7c) 및 이 요부홈(7c)에 삽입되어 단단히 결합되기 위한 돌기구(10a)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퓨즈안착부(7b)를 밀폐시키게 되는 덮개(10)로 이루어진 퓨즈박스(7)가 몸체부(1)의 배면부와 일체로 몰딩화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7a)의 내부로 삽입되어 퓨즈박스(7)에 내재된 퓨즈(6)의 제2접촉부(6b) 끝부를 단단히 압착시키기 위한 원형상의 돌기인 고정부(11a)와 드라이버등의 조립공구를 사용해 고정부(11a)를 개구부(7a)에서 조립 또는 분해시킬 수 있도록 전면부에 형성된 조립홈(11b)으로 이루어진 퓨즈박스커버(11)가 상기 제1동력단자(4)와 제2동력단자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가 제1퓨즈단(8)의 파손시, 파손된 제1퓨즈단(8)을 용이하게 교체시키기 위해 퓨즈박스(7)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탈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KR2019960005161U 1996-03-19 1996-03-19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KR200141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161U KR200141775Y1 (ko) 1996-03-19 1996-03-19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161U KR200141775Y1 (ko) 1996-03-19 1996-03-19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94U KR970055994U (ko) 1997-10-13
KR200141775Y1 true KR200141775Y1 (ko) 1999-05-15

Family

ID=1945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161U KR200141775Y1 (ko) 1996-03-19 1996-03-19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15B1 (ko) * 2001-08-24 2004-1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향미료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15B1 (ko) * 2001-08-24 2004-1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향미료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94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547B2 (en) Screw terminal block and attachment plug including the same
US20020155756A1 (en) Shield connector directly-mountable on equipment
US20080061920A1 (en) Fuse cavity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JP6024985B2 (ja) 端子台
KR200141775Y1 (ko)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JP5979445B2 (ja) 端子台
KR100317006B1 (ko)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JP7033758B2 (ja) コンセント器具、コンセントシステム、および、コンセント器具の製造方法
JP7281723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02101526A (ja) 電気接続箱の電源接続構造
JP2005135615A (ja) プラグ
JP2005135615A6 (ja) プラグ
US20070008061A1 (en) Electric plug
JP2617162B2 (ja) スイッチ付コンセント
KR100662030B1 (ko) 배선용차단기의 박스터미널 취부구조
JP2000223200A (ja) コンセントおよび配線器具
KR102358507B1 (ko) 전원 플러그
KR200266255Y1 (ko) 퓨즈가 내장된 전원플러그
KR200494150Y1 (ko) 콘센트
KR200383042Y1 (ko) 분전반용 콘센트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920004508Y1 (ko) 전기 접속구
JP2894584B2 (ja) リレーブロック
KR200166561Y1 (ko) 전선커넥터
JP3610801B2 (ja) 露出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