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006B1 -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006B1
KR100317006B1 KR1019980048250A KR19980048250A KR100317006B1 KR 100317006 B1 KR100317006 B1 KR 100317006B1 KR 1019980048250 A KR1019980048250 A KR 1019980048250A KR 19980048250 A KR19980048250 A KR 19980048250A KR 100317006 B1 KR100317006 B1 KR 10031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ide
block
connection
ma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973A (ko
Inventor
김형호
Original Assignee
김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호 filed Critical 김형호
Priority to KR101998004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0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내배선의 콘센트에 형성된 접속구를 향하여 길게 메인단자를 형성하고 이 메인단자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지지체와 연결되고 메인단자가 관통되는 가이드블럭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블럭의 중심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핀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스크류로 연결되는 조작블럭을 형성하고 이 조작블럭의 양측으로 상기 메인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조작부로 구성되어, 단자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이 접속된 단자로부터 케이블의 연결단자를 회전동작으로 이탈시켜 자유롭게 전원을 연결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자유롭게 전원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제품의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은 가정용전원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전원을 접속하여 연결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플러그를 옥내의 콘센트에 꽂고, 또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자제품의 전원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플러그가 계속해서 옥내전원과 연결되어 있게 되면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에 전원이 계속인가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기가 낭비된다고 하여 에너지관리공단등에서는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야 한다고 홍보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제품 플러그는, 전자제품으로부터 연결된 케이블의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를 뽑을 때에는 플러그의 단자는 물론 이 단자를 외부에서 보호하여 형성된 몸체도 함께 뽑아야 하고, 또 이 종래 플러그의 단자는 콘센트의 접속구에 깊숙히 진입시켜 접속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꽂거나 뽑는 동작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이 접속된 단자로부터 케이블의 연결단자를 회전동작으로 이탈시켜 자유롭게 전원을 연결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옥내배선의 콘센트에 형성된 접속구를 향하여 길게 메인단자를 형성하고 이 메인단자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형성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지지체와 연결되고 메인단자가 관통되는 가이드블럭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블럭의 중심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핀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핀이 스크류로 연결되는 조작블럭을 형성하고 이 조작블럭의 양측으로 상기 메인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후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고, 도3a는 제1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제2동작을 도시한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접속부 112 : 메인단자
120 : 가이드부 124 : 가이드핀
130 : 스프링 140 : 조작부
142 : 조작블럭 143 : 접속단자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100)는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를 향하여 형성되는 접속부(110)와, 이 접속부(110)와 연결되는 가이드부(120), 또 이 가이드부(120)와 연결되며 이 가이드부(120)에 안착되고 또 이탈될 수 있고 전자제품으로부터 케이블이 연결된 조작부(1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가이드부(120)에 콘센트를 향하여 안착되어 전원을 케이블(145)에 연결시키고, 또 이탈되어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접속부(110)는 콘센트(200)의 접속구와 상응하는 개수와 형상을 하는 메인단자(112)와, 이 메인단자(112)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지지체(1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0)의 가이드블럭(122)에는 체결공(129)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114)와 스크류(S)로 고정되며, 가이드블럭(122)의 중앙에는 가이드홀(126)이 형성되어 상기 상기 조작부(140)의 체결구멍(144)에 가이드핀(124)으로 나사결합되며, 가이드블럭(122)에는 가이드홀(126)과 함께 상기 접속부(110)의 메인단자(112)가 끼워지는 단자홀(12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핀(124)는 상기 가이드홀(126)에 끼워져 상기 조작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기능은 스프링(130)의 탄성력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핀(124)은 그 끝에 플랜지(131)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131)를 앞방향으로 하여 상기 스프링(130)을 끼워 상기 가이드홀(126)에 장착하면, 가이드블럭(122)와의 사이에 스프링(130)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126)은 상기 가이드핀(124)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130)을 안착시킬 수 있는 큰 지름의 공간을 형성하나, 가이드블럭(122)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이 가이드핀(124)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한다.
상기 조작부(140)은 상기 가이드핀(124)과 나사결합되는 조작블럭(142)과 상기 메인단자(112)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43)를 형성하는 데, 상기 조작블럭(142)의 중앙은 상기 가이드핀(124)이 끼워지는 체결구멍(14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체결구멍(144)의 양측으로 상기 접속단자(143)가 상기 메인단자(1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데, 이 접속단자(143)는 후방으로 케이블(145)과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바를 종합하면 접속부(110)의 메인단자(112)는 가이드부(120)의 가이드블럭(122)을 관통하여 조작부(140)의 접속단자(143)를 향하고 있으며, 이 접속단자(143)는 조작블럭(142)에 고정되어 있고, 이 조작블럭(142)은 콘센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핀(124)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핀(124)은 상기 가이드블럭(122)을 축방향으로 스프링을 압축 또는 복원하면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2는 도1의 조립후 측단면도로서, 상기한 메인단자(112)와 접속단자(143)의 관계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즉, 접속부(110)의 메인단자(112)는 옥내배선의 콘센트(200)에 형성된 접속구(210)에 접속되어 있으면서 가이드블럭(122)을 관통하여 조작부(140)의 접속단자(143)를 향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메인단자(112)는 가이드블럭(122)에 완전히 관통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여유를 두고 있는 데, 이것은 상기 접속단자(143)가 상기 메인단자(112)에 접속되면서 상기 가이드블럭(122)의 여유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 있게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고, 도3a는 제1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제2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3a에서와 같이, 전자제품에 전원을 차단시키고자 할 때에 조작부(140)을 화살표방향으로 당기면 조작블럭(142)은 스프링(130)이 압축되도록 가이드핀(124)을 따라 가이드블럭(122)과 이격된다. 그러면 이 접속단자(143)는 메인단자(112)로부터 떨어지면서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3b에서와 같이 상기 도3a에서와 같이 조작블럭(142)을 당긴상태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음에 놓으면, 스프링은 팽창하면서 가이드핀(124)을 당겨 조작블럭(142)을 가이드블럭(122)에 안착시키는 데,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접속단자(143)는 메인단자(112)와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로서, 상기 도4b에서와 같은 상태에 있게 되면 가이드블럭(122)과 조작블럭(142)사이에 간격이 생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3b의 상태에서 접속단자(143)가 위치하는 부분에 안착홈(150)을 형성하는 데, 이는 상기한 목적외에 접속단자(143)를 고정시키고 또 계속해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자제품의 플러그는 단자를 콘센트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이 접속된 단자로부터 케이블의 연결단자를 회전동작으로 이탈시켜 자유롭게 전원을 연결시키고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옥내배선의 콘센트(200) 접속구에 메인단자(112)가 끼워지는 접속부(110)의 상부로 접속단자(143)가 설치된 조작부(140)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조작부(140)의 회전에 의해 메인단자(112)와 접속단자(143)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단자(112)가 설치된 지지체(114)와 가이드블럭(112)을 스크류(S)로 고정시켜 메인단자(112)의 일단이 가이드블럭(122)의 단자홀(128)에 일측면에 끼워지도옥 하되 가이드블록(122)의 가이드홀(126)에는 내측으로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가이드핀(124)을 끼워넣어 그 끝단이 조작블럭(142)의 체결구멍(144)에 고정되도록 하고 조작블럭(142)의 내면으로는 케이블(145)과 연결된 접속단자(143)를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가이드블럭(122)의 단자홀(128) 타측면에 접속단자(143)의 일부가 끼워지면서 메인단자(112)와 접촉되도록 하며, 단자홀(128)의 직각방향으로 안착홈(150)을 형성하여 조작블럭(142)이 가이드블럭(122)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조작블럭(142)의 접속단자(143)가 안착홈(15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플러그.
KR1019980048250A 1998-11-11 1998-11-11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KR10031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250A KR100317006B1 (ko) 1998-11-11 1998-11-11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250A KR100317006B1 (ko) 1998-11-11 1998-11-11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973A KR20000031973A (ko) 2000-06-05
KR100317006B1 true KR100317006B1 (ko) 2002-02-19

Family

ID=1955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250A KR100317006B1 (ko) 1998-11-11 1998-11-11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925B1 (ko) * 2000-12-23 2003-11-07 이성두 회전 스위치 플러그
KR200263895Y1 (ko) 2001-06-28 2002-02-19 이성두 회전 스위치 플러그
KR101275220B1 (ko) * 2012-01-12 2013-06-17 (주)대성이엔티 절전용 플러그 장치
KR101403889B1 (ko) * 2012-11-22 2014-06-09 박채선 전원어댑터플러그
CN105191018B (zh) 2013-04-29 2017-10-27 史密斯医疗Asd公司 可旋转电气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707U (ko) * 1992-11-13 1994-06-25 남희철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707U (ko) * 1992-11-13 1994-06-25 남희철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973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516B2 (en) Power connector with an adjustable opening
JPH03144818A (ja) 携帯型電子機器
US20030039099A1 (en) Shell assembly of computer server
KR100317006B1 (ko)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US6736659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060133034A1 (en) Fan assembly for a power supply
CA3070983C (en) Bracket, functional module, mounting method of electrical device and the electrical device
CN111009772B (zh) 电子装置及插座
US5687836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actuatable by a rotatable member
KR200249834Y1 (ko)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US6234837B1 (en) Shielding device with included nu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141775Y1 (ko) 전기접속기구용 퓨즈박스의 구조
JPH03184279A (ja) コネクター集合体
CN212225065U (zh) 智能门系统
CN220108477U (zh) 一种快速拆装风扇模组
CN211924011U (zh) 智能门系统
JPH08203646A (ja) ユニバーサルコネクタ
KR200197848Y1 (ko) 컴퓨터 전원장치의 취부구조
TWI776624B (zh) 中高壓系統電源模組安全裝置
KR200290365Y1 (ko) 컴퓨터용 멀티 콘센트
JP4060085B2 (ja) 電気機器の電線差込口部
JP3891942B2 (ja) 電気機器
KR0142719B1 (ko) 브이씨알의 안테나보드 장착구조
KR200299042Y1 (ko) 개선된 콘트롤 패널을 구비한 전자렌지
KR200229633Y1 (ko) 파워 서플라이용 접속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